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에 굴뚝에 대한 글을 쓰면서, 제일 먼저 궁궐의 화려한 굴뚝에 대한 글을 썼다. 그리고 사대부가의 기와집의 굴뚝에 대한 글을 적었다. 이제 남은 것은 사대부가도 있지만, 주로 민초들이 살던 초가의 이야기이다. 사람들은 궁궐의 굴뚝과 사대부가인 기와집의 굴뚝도 특징이 있지만, 초가의 굴뚝은 또 나름대로 특징이 있다.

초가는 지붕을 얹은 짚이 불에 잘 붙는다는 특성이 있다. 그래서 비교적 굴뚝을 높게 올리거나, 멀리 떨어져 세운다. 대개의 경우는 높이 올리는 편인데, 이는 낮은 굴뚝을 통해 불똥이 날아오르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중요민속문화재 제148호 정원태 가옥의 사랑채 굴둑. 전형적인 초가의 굴뚝이다. 제천시 금성면 소재. 이 집은 사람이 살고 있다. 


초가의 굴뚝은 높거나 멀거나

문화재 답사를 다니면서 한 가지 답답한 일을 겪는다. 그것은 바로 복원이라는 허울아래 망가지고 있는 우리의 문화재들이다. 전문적인 보수 기술자들이 복원을 한다고 믿고 있는데, 정작 돌아보면 그렇지가 않다는 점이다. 괜히 겉멋을 부리려고 그렇게 하는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일이 일어나고 있다는 점에 마음이 아프다.

초가의 굴뚝인 그 구조상 굴뚝이 지붕보다 높아야 한다. 아니면 연도를 길게 빼어 집과 멀리 떨어트려 놓는다. 이러한 이유는 불을 붙기 쉬운 지붕 때문이다. 사대부가에서는 장작을 주로 때지만, 민초들은 삭정이나 검불 등을 주로 땐다. 그러다가 보니 불똥이 굴뚝을 통해 날아오를 수가 있는 것이다. 짚으로 이은 초가는 불똥만 튀어도 불이 붙을 수가 있다.

(사진은 용인 한국민속촌에 있는 초가집 굴뚝이다. 하나는 지붕보다 높게 올라가고, 돌로 쌓은 굴뚝은 집에서 떨어져 있다)

그런 화재를 염려해서 굴뚝을 높게 올리는 것이다. 굴뚝이 높으면 그만큼 불똥이 튈 확률이 적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굳이 높게 할 수가 없을 때는 굴뚝을 연도를 길게 빼서 멀리 놓는다. 이 또한 불똥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어이없는 요즘 초가의 굴뚝, 아예 굴뚝이 없기도

초가의 굴뚝이 더 높은 이유는 민초들의 아픔이기도 하다. 잘 마른 장작하나 제대로 땔 수가 없는 지난 시절, 그나마 나무 삭정이나 검불이라도 많이 때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러한 땔감들은 굴뚝을 통해 곧잘 시뻘겋게 불똥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데서 화재가 발생하기 때문에, 굴뚝을 높이거나 멀리 설치를 해야만 한다.


위는 사적 제230호인 천안의 유관순 생가지의 굴뚝이다. 전형적인 민초들의 굴뚝 모습이다. 아래는 충북 문화재자료 제38호인 청원 낭성 관정리민가의 굴뚝이다. 연도에서 솟은 연소통이 짧다. 이 집이 있던 곳은 바람이 많지 않았다고 하지만, 초가의 연소통치고는 너무 짧은 감이 있다.


이런 초가 굴뚝의 특성은 복원이라는 허울로 우스꽝스러운 모습으로 변질이 되어버렸다. 굴뚝의 연도를 뺀 후 길게 연소통을 올려야 함에도 불구하고, 굴뚝 연도 끝에 작은 통 하나를 박아놓는 것으로 그쳤다. 만일 그런 곳에 검불이나 삭정이들을 아궁이에 집어넣고 불을 지핀다고 하면, 그야말로 불조심과는 거리가 먼 일이다.

그런데 여기저기 옛 집들을 돌다가보니, 더 가관인 집도 있다. 아궁이는 있는데 아예 굴뚝이 없다. 세상에 굴뚝이 없는 집도 있을까? 그렇다면 연소는 어떻게 할까? 그저 대충 집만 비슷하게 만들어 놓고, 그 다음엔 무관심했다는 것이다. 굴뚝은 집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꼭 필요한 구조물이다. 그런 굴뚝이 없이 집을 지어놓고 사람들에게 보여준다는 것이 말이 되는 소리일까?



위는 강원도 고성 왕곡마을의 초가집 굴뚝이다. 바람이 강한 곳이기 때문에 담장에 연도를 집어 넣었다. 가운데는 중요민속문화재 제39호인 고창 신재효 생가의 굴뚝이다. 낮지만 연도를 길게 빼어 집에서 떨어트려 놓았다. 그리고 아래는 삼척시 도계의 신리 너와집 굴뚝이다.


사는 집과 살지 않는 집의 차이

이런 오류는 사람이 살고있는 집과, 사람이 살고있지 않은 집이 극명하게 대비가 된다. 사람이 살고 있으면 제대로 된 굴뚝이 보인다. 문제는 사람이 살고 있지 않은 집들이다. 거의 제 몫을 못하는 보여주기 위한 굴뚝을 만들어 놓고 있다.

초가집에도 아름다운 굴뚝이 있다. 강원도 고성 왕곡마을에 가면 굴뚝이 담장에 올라앉아 있다. 그것도 항아리로 마련하였다. 바람이 센 지역에서는 이런 굴뚝이 보이기도 한다. 담장 안에 연도를 집어넣고, 그 위에 항아리를 올려놓은 것이다. 바람에 무너지거나 날아가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위는 수원 파장동에 있는 중요민속문화재 제123호인 광주이씨 월곡댁의 굴뚝을 세우는 연도이다. 연도만 마련하고 연소통은 마련하지 않았다. 아마도 아궁이는 사용하지 않는 듯하다. 가운에와 아래는 남원 운봉에 있는 가왕 송흥록의 생가지에 세워진 집이다. 측면을 보고, 뒷면을 보아도 굴뚝이 아예 보이지를 않는다.


굴뚝 하나에도 철학이 있는 우리네의 집들. 그 굴뚝을 돌아보면, 나름대로의 멋을 추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것이 바로 우리 선조들의 미학이다.

담은 무슨 용도로 사용이 되었을까? 단지 건물과 대지의 경계선이나 설치물의 주위에 두른 구조물일까? 담은 순수한 우리말이다. 한자로는 원(垣)·장(墻)·원장(垣墻)·장원(墻垣)·장옥(墻屋), 등으로 사용하며, 우리말과 한자가 합쳐진 말로는 담장 등 여러 가지 명칭으로 불린다.

그 담 중에서 간단하게 구조물을 설치한 것이나, 안이 들여다보이게 만든 것을 울·울타리·바자울[笆子籬]·울짱·책(柵)·장리(牆籬)라 한다. 우리 소리에 보면 ‘울도 담도 없는 곳에...’ 라는 노래가사가 있다. 이렇게 울과 담은 그 형태에서 구분이 지어진다. 아마도 양반가의 높은 벽은 ‘담’으로, 민초들의 낮은 울타리는 ‘울’ 생각하면 맞는 뜻일 것이다.


담은 그 종류가 다양하다, 생나무를 심는 생울이 있는가 하면, 싸리나무 등을 엮어 막아놓은 울타리가 있다. 진흙에 짚을 썰어 넣어 이겨서 만든 흙담도 있고, 널판지로 경계를 두른 판장과 판담이 있기도 하다. 그 외에도 돌담, 영롱담, 꽃담, 와담 등 담은 그 재료를 무엇으로 사용했는가에 따라 구분하고 있음을 본다.

담장의 용도, 과연 경계로 구분하고 있는 것일까?

사람들은 담을 경계를 구분하거나 사람들이 사는 곳을 보호하기 위한 설치물로 구분 짓고 있다. 그러나 정말로 이 담이 경계를 막고 설치물을 보호하기 위함일까? 물론 그 말이 맞다고 생각을 할 것이다. 하지만 담과 울은 엄연히 다르다. 담은 경계를 가르고 안을 보호하지만, 울은 굳이 경계를 가르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담은 경계를 나누고 보호를 위한 것이지만, 울은 하나의 결성을 위한 보호적인 차원의 상징이라고 생각한다. 먹을 것을 담장 너머로 전해주는 모습을 볼 수가 있다. 그것이 차단이라면 이해가 안된다. 우리의 울은 바로 나눔이요, 소통이다.

민초들의 울과 가진 자들의 담은 극과 극이다

우리 민가의 담을 보면 막힘이 아니다. 문이라고 해보아야 싸리를 엮어 만든 문이다. 그리고 담장이라고 해보아야 어른 키의 목 밑이다. 누구나 안을 들여다 볼 수가 있다. 옆집과의 경계도 마찬가지다. 보호를 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서로 상통을 하기 위한 수단이다. 담장을 사이에 두고 사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민가의 담장이다. 사대부가의 높은 벽과는 그 차원이 다르다. 그렇다면 왜 우리 민가의 담은 이렇게 낮은 것일까? 그래야만 할 이유가 있었을까?



그것은 바로 소통이다. 사대부가들이 숨길 것이 많다면 민초들은 숨길 것이 없다. 어느 집이나 터놓고 돌아다녀도 잊어버릴만한 것도 별로 없다. 그러다보니 담을 높게 두를 이유도 없고, 안이 안 보이게 문을 만들어야 할 이유도 없다. 그저 허전함만 가리면 그것으로 족하다. 숨기고 감추고 속이는 그러한 담장이 아니라, 소통하고 열고 보여주는 그런 것이 바로 민초들의 울이다.

역사는 늘 담으로 사람들을 구분했다

민가의 담을 보면 끝이 없다. 그저 이집에서 저 집으로, 또 그 다음 집으로 울이 연결이 된다. 낮은 처마 밑으로 두른 담장은 그보다 많이 낮게 만든다. 나를 보여주겠다는 것이다. 나를 숨길 것도 없고 은밀히 숨어서 할 일도 없다. 그런데 이런 담장은 예전이나 지금이나 다를 바가 없다. 즉 담은 어느 시대에서나 소통과 단절로 대두된다.



소통은 민초들이요, 단절은 가진 자들이다. 가진 자들은 보여주기를 꺼린다. 그리고 늘 은밀히 안에 틀어박혀 궁리를 한다. 대개는 그 안에서 서로 목소리를 죽여 몹쓸 짓을 연구한다. 그리고 더 많은 몹쓸 짓을 생각해 낸다.

민초들의 담장은 스스로 낮춘다. 스스로가 부끄러움이 없다는 생각이다. 그저 있는 대로 행하고 먹고 살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진 자들은 항상 숨기려고만 든다. 그러한 검은 사고들이 담장을 높게 만들었다. 그리고 스스로 그것이 위엄이라고 생각들을 했기 때문이다. 소통과 보여줌, 숨김과 차단. 이것은 긴 세월 속에서 변하지 않고 전해진 우리 ‘담’과 ‘울’의 철학이다.


(주) 이 글은 '오마이 뉴스'에 송고가 되었던 것을 다시 정리하였습니다

해수관음으로 유명한 낙산사 7층 석탑만큼 아픔을 바라본 석탑은 없을 것이다. 보물 제499호인 낙산사 칠층석탑은 원통보전 앞에 서 있다. 2005년 산불로 인해 원통보전을 비롯한 낙산사 일부가 불에 탈 때, 담장이 무너지고 원통보전이 전소되는 것을 앞으로 보면서, 그저 열에도 꿋꿋하게 지켜 낸 탑이다. 난 개인적으로 이 탑을 볼 때마다 문화재이기 보다는, 한 시대의 아픔을 이겨냈다는 장인의 온기를 느끼기도 한다.

낙산사 칠층석탑은 의상대사가 처음에는 조성을 할 때는 삼층이었다고 한다. 그 뒤 세조 13년인 1467년에 4층을 올려 현재의 모습인 칠층석탑이 되었다는 것이다. 단층 기단 위에 세워진 낙산사 칠층석탑은 안정감이 있어 보이지는 않는다. 그것은 6.2m의 높이에 비해 기단부가 좁기 때문이다. 삼층석탑을 4층을 더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사진 위는 이번 11월 14일 답사 때의 칠층석탑, 가운데는 지난 2006년 12월의 모습. 그리고 아래는 무너진 원통보전의 담장모습. 불에 탄 흔적이 보인다.
 

부분적인 손상 외에는 제 모습 지녀

일반적으로 석탑은 기단부와 몸돌인 탑 부분, 그리고 상륜부로 구성이 된다. 낙산사 칠층석탑은 덮개석이나 탑의 일부가 훼손이 되었을 뿐, 상륜부 등이 그대로 보존이 되어있다. 기단부에는 정 사각형의 지대석 2매가 놓여있으며, 윗면에는 24판의 겹 연꽃무늬가 조각되어 있다. 이는 고려시대 이후에 나타나는 양식의 특징으로 보인다.

낙산사 칠층석탑의 특징은 탑신부인 몸돌에 있다. 각 층마다 고임돌을 놓고, 위에는 3단의 옥개받침을 올렸다. 이는 간략하기는 하지만 조선조에 보이는 석탑의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내고 있다. 맨 위에 상륜부에는 노반 위에 청동 복발과 보륜 등으로 장식을 했다. 이러한 형태의 모습들은 조선시대 다층석탑에서 보이는 전형적인 모습이다.




탑을 볼 때마다 가슴이 허전해

불타버린 원통보전. 그리고 일부가 무너져 내린 담장. 낙산의 원통보전을 둘러싸고 있는 담장은 기와로 문양을 내고, 중간에 둥근 석재를 이용해 멋을 더했다. 그러한 아름다운 원통보전이 하루아침에 잿더미로 변한 것이다. 이번 답사에서 만난 원통보전과 담장을 말끔하게 새로운 모습으로 바뀌어 있었다.

산불이 원통보전을 태울 때, 그 뜨거운 열에서 칠층석탑이 온전하게 버티었다는 것이 장하기만 하다. 온 나라가 불이 타는 낙산사를 보면서 가슴 아파 할 때, 그래도 그 불길 속에서 남아있던 칠층석탑이다. 그래서인가 칠층석탑을 바라보는 나의 시각은 각별하다. 하나의 소중한 문화재가 무너져 내렸다면, 아마 내 마음도 억장이 무너지는 것 같았으리라는 생각이다.

기단에 새겨진 화려한 연꽃 무늬와(위) 정비가 된 담장(아래).
그러나 무녀졌던 곳의 색이 달라 아픔을 기억하게 한다.

이번 답사에서도 낙산사에 들려 칠층석탑을 바라보면서, 낙산사의 그 무엇보다도 소중하게 여겨졌던 것은 바로 그러한 이유에서다. 그저 고맙고 또 고마운 생각에 부여안고 울음이라도 터트릴 것만 같았다. 사람들은 그 생명도 없는 차디찬 돌에 대고 무슨 할 말이 그리 많냐고 질문을 한다. 하지만 나에게는 하나의 탑이라도 생명이 없다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다.

조상들이 온 열과 정성을 다해 하나하나 만들어 놓은 문화재들. 비록 그 돌과 쇠붙이에는 생명이 없을지 몰라도, 적어도 그 장인의 혼이 그 안에 깃들어 있지는 않을까? 아마 하나의 문화재가 소실이 되고 훼파가 될 때마다, 숱한 조상들의 마음이 함께 사라진다는 생각을 해본다. 낙산사 칠층석탑이 그저 돌을 쌓아 놓은 것으로 보이지 않고, 생명으로 보이는 이유이기도 하다.

사람들은 저마다 찾는 것이 있다. 같은 곳에 같이 가서 사진을 찍어도, 저마다 나름대로의 마음에 맞는 것을 선택한다. 물론 좋은 것을 찍으려는 마음은 동일하다고 하겠다. 그런 점에서 보면 내가 유별난 것인지도 모른다. 난 어디를 가나 꼭 열심히 찍는 것이 있다. 바로 담벼락이다. 그리고 집안을 기웃거리며 장독대를 찍다가 가끔 경을 치기도 한다.

날이 아침부터 꾸무럭하다. 바람도 선선한 것이 엉덩이가 들썩거려 못 견디겠다. 팔이 아프다는 핑계로 한 사흘 가만히 있었더니, 병이 도졌는가보다. 얼른 카메라를 둘러메고 한옥마을로 향했다, 초입서부터 내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다. 역시 오기를 잘했다는 생각이다. 오늘(2010, 9, 9) 전주 한옥마을에서 내가 만난 담벼락들이다. 담벼락을 만나는 전주 한옥마을의 길, 가을철에 어슬렁거리며 걷기 딱 좋은 길이다.


담벼락이 늘어선 길을 어슬렁거리다.

담벼락이 늘어선 길을 어슬렁거리며 걷고 있노라면, 마음이 텅 비어버리는 것만 같다. 주욱~ 늘어선 담벼락이 마치 시간을 초월해버린 것만 같기 때문이다. 집집마다 변하는 담벼락을 만나면서 이것은 누구네 집, 저것은 누구네 집을 꼽아본다. 손가락이 열개인데 그 손가락을 몇번이고 접었다 폈다를 반복해도, 담장은 끝없이 이어진다. 그래서 이길이 좋다.



  
난 늘 이 담장을 좋아하면서 살았다. 그것은 이 담장 하나가 그리도 포근하게 어린 나를 감싸고 있던 기억 때문이다. 어릴 적 말썽을 피우다가 정말 눈물이 날만큼 혼이나고, 방에서 강제로 추방을 당했던 기억이 있다. 밖에는 눈이 내리고 바람이 불었는데, 속옷 바람으로 밖으로 나왔으니 얼마나 추울 것인가? 아마 그 때는 지금보다 훨씬 추웠던 것만 같다.

그렇다고 우리 가족이 어린이를 학대하는 사람들로 오해는 하지 말기를 바란다. 그 당시에는 누구나 그런 경험이 다 있을 테니까. 그때 담벼락 위에 삐죽 얼굴을 내민 기왓장이 눈을 막아주고, 담장은 한 겨울의 거센 바람을 막아주었다. 그 담장 밑이 왜 그리도 포근하든지.

황토와 기와의 만남, 그 자체가 예술이네




황토와 기와, 그리고 돌이 만나면 찰떡궁합이다. 적어도 내가 보기에는 그렇다. 그것이 담장이 아니었어도 이렇게 궁합이 들어맞았을까? 천천히 걷는 한옥마을 길에는 이런 찰떡궁합이 늘어서 있다. 그래서 연인들이 전주 한옥마을 길을 걸으면, 잘 헤어지지 않는다는 믿지 못할 소문도 있다고 한다. 이런 소문이 헛소문이라도 좋고, 지금 내가 지어낸 소문이라도 좋다. 그저 좋다면 좋은 것이겠지 하는 생각만으로도, 기분 좋은 일이니까.


돌담 또한 운치가 있다. 돌을 그대로 척척 쌓아올리고 그 위를 기와를 얹어놓았다. 참 담벼락이란 것이 묘하기는 하다. 어떻게 만들어 놓던지, 그 모습이 그곳과 어울리기 때문이다. 왜 그래야만 하는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그 담벼락이 거기에 있어야 하기 때문은 아닐까? 사람이 언제나 자신이 있어야 할 자리에 있어야 하듯 말이다.



사람들도 그렇다. 다 같은 사람이 아니라고 한다. 사람에 따라 격이 있다고도 한다. 누구는 부자고, 누구는 가난하다. 누구는 잘났고, 누구는 못났다. 누구는 똑똑하고, 누구는 멍청하다. 누구는 착하고, 누구는 나쁘다. 이렇게 누구는 타령을 하다가 보면 석 삼일을 밤낮으로 해보아도 다 못할 것만 같다.

그런데 담벼락은 그런 것이 없다. 그저 담벼락일 뿐이다. 그 담벼락이 돈을 많이 들여서 조성을 했건, 아니면 그저 집에 있는 진흙덩이 조금에 이웃집에 있는 버린 기와 몇 장을 얻어다가 했건 그냥 담벼락일 뿐이다.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것이, 사람보다도 훨씬 좋단 생각이다.



담벼락 길을 따라 어슬렁거리다가 발견한 두 곳의 담벼락. 하나는 돌담 위에 수세미가 열려 나뭇가지로 기어오르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고, 하나는 언제나 거기 붙어 있었다는 듯 그렇게 담벼락에 붙어있는 도판담장이다. 이렇게 볼 것이 많은 길을 걸으면서, 왜 우리는 이런 것에 인색하게 굴까? 그것은 바로 소통을 할 수 있는 마음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오늘 전주 한옥마을을 어슬렁거리며 글 소재 하나는 괜찮은 것으로 얻었다.

서울 종로구 운니동에 소재한 운현궁은 사적 제257호이다. 운현궁은 많이들 알고 있듯이 흥선대원군이 살았던 집이다. 운현궁은 고종이 태어나서 왕위에 오를 때까지 자란 곳이기도 하다. 운현궁은 제일 앞 남쪽에 대원군의 사랑채인 노안당이 자리 잡고, 뒤쪽인 북쪽으로 행랑채가 동서로 길게 뻗어있으며 안채인 노락당이 자리하고 있다.

노락당과 통로로 연결이 된 이로당은 노락당에 기거하는 여인들의 별채의 형태로 꾸며졌다. 이로당은 밖에서는 안으로 들어갈 수 없게 막힌 ㅁ 자 형으로 구성이 되었다. 여인들만이 기거하는 곳이기 때문에 은밀함이 깃들어 있는 듯하다.



운현궁 안채 담장의 특별함 


여인들이 기거하는 노락당과 이로당은 안 담장으로 연결을 했는데, 이 담장의 문양이 특별하다. 담장은 일반적으로 같은 문양을 사용한다. 그러나 운현궁의 안 담장은 글자를 넣어 문양을 각기 다르게 꾸몄다. 운현궁만의 특별함이 보인다. 담장에는 ‘수벅강령락’이라는 한문으로 문양을 넣었고, 그 글자마다 다른 문양을 넣어 아름다움을 더했다.


오늘 (8월 19일) 아침. 출장길에 잠시 운현궁을 들렸다. 사진을 촬영하려면 먼저 허락을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블로그에 올린다는 말을 하고, 안으로 들어갔다. 운현궁을 한 바퀴 돈 후 본 안채의 담장. 당당한 세도가의 집답게 온갖 치장을 한 것을 알 수 있다.




담장에는 '수복강령락'이란 한문과 함께 각기 다른 문양으로 꾸며졌다.

운현궁에서 만난 문화해설사를 하시는 한 어르신은 담장의 문양 위에 요철로 굴곡진 것을 “저것은 사람이 살다가보면 파란만장하게 굴곡된 삶을 살기도 하지만, 그런 것을 이겨내고 전주 이씨가 대대로 왕위를 계승해 나가기를 바라는 뜻이다”라고 말씀을 하신다.


운현궁은 이 담장의 문양만 갖고도 훌륭한 문화재적 가치를 갖는 것은 아닌가 생각한다. 그만큼 여러 건물을 다녀보지만, 한 담장 안에 이렇게 화려한 문양을 새겨 넣은 것은 보기가 힘들다. 그래서 운현궁이 더욱 특별한 것이겠지만.  




안채인 노락당과 이로당을 연결하는 바깥 담장은 문양만 갖고도 훌륭한 작품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