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임실군 관촌면 덕천리에 있는 사선대는, 예전에 신선이 놀던 곳이라고 한다. 이곳을 ‘사선대(四仙臺)’라고 하는 이유는, 옛날 진안의 마이산과 임실 오원산의 네 산신들이, 오원강 기슭에서 까마귀 떼와 함께 목욕을 하고 있는데, 하늘에서 선녀들이 내려와 신선들을 모시고 올라갔다고 전한다. 그 후 해마다 선녀와 신선들이 이곳에 내려와 놀았다고 전한다.

 

사선대 위에 아름다운 정자 하나가 자리를 잡고 있다. 신선이 놀던 자리에 지었다는 운서정. 운서정은 아래쪽으로 흐르는 내를 내려다보면서, 절벽 위에 솟구치듯 서 있다. 1928년부터 김승희가 부친 김양덕의 추모하기 위하여, 당시에 쌀 3백석이라는 비용을 들여 6년여에 걸쳐 지은 정자다.

 

 

절로 바뀐 운서정

 

운서정은 전주 - 남원 간 17번 국도를 따라 가다가 관촌 입구 대원주유소 삼거리를 지나쳐서 오원교를 건너 우측으로 난 길을 따라 진안 방면으로 진입하면 된다. 남원 방면으로 가다가 보면 사선문이 서 있는데, 사선문 곁으로 난 진안으로 들어가는 길을 따라가면 사선사라는 이정표가 있다.

 

아니면 사선문에서 차를 내려 좌측 등산로를 따라 들어가면 백제 무왕 때 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성미산성(城嵋山城)에 이르는 등산로를 따라서도 운서정에 도착할 수 있다. 현재 운서정은 대한불교 조계종 사선사라는 간판이 붙어있다.

 

 

 

 운서정의 출입문인 가정문과 운서정, 그리고 현판


원래 운서정은 정각과 동, 서재, 그리고 가정문 등으로 이루어진 전각이었다고 한다. 일제 치하에서는 우국지사들이 모여 망국의 한을 달래던 곳이기도 하다. 현재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35호로 지정이 되어 있는 운서정은, 조선조 건축양식의 대표적인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운서정은 좋은 목재와 돌기둥 등을 이용하여 지은 건물로 감탄을 자아내게 만든다.

 

절로 감탄을 하게 만드는 운서정

 

운서정 앞으로 걸어가다가 보면, 가정문을 보면서부터 감탄사가 절로 터져 나온다. 날렵하게 서 있는 솟을대문에 ‘가정문(嘉貞門)’이란 현판이 걸려있다. 좌측 벽에는 <사선대 사선사>라 쓴 현판이 부착이 되어 있고, 안으로 들어가니 운치 있는 돌계단 위에 운서정이 자태를 뽐낸다.

 

 

 

 정자에 사용한 치목이나 조각들을 보면 이 정자가 뛰어난 조형미를 갖춘 정자임을 알 수 있다


하늘 닿게 높다라니 솟아 뒤로 구름을 배경삼은 운서정.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면서 좌우로는 사선사의 인법당과 요사가 보인다. 운서정에는 동, 서재가 있다고 했는데 이 건물들이 동, 서재인 듯하다. 그러나 동서재의 옛 모습과는 많이 달라진 듯 그 자태를 찾아볼 수가 없다. 운서정은 돌계단을 올라 자리하고 있다. 돌계단을 오르면서 보면 거대한 돌로 주추를 놓았는데, 주추에도 조각을 해 놓았다.

 

오원천과 함께 어우러진 이 정자, 신선이 놀만하네

 

운서정은 정말 운치가 있는 정자이다. 아래로는 오원천이 흐르고 있어 절경에 자리 잡고 있다. 운서정을 보니 지금은 문이 없으나, 문을 올려 걸어놓을 수 있도록 전각을 빙 둘러 고리가 달려있다. 전각의 단청이나 조각 등 하나하나에도 세심한 신경을 쓴듯하다. 중앙에는 두 마리 용이 양편에서 전각의 천정을 휘감고 있다.

 

 

 

 

다양한 조각으로 장식한 운서정. 정자 외부에도 용머리를 조각하였다. 처마를 받치고 있는 활주의 주추가 특이하다(아래)


밖으로도 입을 딱 벌린 용머리를 조각해 그 멋을 더하고 있다. 어디서 바라보아도 흐트러짐이 없는 정자의 모습에 그저 감탄이 절로 나올 뿐이다. 운서정을 나와 오원천을 밑으로 난 길을 걸으면 가칭박달나무 등 천연기념물을 만날 수도 있다. 그저 아무 생각없이 걸어볼 수 있는 길. 아마 신선들이 이곳을 찾은 이유도 이러한 경치 때문이란 생각이다. 나그네의 발길을 멈추게 한 정자 운서정은, 그렇게 절집으로 변해버렸지만 그 멋진 자태를 자랑하고 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