얼마 전까지만 해도 어른들이 계신 방에 들어가면, 벽에 온각 색으로 꽃이며 나비, 해와 달 등 각종 채색으로 이름이며 가훈 등을 쓴 액자나 족자를 볼 수 있었다. ‘혁필화’라고 하는 이 그림과 글씨는, 납작한 가죽을 이용해, 여러 빛깔의 색을 내는 것이다.

 

오늘 아침 갑자기 혁필화 생각이 났다. 가끔 이렇게 오래전에 본 것들이 갑자기 생각이 나고는 한다. 아마 천상 이런 버릇에서 못 벗어날 것만 같다. 처음 혁필화 사진을 찍은 것이 2003년도였으니, 벌써 10년이 훌쩍 지나버렸다. 한국민속촌 장터 안에서 본 기억이 나 민속촌에 전화를 걸어보았다. 혁필화를 그리는 분이 민속촌을 떠난지 꽤 오래 되었다는 대답이다.

 

 2003년 한국민속촌에 가서 혁필화를 그리시는 어르신을 만나뵈었다. 벌써 10년이란 세월이 훌쩍 지나버렸다

 

집집마다 한 점씩은 벽에 걸렸던 그림

 

예전에는 집집마다 방문을 하거나, 혹은 장거리 등에서 가끔 물감을 꺼내놓고 혁필화를 그리는 화가를 볼 수가 있었다. 혁필화는 조선조 초기인 1,600년경에 유덕공 선생으로부터 시작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그 후 많은 혁필화가들이 활동을 하였다.

 

일설에는 18세기 유득공이 버드나무 가지로 쓴 비백서에서 기인하였다고 전해지기도 하지만, 혁필화가 언제부터 누구에게서 시작되었는가에 대한 확실한 자료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혁필화가들은 1930년대 한창 왕성한 활동을 한 것으로 전해진다. 당시에는 혁필로 쓴 이름이나, 가훈, 상호, 고사성어 등을 집집마다 한두 장 지니고 있었다. 혁필화가들이 적은 수로 그 명맥을 유지했던 것은 대우문제에도 있다. 같은 그림을 그리지만 정상적인 화가들에 대해서 대우를 받지 못했다.

 

화가들에게서도 냉대를 받아

 

또한 화가들 중에서는 혁필화가들은 화가의 대우를 해주지 않는다는 점에서도 아마 그들을 장거리로 내본 이유가 되지 않았을까 한다. 혁필화는 빠른 시간에 그려내야 한다. 가죽이라는 특성상 물감을 흡수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아픔이 있다. 한 장이라도 더 그려야 먹고 살수가 있었기 때문이란다.

 

화가들처럼 대우를 받지 못하고, 싼값에 그려야하는 혁필화가들로서는 많은 사람이 모이는 곳에서, 빠른 작업만이 살길이었을 것이다. 1960년대부터 사양길에 들어선 혁필화는 이제 겨우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을 뿐이다. 아직도 혁필화에 대한 올바른 가치가 정립이 안되었기 때문에, 혁필화를 그림으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지금은 인사동에나 가 보아야 가끔 만나볼 수가 있는 혁필화. 재빠른 손놀림으로 화려하게 그려내는 혁필화는 또 다른 아름다움이 있다. 혁필의 끝에서 뿜어져 그려대는 나비며, 꽃이며 각종 나무들이 온갖 색을 만들며 화선지 위에 춤을 춘다. 오랜 시간이 지나지 않아 그려낸 혁필화. 그 아름다움 속에 숨겨진 화가의 애환을 아는지 모르는지, 보는 이들은 그저 탄성만 흘려낼 뿐이다.

 

그 당시 어르신이 쓴 혁필화가 지동 고성주 전안의 벽에 걸려있다

 

참 이제 와서 생각을 하면, 그동안 내가 문화예술인들을 만나면서도 참 소홀했다는 생각이 든다. 어째 당시에 혁필화를 그리시는 분의 존함조차도 물어보지 못했는지. 오늘 10년 전 같이 민속촌에 가서 쓴 혁필화 글씨를 전안에 곱게 모셔놓고 있는 아우의 집에 가서, 새삼 옛 기억을 더듬어본다. 하나씩 사라져가고만 있는 우리의 소중한 풍물이 오늘따라 마음이 아프다.

요즈같은 가을철에 농촌에서는 새떼와 들짐승들 때문에 곤욕을 치루고 있다. 잘 익은 열매와 곡식의 나락을 시도 때도 없이 훼손을 하기 때문이다. 별별 수단을 다 써 보지만, 그렇게 큰 효과를 보지 못한다고 울상이다. 오직하면 밭 전체를 그물로 막아놓기 까지 할 것인가? 그런 짐승들과 새떼들에게서 열매나 곡식을 어떻게 지켜낼 수 있을까?

‘탈구’라고 하면 나이가 지긋하신 촌에서 생활을 하신 분들은 아~ 하고 탄성을 낼만하다. 예전에는 지금처럼 새를 쫒기 위해 깡통을 두드려 소리를 내거나, 총을 쏘거나 하지 않았다. 아마 새들도 지금처럼 영악하지 않았는가 보다. 탈구는 짚을 꼬아 만든 기구이다. 간단하지만 그 효과는 놀라웠다고 한다

짚을 꼬아 만든 새쫒는 기구인 '탈구' 끝은 가늘게 해서 큰 소리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탈구로 소리를 내는 방법

탈구를 돌려 소리를 내는 방법은 간단한 듯하다. 짚으로 꼬아 만든 탈구를 머리위로 돌리다가 손목에 힘을 주어 줄을 내리치면, 꺾인 부분의 줄과 줄이 마주쳐 총소리와 같이 ‘땅’ 하는 소리를 내게 된다. 그러면 곡식이나 열매를 쪼아 먹으려고 덤벼들던 새들이 놀라 도망을 간다는 것이다. 우리 실생활에서 조상님들이 만들어 낸 탈구. 간단한 원리로 곡식을 보호하는 탈구를 보면서, 선조님들의 지혜에 다시 한 번 감탄을 한다.

1. 탈구를 손에 잡고 머리위로 돌린다


2. 머리 위에서 한두 번 힘차게 돌린 다음


3. 손목을 이용해 줄을 당기면서 세차게 내리친다


4. 줄이 꺾이면서 맞부딪쳐 '탕'하는 소리를 낸다


탈구로 소리를 내는 동영상


소나무 가지에 새들이 앉아있다. 부엉이도 있고, 비둘기도 보인다. 이렇게 소나무 가지에 앉아있는 새들은 살아있는 새가 아니다. 나무를 깎아 소나무 가지 끝에 올려놓은 나무새다. 그런데 가만히 보니 새가 있는 곳마다, 나무 가지가 부러진 듯하다. 처음에는 부러진 나뭇가지가 보기 흉해, 새를 조각해 놀려놓은 줄로만 알았다.

3월 20일, 1박 2일의 황사가 자욱한 속에서 답사를 마치고, 용인에 있는 한 커피숍에 들렸다. 피곤한 다리도 쉴 겸 지인들과 차를 한 잔하기 위해서이다. 용인시 기흥구 고매동에 있는 이 커피숍의 주차장에는 참 좋은 차들만 들어서 있다. 주변이 요즘 말로 ‘잘 나가는 동네’인 듯하다.


생나무를 잘라 조각을(?)

차를 마시고 길을 나서기 위해 밖으로 나오다가 보니, 들어갈 때는 보지 못했던 조각들이 나무 가지 위에 보인다. 새를 조각을 해 놓았다. 커피숍 앞마당에 있는 두 세 그루의 소나무 가지에 새들이 올라 앉아있다.

처음에는 그저 나무가 부러진 것이 보기가 안 좋아서, 그 위에 나무로 새를 조각해 올려놓은 것인 줄로만 알았다. 그런데 자세히 보니, 새가 있는 가지마다 다 부러진 듯하다. 왜 이렇게 이 집의 소나무 가지만 부러져 있는 것일까? 나무로 가까이 가서 새들을 조각한 곳을 살펴보았다. 따로 조각을 해 올려놓은 것이라면, 당연히 나무줄기의 두께보다 일부분이라도 위로 치며 올라와야 한다.



그런데 새들이 앉은 가지는 위에 조각을 한 새들과 굵기가 동일하다. 그리고 보이 이음새가 보이지를 않는다. 한 마디로 새를 조각하기 위해 멀쩡한 가지를 자르고 그 잘려나간 부분에 새를 조각했다는 것이다.

예술품으로 보아야하나? 그럼 잘려나간 가지는

밋밋한 소나무 가지가 보기 싫어서 이렇게 조각을 한 것일까? 아니면 이렇게 소나무 가지를 잘라 새를 조각해 놓는 것이 더 아름답다고 생각을 한 것일까? 만일 이것이 바람이나 어떤 자연적인 작용에 의해 잘려나간 가지가 보기 싫어 조각을 해 놓은 것이라면, 그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 흉한 잘린 가지를 보기 좋게 만들어 놓은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조각을 하기 위해 일부러 나뭇가지를 잘랐다고 하면, 예술작품을 만들기 위해 생나무 가지를 잘랐다는 것이니 어떤 이유로도 이해가 되질 않는다. 잘려진 나뭇가지 위에 올려 진 새들이 아름답기보다는, 왠지 흉물로 보이기까지 한다. 이렇게까지 조각을 해야 하는 것인지. 아름다운 반지 하나를 끼우자고 손가락 살을 잘라내는 것이나 한 가지가 아닐까? 소나무도 많이 아팠을 텐데.


농촌에서는 곡식이나 과일이 익어갈 때가 되면, 골치 아픈 것들이 바로 새떼들이다. 곡식의 낱알은 물론 과일까지도 가리지 않고 먹어치우기 때문이다. 적게는 몇 마리, 많게는 수십마리 씩 떼를 지어 날아다니면서, 농작물에 해를 입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새떼를 막기위해 하수아비를 논에 세워보기도 하지만, 역부족일 때가 많다고 한다.

이제는 새떼들도 그만큼 머리가 좋아진 것인지, 도대체 하수아비를 무서워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어느 분은 새들이 허수아비 머리 위에 앉아있더라면서 웃음을 흘리시기도 한다. 이런 새떼를 쫒아내기 위해 방포를 쏘기도 하고, 깡통을 철사에 매달아 소리를 내기도 한다. 또는 허수아비를 같은 연을 줄에 매달아, 논을 가로질러 줄을 매 바람에 돌아다니게도 한다.


짚으로 만든 탈구를 말앗을 때(위)와 풀었을 때

새를 쫒는 짚공예품 '탈구'

농촌에서는 아무래도 이런저런 것을 만들기가 쉽지가 않다, 그런 시간적 여유를 갖지를 못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연구를 해낸 것이, 바로 짚으로 꼬아 만든 탈구이다. 탈구는 짚을 머리를 땋듯이 따아 만든다. 길이는 4~5m 정도에, 손잡이 쪽은 두텁고 끝은 뾰죽하고 가늘게 꼬아 나간다. 탈구는 밤 시간을 이용해 새끼를 꼬면서 만들 수가 있어, 시간을 별도로 낼 필요가 없다는 점이 이 탈구를 만들게 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탈구를 만들면 손잡이를 잡고 머리 위로 줄을 돌리다가, 손잡이 부분에 힘을 주어 줄을 꺾는다. 그러면 "탕" 소리가 난다. 그 소리에 새들이 놀라 달아난다는 것이다. 돈을 들이지 않고도 만들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농촌에서 많이 사용을 한 새를 쫒는 도구의 하나이다. 

탈구의 시연





  
탈구를 길게 뻗쳐 힘을 주어 위로 끌어 올린다.(맨위) 줄을 머리 위로 올려 힘을 가한다(두번 째) 줄을 가슴 높이로 수평이 되게하여 힘을 많이 받게 한다(세번 째) 손목에 힘을 주어 줄을 낚아채듯이 꺾는다(네번 째) 그러면 탕소리와 함께 줄이 떨어진다(맨 아래)

이렇게 시골에서 흔히 쓰이는 짚을 이용해 만들어 사용하는 탈구는, 우리 생활속에서 얻어지는 지혜이다. 지금은 볼 수가 없는 것이지만. 우리 선조들의 지혜의 깊이에 그저 감탄을 할 수 밖에 없다.


예전에는 지붕 처마 끝에 양철로된 물받이를 만들었다. 요즈음도 시골에 가면 심심찮게 이런 양철로 된 물받이를 볼 수가 있다. 우리 한옥이야 처마 끝에서 떨어지는 낙수가 제격이라고 하지만, 그 물이 튀어 오르면 별로 달갑지 만은 않기 때문이다.

양철 물받이의 한편에는 대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수통을 단다. 그리고 그 위에는 새 주둥이를 만들어 달기도 해서 그 주둥이를 통해 물이 아래로 떨어지게 만들었다. 이제는 그런 새 주둥이는 볼 수가 없고, 그저 수통만 물받이 끝에 달아 놓는다,

물받이에 오려 붙인 새 한 마리


그런데 참 '세상에 이런 일이'라는 제목이 딱 맞을듯하다. 그 물받이 주둥이에 새를 한 마리 오려 올려놓았는데, 그 앞 양철위에 어떻게 풀 한 포기가 자라게 된 것일까?

위로 올라가 보았지만 풀이 자랄만한 환경도 아니다. 그저 지붕에서 씻겨 내려온 척박한 흙 조금이 모였을 뿐인데, 어떻게 이렇게 풀이 자라나고 있을까? 더구나 그 풀이 자라나는 곳이 하필이면 왜 새 주둥이 앞일까? 아무리 생각을 해보아도 희안하달 수 밖에.




참으로 절묘한 모습이다. 더구나 그 풀을 바라다보고 있는 양철을 오려 만든 새 한 마리가 미소를 띠우고 있는 것만 같다. 아마 일부러 저렇게 만들려고 해도 쉽지는 않았을 것이다. 양펄 물받이 위에 오려붙인 새 한 마리와 그 앞에 풀 한 포기. 더운 여름 타는 목을 풀이라도 먹고 추기라는 것인지.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