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식당이라면 자랑 할 만하지
가끔 손님들을 만나야 할 때면 찾아가는 집이 있다. 수원시 장안구 하광교동과 상광교동에는 유난히 보리밥집들이 많다. 이곳의 보리밥집들은 주말과 휴일이 되면 사람들로 넘쳐난다. 주말을 맞이해 광교산으로 산행을 하는 사람들이 워낙 많다보니, 이 곳 식당들도 항상 사람들로 넘쳐난다.
그 중에서 내가 자주 가는 집이 있다. 식당의 맛이야 사람마다 느끼는 것이 틀리니, 이 집에 최고다라는 말은 사실 상당히 조심스럽다. 내가 최고다라는 말은 내 입맛에 맞을 뿐이지, 모든 사람들이 나와 입맛이 같지가 않기 때문이다. 하기에 맛집을 소개할 때는 상당히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다.
‘시골밥상’, 이름 그대로
수원시 장안구 하광교동 105에 자리한 시골밥상(031-248-4497). 손님들과 함께 식사를 해야 할 일이 있으면 자주 찾아가는 집이다. 우선 시골스런 분위기도 좋지만 이 집의 보리밥에 비벼먹는 나물이 기가 막히기 때문이다. 딴 집은 보통 나물이 5~6가지가 나오지만, 시골밥상은 꼭 9가지나 되는 나물이 나온다. 그만큼 푸짐한 비빔밥을 맛볼 수가 있는 집이다.
사실 이 시골밥상은 단골들이 주로 찾는 집이다. 큰길가에서 뒤편에 자리하고 있기 때문에 초행인 사람들은 잘 모른다. 광교저수지를 끼고 상광교 방향으로 올라가다가 보면 영동고속도로 밑을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조금 더 올라가 길가 우측 뒤편에 자리하고 있다. 언제나 찾아가도 항상 사람들이 있는 집이다. 대개는 단골들이지만.
그 자리에서 무쳐주는 맛이 일품
이 집은 항상 봄동배추를 그 자리에서 바로 무쳐서 내온다. 씹으면 바삭한 것이 일품이다. 또한 돼지고기 찌개와 함께 옅은 된장찌개를 내준다. 배추 입에 싸서 비벼놓은 밥과 매콤한 돼지고기를 함께 싸 먹으면 기분까지 좋아진다. 항상 이 집에 가서 밥을 먹을 때면 해물파전도 한 장 시킨다. 둘이 먹어도 다 못기 때문에 남은 전은 항상 싸오지만.
늘 시골밥상을 갈 때 함께했던 사람들에게 듣는 말이 있다. 근처 보리밥집 중에서는 최고라고 한다. 많이 먹어본 사람들도 이 집의 나물은 인기가 좋다. 딴 집보다 서너 가지나 많기 때문이다. 밥 한 그릇에도 기분이 좋아지는 집. 혹 광교산을 오를 일이 있으면 꼭 한 번 찾아가 보기를 권한다.
주소 : 수원시 장안구 하광교동 105
전화 : 031)248-4497
가격 : 비빔밥 6,000원 / 해물파전 10,000원
“식당 상차림이냐고요? 아닙니다.”
어제 늦게까지 마신 술로 인해 아침에 갈증이 난다. 새벽녘에 누군가 부르는 소리가 들려 창을 열어보니 친구 녀석 하나가 문 밖에 서 있다. 외국에 나가 사는 녀석인데 뻔질나게 들어온다. 말이야 사업차라지만, 이 새벽에 서울도 아니고 예까지 웬일인가 싶다. 들어오자마자 이 녀석 밥 타령이다.
“배고프다 밥 좀 다오”
“해장국이라도 사먹지 그랬냐.”
“난 조미료 친 음식은 못 먹는 것 알잖아.”
“그래도 그렇지 여기가 무슨 식당이냐.”
정말 말이야 육두문자를 섞어가면서 했지만, 적을 글이야 그럴 수 없으니 말이다. 암튼 이 친구 녀석은 한국만 나오면 우리 집에 와서 밥을 차려달란다. 딴 곳에서 한 그릇 먹던지, 아님 제 동생들도 서울에 살고 있는데 새벽이고 밤이고 우리 집으로 오는 이유를 모르겠다. 물론 동생네 집보다 우리 집이 밥 달라고 하기가 편하다고 너스레를 떠는 데야 어쩔 수 없지만.
어찌하랴 얼른 차려 먹어야지
참 이 정도면 이 녀석 친구가 아니고 상전이다. 어쩌다가 이 나이에 상전 한 분 모셔야 하는지 어이가 없다. 아마 매일 이렇게 찾아온다고 하면 벌써 어디론가 잠적을 했을 것만 같다. 이 친구 녀석은 참 당당도 하다. 밥을 달라고 하는 주제에 주문은 어지간히 해 댄다.
“야 된장국 좀 시원하게 끓여봐라. 너희 집 된장 맛있잖아.”
“됐다. 넌 여기가 무슨 식당인줄 아냐. 아니면 돈을 내던지”
“돈이야 달라면 주지, 그럼 8,000원짜리 밥상으로 차려라”
이 정도면 이 녀석하고는 더 이상 말을 섞으면 나만 손해다. 어떻게 예전에는 말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녀석인데 이렇게 뻔뻔해졌는지. 요즈음은 말하는 투가 여간이 아니다.
마침 냉장고에 사다 놓은 냉이가 있어, 냉이국을 끓여주었다. 반찬이야 나 혼자 먹을 땐 3~4가지면 족하지만 그래도 친구 녀석을 먹여야 하니, 이것저것 한상 차려주었다. 현미밥에 냉이된장국. 거기다가 푸짐한 반찬. 이 정도면 식당에서 먹어도 8,000원짜리는 될 것만 같다.
밥 먹기가 무섭게 떠나버린 친구 녀석
참 블로그가 무엇인지 모르겠다. 친구 녀석 밥상을 차리면서도 그것을 찍고 있다니. 왜 블로그를 하면 사람이 이렇게 변하는 것인지.
“야 네 나이가 얼만데 아직도 밥 하면서 사진을 찍고 있냐. 이제 그 블로그인지 말라비틀어진 수수깡인지 그만 좀 해라. 밥을 하면서도 사진을 찍어대니 참 못말릴 병이다. 넌 아주 중병에 걸린 거야.”
그 녀석 참 밥을 얻어먹는 주제에 탈도 많다. 하긴 그렇다. 이 블로그란 것이 참 묘하기는 하다. 밥이나 차려 먹이면 될 것을 일일이 사진을 찍고 있으니 말이다. 어쨌거나 배고프다고 졸라대는 친구 녀석을 위해 상을 차려놓고, 잠시 일이 있어 밖으로 나갔다. 그런데 참 어이가 없다.
한 30분 정도밖에 시간이 지나지 않았는데 집에 들어오니 친구 녀석이 보이지 않는다. 어디 산책이라도 나갔나보다고 밥상을 치우고 앉아있는데 전화가 온다.
“야! 친구야 나 서울 가고 있다. 내일 다시 들어가야 하는데, 이젠 가을에나 나올란다. 나오면 또 들릴게. 밥 잘 먹고 간다.”
참 어이가 없다. 밥 한 그릇을 먹자고 그 새벽에 서울에서 내려오다니. 하기야 꼭 밥을 먹으러만 왔을 리는 없다. 늘 여기저기를 돌아다니면서 바쁘게 사는 녀석이라, 그래도 얼굴이라도 보려고 온 것이지를 다 일고 있으니 말이다. 그래서 늘 고맙다. 그냥 한국에 나왔다가 모르는 체 들어가도 되는데 말이다. 나이가 먹어 가면 친구가 좋은 것인지도 모르겠지만.
“이나저나 오늘도 밥 값 또 뜯겼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