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 이 연세에 아직도 카메라를 둘러메고 수원 여기저기를 다니면서 서민들의 삶의 모습과 농촌 풍경 등을 담아내는 작가가 있다. 이병익(, 수원시 권선구 서둔동 141-3)어르신은 이제 사진과 인연을 맺은 것이 자그마치 55년 세월이 지났다고 한다. 살고 있는 서둔동은 농촌진흥청과 예전 서울대학교 농과대학이 있던 곳이다.

 

태어난 곳이 서둔동이고 아직도 집이 그쪽이다 보니 자연 시골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을 많이 담아냈어요. 이제 서울농대도 딴 곳으로 옮겨갔고, 거기다가 농촌진흥청까지 전라북도로 옮겨가고 나면, 제가 기록으로 남긴 사진들은 추억이 돼버리는 것이죠.”

 

 

담담하게 말씀은 하시지만, 옛 기억의 한편이 사라진다는 것이 못내 아쉬운 표정이다. 영동시장 2층에 자리한 작가들의 공방인 아트포라 갤러리 아라 앞 공간에 진열이 된 사진은 모두 21점이다. 대개는 농촌풍경과 서민들의 삶을 담아내고 있다.

 

고등학생 때 흑백카메라부터 시작 해

 

어떻게 처음 사진을 찍기 시작하셨는지가 궁금했다.

예전에 6,25 한국동란 때 매형이 군에 계셨는데, 그때는 그렇게 학벌들이 좋지 않았어요. 그래서 고사포부대에 있었는데, 미국으로 건너가서 교육을 받았데요. 돌아오실 때 흑백카메라 한 대를 들고 오셨는데, 그것을 갖고 사진 찍는 것을 취미로 시작했어요.”

 

 

그렇게 1950년대 중반부터 사진을 찍기 시작했다고 한다. 한때 건설업에 종사를 하느라고 사진에서 멀어져 있기도 했지만, 늘 사진을 잊지는 않았다는 것. 그러다가 나이가 먹으면서 이제는 운동을 삼아 다시 카메라를 둘러메고 수원 여기저기를 다니면서 사람들의 사는 모습을 렌즈에 담아내고 있단다.

 

지난해에는 수원의 4대 하천인 황구지천, 수원천, 서호천, 원천리천을 모두 걸어서 답사를 하고 기록으로 남겼어요. 이렇게 사진을 찍으면서 걸어 다니니 운동이 되어서 건강에도 좋고요. 또 기록으로 수원의 모습을 남길 수도 있으니 일석이조죠.”

 

 

노익장을 과시하는 이병익 작가

 

이병익 작가는 권선구 서둔동에서 출생하여 환일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국민대학교를 수료했다. 20118월에는 70을 훌쩍 넘긴 나이로 사진전문지인 월간 생활영상에 입문하여, 20134월에 월간 생활영상 추천작가 및 사진취재 기자로 활동을 하고 있다. 20125월에는 경기도 교육청 평생학습관에서 사진으로 말하기, 201312월 아주대학교 평생교육원 디지털 예술 사진학과를 수료할 정도로 사진에 대해서 욕심을 내고 있다.

 

전시실이 아닌 쉼터인 공간에서 전시를 하고 있는 이병익 작가의 사진을 보고 있노라면, 과거 서민들의 모습이 그대로 배어있다. 진흥청 설경, 향미정 설경, 벼 연구 관찰, 병충해 방제, 삼남길 개통식, 누에고치에서 실뽑기, 잠업에 사용하던 기구들, 고추밭 매기, 모내기, 옥상정원, 파 추수 등 우리 실생활의 모습을 사진으로 담아냈다.

 

 

아름다운 경치 등은 많은 사진작가들이 담아내고 있잖아요. 그리고 그런 사진은 자주 접할 수도 있고요. 하지만 이렇게 사람들이 생활 속에서의 모습도 소중하다고 생각해요. 이런 모습들은 쉽게 변하기 때문에, 얼마간의 시간이 지나면 만날 수가 없는 모습들이죠. 그래서 더욱 소중하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에 이렇게 담아내고 있어요.”

 

사진작품을 전시한다고 해서 남들처럼 커다랗게 뽑아내지도 않았다. 그저 사람들이 눈높이에서 바라볼 수 있는 높이와 크기로 제작하였다. 하지만 그 안에는 우리들의 삶의 모습들이 그대로 덤겨 있다. 525일까지 영동시장 2층 아트포라에서 만날 수 있는 이병익 작가의 추억을 그리는 사진 전’. 시간을 내어 옛 모습들을 만나보기를 권한.

 

골목의 정경을 그대로 사진에 담아냈다. 2일부터 수원시 팔달구 남창동 행궁거리 끄트머리에 소재한 임 아트갤러리에서 14일까지 제3회 정기전시회로 골목을 여는 수원을 기록하는 사진가회 회원들. 넓지 않은 공간이지만 15명의 작가들이 참여를 하여, 골목의 정취를 그대로 담아냈다.

 

수원을 기록하는 사진가회2008년에 창립이 되었다. 수원의 모든 것을 사진으로 담아 기록을 하기 위한 모임이다. 2010년에는 지동 못골 사진 Project를 열었으며, 2011년에는 대안공간 눈에서 제1회 정기전시회를 열었다. 920~29일에는 서수원주민편익센터 초대전을 열기도 했다.

 

 

2011년에는 이 외에도 민예총 나혜석 거리축제 초대 전시와 프리즌 페스티벌 초대전시, 행궁길 한데우물 한데 웃자초대 전시로 사람들에게 작품을 선보였다. 2012년에는 제2회 정기전시회로 행궁길 레지던시 1층 전시장에서 사라져가는 것에 대한 기록으로 전시를 가졌다.

 

수원의 정취를 기록하는 순수 사진가들

 

수기사(수원을 기록하는 사진가회의 약칭)는 수원의 잊혀 가는 모습들, 정겨운 수원 사람들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아내는 순수 사진가 모임이다. 골목전은 공동주택문화의 발달로 인해, 점차 사라져가고만 있는 골목길 풍경과, 골목길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작가들의 시선으로 담아냈다.

 

 

전시된 작품들 속에는 좁은 골목길의 퇴락한 모습과 함께, 그 골목길에서 삶을 영위하는 사람들의 표정이 담겨있다. 수없이 땅바닥에 찍힌 발자국이 있는가 하면, 출입문 위에 조성한 장독대에서 장을 푸는 할머니도 만날 수가 있다. 골목길에서 김장을 하는 사람들의 모습과 정겹게 배추쌈을 먹이는 모습도 발견할 수 있다.

 

어느 작가는 사진 한 장에 3계절을 잇대어 담아내는가 하면, 달동네 독거노인이 사랑으로 배달해 준 연탄을 집게로 들고 호나한 미소를 띠우고 있는 모습도 보인다. 아마도 한 겨울채비를 마쳤다는 안도감에서 오는 편안함이었을 것이다. 담벼락에 직접 써 붙인 월세방이라는 문구가 골목 입구에 붙여져 있는 모습도 보인다.

 

 

잊을 수 없는 정겨운 풍경들

 

골목은 늘 어딘가를 향한다. 포근한 집이든, 고달픈 일터든. 골목을 찍다보면 그곳에서 늘 누군가를 만날 것 같은 생각이 든다. 어린시정 당신의 식권을 아껴 자식들 줄 빵과 우유를 늘 옆구리 끼고 오시던 말없던 그 아버님 같은 그 누군가를 말이다. 난 골목에선 길을 보고 길에선 그리운 추억과 만난다.’

 

서동수 작가의 이라는 제목을 붙인 사진의 설명이다. 이렇듯 골목에는 많은 이야기들이 있다. 송응준 작가는 다른 풍경이라는 제목을 붙인 사진을 전시했다. 지동 벽화마을에서 본 녹슨 철문으로 집안을 가려 놓은 것을 보고, 그들만이 상처를 가리기 위한 것은 아니었겠느냐고 묻고 있다.

 

작가 이규석은 골목길의 주제를 개똥으로 삼았다. 15명의 수기사 회원들인 작가들이 골목길에 대한 해석을 저마다 달리하고 있다. 하지만 그 골목길에는 지금은 볼 수 없는 정겨운 모습이 있는가 하면, 골목만이 갖고 있는 아픔도 있다. 하지만 그렇게 서로 상반된 형태가 우리들이 살아가는 모습이 아닐까? 골목에서 만난 이 시대의 한 구석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