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타의 미소’전에서 놀라운 모습을 보다
보물 제421호는 실상사 약수암에 모셔진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이다. 이 작품은 정조 6년인 1782년에 제작된 목각작품으로, 그 조성연대가 밝혀진 것으로 유명하다. 이 목각탱화는 나무에 불상을 조각해서 만든 탱화를 말한다. 크기는 가로 183㎝, 세로 181㎝로 정사각형에 가까우며, 현재 전하고 있는 조선 후기의 목조 탱화 가운데 가장 간략한 배치구도를 가지고 있다.
이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은 모두 여덟 분의 보살과 석가의 제자인 아난과 가섭을 모셨다. 그리고 하단 중앙에는 따로 아미타불을 조성하여, 하단 중앙부분을 홈을 파고 그 안으로 밀어 넣은 형태로 꾸며졌다. 이 ‘목각아마타여래설법상’의 또 다른 작품이, 남원 선원사에 전시가 되고 있다.
‘미타의 미소’로 명명된 전시
5월 9일부터 남원 선원사에서 열리는 ‘미타의 미소’전에는 모두 11작품이 전시가 되고 있다. 앞으로 한 달간 전시될 작품들은 ‘미타의 미소’를 조각한 경기도무형문화재 제49호인 작가 한봉석 외에도, 강원도무형문화재 제12호인 김상수의 ‘봉황문 과반’과, 경기도무형문화재 제47-가호인 이완규의 ‘청동관음보살좌상’ 등이 선보인다.
미타의 미소로 명명된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을 그대로 재현한 작품은 크게 상하로 나누었는데, 하단에는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오른쪽으로는 보현보살과 세지보살을, 왼쪽으로는 문수보살과 관음보살을 배치하였다. 상단에는 석가의 제자인 아난과 가섭을 중심으로 오른쪽으로 월광보살과 지장보살을, 왼쪽으로는 일광보살과 미륵보살을 배치하였다.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을 그대로 재현한 작가 한봉석은 이 작품을 완성하는데 2년이 걸렸다고 한다. 은행나무의 재질로 꾸민 이 작품은 한 치의 다름도 없이, 보물 제421호로 그대로 재현해 내고 있다. 이번 미타의 미소전은 남원 선원사에서 한 달간 무료로 관람을 할 수가 있다.
‘자장면 스님’ 또 일 내셨네.
남원 일대에서 ‘자장면 스님’하면 이제는 거의 모르는 사람들이 없다. 심지어는 임실, 익산, 전주 등지에서도 자장면 스님을 안다. 군부대 장병들이나 복지관의 어르신들이 특히 잘 아신다. 남원 선원사 주지인 ‘운천스님’을 사람들은 ‘자장면 스님’이라고 부르기를 주저하지 않는다. 스님 역시 그렇게 불리는 것에 대해 싫어하지 않는 눈치이다.
선원사 주지스님이신 운천스님을 자장면 스님이라고 하는 데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스님이 남원 선원사에 주지로 부임을 하셔서, 가장 먼저 생각한 것이 어떻게 하면 많은 사람들과 교통을 할 수 있을까를 고민했다고 한다. 그런 고민 끝에 내린 것이, 바로 자장면 급식과 장학금 지급, 음악회 등이었다.
그런 생각을 떠올리면 바로 실행을 하는 것이 운천스님이시다. 사람들과 소통을 하지 못하는 종교는 산 종교가 아니라고 늘 말씀을 하신다. 선원사는 남원시 도통동에 자리하고 있다. 우리가 생각하는 호젓한 산사가 아니다. 많은 사람들이 절 앞을 지나다니고, 수많은 차량들이 다니는 대로변에 자리하고 있다. 그렇기에 사람들과의 소통이 그 무엇보다 우선이라는 것이다.
전주 서원복지관에서 운천스님을 뵙다
3월 29일(화) 운천스님께서 전화를 하셨다. ‘자장면을 먹으러 오라’는 전화였다. 전주시 중화산동에 소재한 <서원복지관>에서 어르신들께 ‘사랑의 자장면 나눔행사’를 하신다는 전갈이다. 500명이나 되는 분들에게 자장면을 만들어 드린다고 하니, 그 정성이 이만저만이 아닐 것이란 생각이다.
최인술 봉사단장이 자장을 볶고 있다
후식으로 어르신들께 드릴 과일을 준비하고 있다.
11시가 되자 먼저 거동이 불편하신 어르신들을 위해, 복지관의 직원들이 자장면을 날라 상위에 진열을 한다. 식당으로 와 바로 먹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러고 나서 잠시 후에 복지관에 오신 분들이 줄을 섰다. 20여m나 되는 줄은 줄지가 않는다. 복지관 식당이 120석이라는데, 그 좌석이 꽉 찬다. 그리고 자장면을 드신 분들은 연신 ‘맛있다’라고 하시면서 식당 문을 나서신다.
배식이 시작되자 줄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120석 좌석이 다 차고도 줄은 줄지를 않는다
맛있게 자장면을 드시는 어르신들
자장면을 준비하시는 운천스님과 최인술 봉사단장, 그리고 선원사 봉사단 여러분들의 노고야 말할 필요가 없다. 그런데 그 바쁜 틈에 스님 한 분이 상 걸레를 들고 다니시면서 연신 상을 닦는다. 복지관 관장이신 보연스님이시다. 먹은 그릇을 치우고, 걸레질을 하고. 식당 안을 돌아다니시면서 연신 어르신들께 맛있게 드시라고 인사를 놓지 않는다. 보는 사람들의 배가 절로 불러진다는 표현이 맞는 말인 듯하다. 손에 상을 닦는 걸레를 쥔 투박한 손이 참으로 따듯해 보인다.
또 한 사람, 장명희 영양사는 연신 '어머니, 아버님'을 쉴 새 없이 말한다. ‘어머니 식판 갖고 가셔야 해요’ ‘아버님 이쪽으로 앉으세요.’ 한 시간이 넘게 배식을 하는 동안에 잠시도 쉬지를 않는다. 아마도 이런 따듯한 마음이 있어, 이곳 서원복지관에 등록을 하신 어르신들이 2,000명이 넘는가 보다.
배식을 하는 봉사단원들. 운천스님은 또 자장을 퍼주고 게신다
걸레를 손에 들고 직접 상을 닦으시는 서원복지관장이신 보연스님
연신 어르신들을 챙기며 다니는 장명희 영양사
“스님 내일은 또 어디서 일 내시려고요?”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