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즈음처럼 날씨가 쌀쌀할 때는 무엇인가 좀 따듯한 것이 필요하다고 느낍니다. 타고난 천성이 ‘살아생전 굶는 한 끼, 저승에서도 못 찾아먹는다’리고 늘 생각하는 인사인지라, 하루 세 끼 밥은 꼭꼭 찾아먹는 편입니다. 가끔 답사를 나가 제 시간을 못 맞추기는 해도, 그래도 끼니를 거르지는 않습니다.

 

새벽까지 글을 쓰다가 보니, 아침을 해먹는다는 것이 조금은 불편하기도 합니다. 이럴 때 묵은지가 있으니, 따듯한 버섯찌게라도 끓여야겠다고 생각을 하죠. 저희는 생각이 나면 바로 실행을 해야 직성이 풀리는 인사인지라, 가릴 것 없이 시작을 했죠. 요즘 같은 날씨에 제격이라고 스스로를 칭찬을 해가면서. 암튼 아무도 못 말립니다.

 

 

1. 준비

 

준비라야 머 있습니까? 집안에 있는 재료 이용합니다. 거창하게 하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마침 며칠 전에 ‘e수원뉴스’ 시민기자 한분이 묵은지를 한 통 주셨습니다. 그런데 이 묵은지 맛이 예사롭지 않습니다. 마치 어머니의 손맛을 그대로 담아낸 듯하죠. 거기다가 강원도 깨끗한 바닷물로 간수를 해 담은 된장이 있습니다.

 

이 된장 맛을 보신 분들. ‘대한민국 최고의 장이다’라고 할 정도니까요. 거기다가 버섯과 파, 두부는 늘 냉장고 안에 조금씩 준비를 해놓고 있습니다. 조미료를 일체 사용하지 않는 나로서는 머 이 정도만 가져도 충분합니다.

 

 

먼저 버섯을 잘라놓고 파는 썰어 준비를 합니다. 물론 두부도 잘라놓습니다. 그리고 냄비에 묵은지와 된장을 아래 깝니다. 그래야 물이 끓으면 된장이 골고루 잘 퍼지니까요. 사람들은 두부를 나중에 넣습니다. 허나 저는 먼저 집어넣습니다. 그래야 두부에 간이 잘 밴다는 나름대로의 되먹지 않은 고집 때문입니다.

 

2. 조리

 

조리라고 해서 특별하지는 않습니다. 물을 끓이다가 김이 나기 시작하면 버섯과 파를 집어 넣습니다. 그리고 물이 끓기 시작하면 잣과 다진마늘을 조금 넣어줍니다. 잣은 씹히는 맛이 일품이고, 마늘을 천천히 넣으면 묵은지의 맛과 잘 어우러지기 때문이죠.

 

 

팔팔 끓기 시작하면, 미리 준비를 한 밥도 뜸이 들 때가 됩니다. 그럴 때쯤 밥을 먹기 위해 밑반찬을 준비합니다. 냉장고 안에는 그대로 꽤 여러 가지 반찬들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시계바늘 방향으로 이야기를 하자면 멸치볶음, 깻잎, 젓갈, 양파짱아치입니다. 젓갈을 좋아하는 고로 꼴두기젓, 밴댕이 젓, 그리고 게도 있습니다.

 

 

 

이렇게 모든 준비를 마쳤습니다. 먹기만 하면 됩니다. 항상 ‘밥은 잘 먹고 다니자’가 제 주장입니다. 남들보다 더 많이 걸어야하고, 남들보다 더 많은 일을 해야 하는 나로서는 잘 먹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단 생각입니다 . 아침은 유난히 신경을 써서 먹습니다. 아침이 든든해야 하루 종일 잘 돌아다니니까요. 11월 13일 오늘 아침 제가 먹은 밥상입니다.

‘송이버섯 중에는 양양송이를 제일로 친다.’고 사람들은 그렇게 이야기를 한다. 송이버섯이야 어디서 채취를 하나 그 향이 독특해, 이 계절에는 산을 오르면 송이가 날만한 곳은 송이를 따러 다니는 사람들을 자주 만나고는 한다. 그만큼 자연산 송이버섯은 향이 특이하고 좋다고 한다, 일설에는 ‘1능이 2송이 3표고’라고도 한다. 아마 그 향으로 순위를 따지는 것인가 보다.

우리나라의 문헌에 송이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이인로(1152~1220)의 시에서 보인다. 『동국여지승람』에는 우리나라 각처의 명산물로 송이를 들고, 『동의보감』에는 “송이는 맛과 향이 매우 뛰어나고, 소나무의 기운이 있다고 기록하였다. 산중 고송 밑에서 자라기 때문에 소나무의 기운을 빌려서 생긴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나무에서 나는 버섯 가운데서 으뜸가는 것이다.”라고 적고 있다. 송이는 양양, 봉화, 남원, 구례 등에서 자생한다.

양양 황금송이 한 상자로 선물로 받았다.

이 계절의 미각을 돋우는 송이

송이버섯은 위와 장 기능을 도와주고 기운의 순환을 촉진해서, 손발이 저리고 힘이 없거나 허리와 무릎이 시릴 때 좋다고 한다. 송이버섯에 있는 다당체는 항암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송이는 해마다 그 수확량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이다. 지난해에는 천정부지로 뛰어오른 송이 값이, 서민들은 아예 꿈도 꾸지 못할 정도로 고가이기도 했다.

이러한 송이를 한 상자를 선물로 받았다고 하면 어떨까? 물론 나에게 온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 양양산 황금송이 한 상자를 선물로 받고 보니, 고민이 되었다. 이 송이를 어떻게 요리를 해먹을까 하는 고민에서다. 주변에 있는 사람들을 불러모아 함께 맛을 보자고 한 뒤에, 산을 다니면서 채취를 해놓은 능이버섯과 싸리버섯으로 된장국을 끓였다.

큰 것은 휴대폰과 비교도 되지 않는다.

황금송이버섯으로 지은 밥, 정말 일품이네.

송이는 물로 씻지 않는다. 그만큼 향을 중요시하기 때문이다. 대개는 겉에 묻은 흙을 털어내는데도 조심을 하는 모습을 볼 수가 있다. 부드러운 칫솔 같은 것으로 살살 닦아내면 흙을 털 수가 있어 좋단다. 이나저나 이 귀한 양양 황금송이를 어떻게 할까 망설이다가, 여러 명이 먹을 수 있도록 송이를 잘게 찢어서 밥을 하는데 집어넣었다.

일명 ‘황금송이버섯 밥’을 한 것이다. 그리고 능이버섯과 싸리버섯을 이용해 된장국을 끓였다. 송이 향이 빠질까봐 뚜껑도 열지 못하고 기다렸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 밥이 다 된 것 같아 뚜껑을 열고 보니, 세상에 밥에서 나는 송이향이 말로 설명할 수가 없을 정도다. 따듯한 밥 한 그릇에 버섯된장국 한 대접. 누구 부러운 사람이 없다.


송이를 넣어 밥을 하고, 채취해 놓았던 능이와 싸리버섯을 넣어 된장을 끓였다. 진시황도 이런 음식은 못 먹어보았을 것이란 생각이다.

생각이나 해보았을까? 황금송이버섯 밥이라니. 향이 풍기는 밥을 한 그릇 후딱 비우고, 다시 한 그릇을 담아 먹는다. 이런 특별식이라면 살이 좀 찐다 해도 괜찮을 듯. 양양송이 몇 개가 그렇게 행복을 줄줄 몰랐다. 먹는 것에 그리 탐을 하는 사람이 아니건만, 이렇게 식탐을 하는 사람이 되어버렸으니. 그래도 그 귀한 송이버섯 밥을 먹었다는 생각으로 며칠은 즐거운 날이 될 듯하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