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성북구 돈암동 595 소재한 흥천사. 흥천사는 조선 태조 4년인 1395년에 신덕왕후 강씨가 죽자 능을 정릉으로 정한 후 세운 사찰이다. 당시 이 절은 관세음보살상을 모시고 국가와 국민의 안녕을 기원하던 170여 칸 규모의 큰 사찰이었다. 흥천사, 이 절은 어릴 적에는 정릉 신흥사라고 불렀다.

 

정릉 신흥사라고 한 까닭은 이 절이 정릉의 원찰이었고, 이름이 신흥사였기 때문이다. 어린 시절 이 근처에서 살던 나로서는 이 신흥사가 늘 벗들과 함께 뛰어놀던 놀이터였다. 지금도 삼각산 흥천사라고 하면 왠지 생소하다는 기분이 든다. 그것보다는 어린 시절 우리가 부르던 정릉 신흥사가 더 마음에 와 닿는 곳이다.

 

 

조선 태조 5년에 창건한 신흥사

 

신흥사는 조선조 태조 5년인 1396년에 왕실의 발원으로 지은 사찰이다. 170여 칸의 대가람으로 사명을 신흥사라고 하였으며, 극락보전에 태조 왕궁의 궁중원불인 42수 관세음보살존상을 봉안하였으며, 국제를 거행하던 절이었다. 이 절은 왕실의 위엄을 모아 나라의 명찰이라 하여 조계종의 본사로 명명하였다.

 

1409년 선덕왕훙의 능을 숭신방 사아리로 이전하고 흥천사도 능방에 소암으로 이건해 이름을 신흥사로 불렀다. 중종 5년인 1510년에는 화재로 인해 혜진하고 대종은 덕수궁에 보관되어 왔다. 정종 18년인 1794년 성민화상 등의 발원으로 현 위치로 이건하였다. 철종 4년인 1853년 계장화상의 발원으로 극락보전을 중수하였다.

 

 

철종 6년인 1855년 순기화상의 발원으로 명부전을 건립하였으며, 고종 22년인 1885년에는 대방을 중수하였다. 현재 흥천사에는 극락보전을 비롯하여 명부전, 대방, 삼성각, 종각, 칠성각, 용화전, 연화대 등이 자리하고 있다.

 

흥천사 극락보전과 명부전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66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극락보전은, 10겁 이전에 성불하고 서방 극락세계에서 대중을 위하여 설법하고 있는 아미타불을 모시는 법당이다. 철종 4년인 1853년에 계장스님에 의해 다시 지어졌다. 정면 3, 측면 3의칸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여덟 팔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면서 장식을 겸하는 공포가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놓인 다포양식 건물이다.

 

 

흥천사 극락보전은 19세기 사찰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는 화려한 목조 건축으로 뛰어난 건축기술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극락보전의 정면에 달아 낸 창호의 조각인 상당히 독특한 조형미를 자랑하고 있다. 극락보전은 서울에서는 희귀한 사찰의 건축물로 매우 귀중한 유산으로 평가된다.

 

1985125일 극락보전과 함께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67호로 지정이 된 명부전은, 지옥에서 고통 받는 중생을 구제해 주는 지장보살을 모시는 법당으로, 철종 6년인 1855년에 순기스님이 세웠다. 지장신앙은 아미타신앙과 함께 조선시대에 널리 유행한 민간신앙으로서, 조선시대의 사찰에는 거개가 명부전이 건립되었다.

 

 

정면 3, 측면 2칸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사람 인자 모양인 맞배지붕집이다. 내부에는 시왕을 거느린 지장보살상을 모시고 있고, 그 뒷면 벽에 지장보살의 모습이 담긴 불화가 걸려 있다. 흥천사 명부전은 옛 목조 건물의 전통을 이어 받았으면서도 단순하고 소박하게 꾸며진 이 법당은 조선 후기 사찰 건축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어린 시절 경내를 뛰어다니면서 노닐던 신흥사. 정릉신흥사는 삼각산 흥천사라는 다른 이름으로 눈에 들어온다. 조금은 낯선 느낌이 들기도 하는 것은, 정겨웠던 이름 때문인가 보다. 하지만 무엇이 대수이랴. 어차피 그곳에 많은 조형물들이 그대로 있었던 것인데.

개심사(開心寺). 말 그대로 ‘마음을 여는 절’이란 뜻이다. 이 절에 가면 절로 마음이 열릴까? 그렇다면 그 마음이 열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부처님 앞에 머리를 조아려 108배를 하면 마음이 열릴까? 아니면 도력 높은 스님의 법문으로 인해, 꽁꽁 닫혔던 마음의 문이 열릴까? 참 알 수 없는 절 이름이다.

 

그런데 정말 이상한 일이 벌어진다. 이 절에 들어서면서 만나는 전각들에게서, 그만 마음이 열리고 말았다. 괜히 넋 나간 인간처럼 비실거리고 웃다가 보니, 절로 마음이 열렸다. 충청남도에 있는 절집 중 4대 사찰의 하나로 백제시대에 혜감국사가 창건했다고 하는 개심사는, 처음에는 개원사였다고 한다.

 

백제 때의 기단이 남아 있어

 

서산시 운산면 신창리 11-5에 소재한 개심사는, 아직도 백제 때의 기단이 남아있는 절이다. 현대의 대웅전은 성종 6년인 1475년에 산불로 소실이 된 것을, 성종 15년인 1484년에 중건하였다. 1484년에 중건한 대웅전이 아직 보존이 되어있으니, 대웅전은 530년이라는 세월을 지키고 있는 전각이다.

 

대웅전의 기단은 백제 대 것이라고 

 

보물 제143호로 지정이 된 대웅전은 다포식과 주심포식을 절충한 건축양식을 보이고 있다. 개심사 경내에는 보물인 대웅전 외에도 보물 제1264호로 지정된 영산회 괘불탱, 충남 문화재자료 제194호인 명부전, 충남 문화재자료 제358호인 심검당 및 아미타본존불, 관경변상도, 칠성탱화, 오층석탑, 경전 목판 등의 자료가 있다.

 

여름에 처음으로 만난 개심사

 

개심사는 벌써 4~5 차례나 찾았던 절이다. 그러나 이곳을 찾았을 때는 모두 가을이었다. 굳이 가을을 고집했던 것은, 가을이 참 아름다우 절이기 때문이다. 7월 28일(일), 이번에 처음으로 한 여름에 개원사를 찾은 셈이다. 개원사는 아름다운 절이다. 전에는 계단과 흙길로 오르막이었으나, 이번에 찾아가니 계단을 말끔히 정리하여 사람들의 보행에 편하게 해 놓았다.

 

해탈문서 부터 기둥이 틀어졌다(위). 종각 역시 마찬가지

 

절집을 찾아갈 때 바쁠 이유가 없다. 삼사순례로 찾아간 개원사였지만, 일행의 뒤에 쳐져 혼자 길을 걷는다. 장맛비가 오락가락 하고는 있지만, 빗방울 몇 방울 더 맞으면 어떠하랴. 계단을 오르다가 보니, 저만큼 개심사가 보인다. 계단 끝에는 아름드리 고목과 연못이 있고, 연못가에 자란 배롱나무는 꽃이 지고 있다.

 

개심사 경내로 접어든다. 대웅전과 안양루가 남북으로 배치가 되어있고, 심검당과 무량수각이 동서로 나뉘어져 자리하고 있다. 무량수각 뒤로 돌면 명부전이 있고, 그곳을 지나 산길로 오르면 산신각이 자리하고 있다. 언제나 이 절을 찾아가면 그리 마음이 느긋해진다. 왜 그렇게 마음이 편해질까?

 

심검당이라고 무엇이 다를까? 자연은 개심사 곳곳에 있다 

 

스님, 치목이 안 되었나 봅니다.

 

상왕산 개심사라는 현판을 달고 있는 안양루 옆으로 작은 해탈문이 있다. 그 해탈문을 들어서다가 그만 웃고 만다. 괜한 생각이 들어서이다. 제 멋대로 구부러진 나무를 이용해 조성을 한 일각문. 스님이 치목을 하기 싫으셨을까? 아니면 그냥 제멋대로 갖다 맞추신 것일까? 일각문의 묘한 생김새가 사람을 즐겁게 한다.

 

안으로 들어가 경내를 한 바퀴 돌아본다. 종각의 기둥들도 제멋대로다. 얼마나 자연스런 스님이 머물다 가셨기에, 자연 그대로를 이렇게 기둥으로 사용을 하셨을까? 심검당의 배흘림 기둥도 눈길을 끈다. 심검당 한 편으로 돌아가니 이 곳 기둥 역시 다르지 않다. 그러면 그렇지, 속으로 쾌재를 부른다. 생각이 맞아 떨어졌기 때문이다.

 

틀어짐의 압권인 전각(위) 과 명부전도 틀어지기는 마찬가지

 

무량수각 앞에서 대웅전을 향해 합장을 하고 난 뒤, 무량수각을 지나 명부전 쪽으로 발길을 옮긴다. 예스런 전각 하나가 서있고 앞에는 사람들이 담소를 하고 있다. 이 전각의 기둥 역시 제멋대로이다. 개원사의 스님들은 나무가 없었던 것도 아닌데, 왜 치목을 하지 않으셨을까?

 

산신각에 무슨 까치살창이 있어?

 

명부전 앞을 지나치려는데, 삼사순례를 도는 일행들이 명부전에서 나온다. 잠시 안을 향해 합장을 한다. 명부전 기둥 역시 뒤틀려 있다. 산신각으로 오르는 길을 걷는다. 몇 해 전인가?, 가을에 이곳을 찾았을 때 단풍이 떨어져 만든 아름다운 관경이 눈에 선하다. 다시는 돌아가고 싶지가 않았는데. 산신각 앞에도 무리가 지어 있다.

 

 

일행과 함께 보조를 맞추어 돌아가려면, 어디를 들어가 제대로 108배 한 번 할 수가 없다. 여기저기 돌아다니면서 모든 것을 담아야 하기 때문이다. 답사를 다닐 때마다, 혼자 호젓하게 길을 떠나는 이유도 바로 이런 것 때문이다. 그저 108배를 하던지, 아니면 피곤한 다리를 쉬던지 시간에 구애를 받지 않아서이다.

 

비바람에 산신각의 기왓장이라도 날아갈까 봐 그랬는가? 끈으로 묶어 놓았다. 산신각 앞에 서서 합장을 하고 뒤돌아서려는데, 전에는 미처 신경을 쓰지 못했던 것이 보인다. ‘산신각에 무슨 까치살창이 있지’. 이런 것은 부엌이나 광에나 사용을 하는 것인데. 그러고 보니 개심사라는 이절, 하나도 정해진 틀이라는 것이 없다.

 


 2007년 11월 11일 단풍이들고 낙엽이 가득한 깊은 가을의 개심사 모습입니다


 

“스님, 참으로 대단하십니다. 어떻게 하나같이 제멋대로입니까? 그래서 닫혔던 마음이 비틀어진 기둥사이에 난 틈으로 바람이 들어와, 빗장을 열어주었습니다. 스님 고맙습니다. 이 절에서 스님 덕분에 마음을 열고 갑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