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작가 이미경, 그녀가 전시기획자가 된 까닭은?

 

독립운동가이자 사학자, 언론인이었던 단재 신채호 선생은 역사를 잊은 민족은 미래가 없다라고 했다. 선생은 우리나라에 부처가 들어오면, 한국의 부처가 되지 못하고 부처의 한국이 된다. 우리나라에 공자가 들어오면, 한국을 위한 공자가 되지 못하고 공자를 위한 한국이 된다. 우리나라에 기독교가 들어오면, 한국을 위한 예수가 아니고 예수를 위한 한국이 되니 이것이 어쩐 일이냐. 이것도 정신이라면 정신인데 이것은 노예정신이다. 자신의 나라를 사랑하려거든 역사를 읽을 것이며, 다른 사람에게 나라를 사랑하게 하려거든 역사를 읽게 할 것이다.”라고 했다.

 

선생은 <독사신론>에서 내가 지금의 각 학교에서 교과서를 쓰는 역사를 보건대, 가치 있는 역사가 거의 없도다.”라고 해 역사를 바로 세워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역사의 중요성을 강조한 신채호 선생의 명언처럼 아픔의 역사를 잊지 않기 위한 의미있는 전시가 열린다. 광복회 경기도지부(지부장 황의형)이 마련한 ‘3·1운동 및 임시정부수립 조선의열단 백년을 말하다 - 그날의 기억 1919’1126일부터 121일까지 경기도문화의 전당 빛나는 갤러리에서 열린다.

 

그런 그날의 기억 1919’의 공동기획자인 이미경씨를 13일 오후, 영동시장 2층 청년몰 한편 카페에서 만났다. 지난해(2018) 115일 행궁동에 소재한 대안공간 눈에서 이미경 개인전 상처가 아물지 읺았다전을 열고 난후 1년 만의 만남이다. 당시 이미경씨의 전시는 지인의 갑작스런 죽음이 몰고 온 공포를 그대로 사진으로 옮겨 놓았던 상징적 전시였다.

 

 

1년 만에 기획자가 되어 나타난 이미경씨

 

그 전에도 이미경 작가의 전시를 찾아보고 기사화 한 적이 있어 낯이 익은 사람이다. 그런데 뜬금없이 기획자가 되어 나타났다. 그것도 3·1운동, 임시정부수립 100년이라는 의미있는 해(1919)그날의 기억 1919’라는 전시제목을 갖고 전시를 한다는 것이다. 올해는 3·1운동과 임시정부수립 100주년이 되는 해이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수많은 관련행사가 열렸다.

 

그런 행사가 한 해의 막바지에 들기 시작한 11월 말에 또 다시 ‘3·1온동 및 임시정부수립 조선의열단 백년을 말하다라는 제목으로 전시를 갖는다는 것이다. 그것도 사진작가가 아닌 전시기획자로 나타났다. 도대체 그녀에게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그리고 왜 1919년을 기억하고 싶은 것일까?

 

안양에서 사진전을 여는데 독립운동가의 후손들과, 지금은 생존해 계시지 않는 독립운동가를 모티브로 사진전을 열었어요. 그들의 마음을 담아내는 사진작업을 하다가 우리가 그날(191931)의 역사나 독립운동가 들에게 너무 홀대를 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갖고 있는데, 광복회 경기도지부에서 조선의열단 백년을 말하다라는 제목으로 전시계획을 갖고 있는데 기획을 맡아달라고 했어요

 

그런 전시라면 힘들어도 해야겠다는 생각으로 전시기획을 맡았다고 한다. 그동안 3·1운동 관련자료를 찾기 위해 화성 제암리, 천안 유관순 열사 생가지 등을 찾아다니면서 많은 것을 보고 들었다고 한다. 기획을 한 것이 얼마 되지 않아 힘들지만, 나름 최선을 다해 1919년의 역사를 조명하고 싶다는 것이 이미경씨의 말이다.

 

 

앞으로 우리의 역사를 기록으로 남기는 작업하고 싶어

 

이미경씨가 기획을 하게 된 것은 8,15 광복절을 맞이해 아이들이 그린 태극기를 한 곳 지하도에 전시회를 열고, 그곳에 커다란 태극기를 걸어놓은 후 지나는 사람들이 자신이 느낀 바를 글로 적는 전시를 연 것이 기획의 시작이라고 한다. 전시는 생각 밖으로 많은 사람들이 동참했고, 그 전시를 통해 기획에 대한 자신감을 얻었다는 것이다.

 

저는 중앙대학교 평생교육원 사진학과를 졸업한 후, 국립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시각디자인학과에 재학하고 있어요. 이번에 석사논문이 나왔는데 논문제목이 <내면심리의 사진적형상화를 통한 불안극복 - ’상처가 아물지 않았다를 중심으로> 였죠. 개인적인 불안의 문제를 예술활동으로 극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신분석학의 이론과 선행작가를 기반으로 살펴본 작품 논문예요

 

이미경씨가 건네주는 석사학위 논문집을 받아들고 사진작가가 기획을 할 수 있다면 우리가 모르고 있던 내면의 세계까지 사진으로 담아낼 수 있기 때문에 기대가 된다고 그동안의 용기를 격려해주었다. 이미경씨는 기획을 하다보니 그동안 사진작가로서 모르고 있었던 더 많은 것을 알게 되었고. 더 많은 공부를 해야 한다는 것도 깨달았다면서 이번 그날의 기억 1919’9명의 작가가 동참했으며(깅동우, 김희곤, 류엘리, 염동균, 이혜정, 조정호, 최순옥, 한영숙, 한희준) 작가들은 모두 경기도에서 활동하고 있다고 한다. 이번 전시의 기획은 이미경씨와 장기택씨가 공동 전시기획을 맡았다.

 

 

기획자는 단순히 나에게 주어진 모티브만을 갖고 전시를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그 모티브가 만들어지기까지의 과정도 고민해야 참다운 기획자가 될 수 있다라는 말로 전시를 하는 이미경씨에게 도움을 주었다. “앞으로는 우리 문화재에 대해 더 많은 것을 공부하고 그 문화재에 얽힌 이야기와 국가, 그리고 민초들의 이야기까지 찾아보겠다고 하는 이미경씨. 이번 그녀가 기획한 그날의 기억 1919’전이 기대되는 것은 사진작가로 활동하던 기획자가 얼마나 다른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지가 궁금하기 때문이다. 또한 참여작가들이 생각하는 조선의열단 백년은 어떤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올지가 궁금하기 때문이다.

영동 아트포라 큐레이터 홍재주씨는 재주꾼

 

큐레이터(curator)란 창고지기를 말한다. 18세기 말에 탄생한 유럽의 공공미술관 큐레이터란, 각 지역에서 진귀한 유물이나 작품들을 창고와 모아 그것을 관리하고 보관하는 창고관리자를 일컫는 말이다.

 

우리는 흔히 공공의 목적을 갖고 운영하는 박물관 등에 근무를 하는 사람들은 학예연구사라고 하고, 개인의 미술전시관(갤러리) 등에서 전시기획 등을 맡아하는 사람들을 일러 큐레이터라고 한다.

 

 

큐레이터들이 하는 일은 상당히 다양하다. 소장품 정리에서부터 목록작성, 전시계약서작성은 물론, 작가미팅과 섭외. 작품받기, 카탈로그 가제본 및 편집, 홍보수단으로 뿌리는 전단지의 작성, 고객 상대 카탈로그 발송, 보도자료 배포와 전시작품 디스플레이, 현수막 등 제작, 오프닝과 전시, 판매와 평가보고서 작성 등, 1인이 소화하기에는 많은 물량이다.

 

이름때문에 재주가 많은가?

 

아마도 이름에서 이미 그녀가 얼마나 많은 재능을 갖고 있는지 짐작이 간다. 홍재주(, 54) 작가는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회화학과를 졸업하고, 현재는 좀 더 나은 큐레이터가 되고자 뒤늦게 대학원에 진학을 했다.

 

이 길을 들어섰으면 남들보다 열심을 내야죠. 그래서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미술관박물관학과에 입학을 했어요. 뒤늦은 나이에 하는 공부이긴 하지만 재미있어요.”

 

 

현재 그녀는 탄탄아트 미술교재출판사 연구원이면서, 창작연구소 B-UM (비움)의 연구원이다. 또한 문화예술 복합 공간인 영동 아트포라(Art Fora)(수원 영동시장 2층에 소재한 문화복합 공간)의 큐레이터 일을 맡고 있다. 항상 바쁜 생활을 하고 있으면서, 늘 무엇인가 새로운 것을 시도하려고 많은 생각을 한단다.

 

3년 전부터 기획에 몰두 해

 

초등학생 때부터 그림을 그렸어요. 그림을 그린다는 것이 재미도 있고요. 대학을 졸업하고 나서는 많은 일을 했죠. 2011년부터 큐레이터 일을 맡아하고 있어요. 그동안 2011년 국제레지던시 프로그램 골목길GMD-행궁동을 걷다코디네이터를 비롯해, 2011년 수원화성문화제 특별기획전 그림책 행궁나들이총괄기획도 하고요

 

 

홍재주씨는 지난해에는 <비영리 전시공간, 창작스튜디오 컨텐츠 부스전시 ‘AR FESTIVAL’ 참가와, 49회 수원화성문화제 특별기획전인 목판화-그 영원한 새김의 미학총괄기획, ‘수원화성&수원 스토리텔링 공모전순회전을 기획했다. 그리고 금년 들어 영동 아트포라 큐레이터 일을 맡아본다고 한다.

 

큐레이터는 또 하나의 창작을 하는 작가

 

작가는 작품을 만들죠. 그런데 큐레이터는 그 작품을 갖고 어떻게 사람들에게 더 가까이 접근을 할 수 있는가를 생각해야 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에게 작가의 작품을 돋보이게 만드는 것이죠. 그렇게 본다면 큐레이터는 또 하나의 공간을 이용한 거대한 작품을 만드는 작가라고 보아야죠.”

 

미술을 전공했기 때문에 큐레이터를 하는데도 남다른 감을 갖고 있을 것 같은 홍재주씨. 아마도 자신이 그린 그림도 중요하지만, 작가들의 작품을 어떻게 전시를 하고, 그것을 어떻게 사람들에게 알려주는가를 고민하는 직업인 큐레이터도 적성에 맞을 것 같다는 생각이다.

 

 

앞으로 무슨 일이 하고 싶으냐고 물어보았다. 아무래도 그림을 그리는 작가이다 보니, 그림에 관한 이야기를 하지 않을까 생각해서이다.

 

저는 사랑방 같은 작은 갤러리가 하나 있었으면 해요. 거기서 전시도 하고, 작은 음악회 같은 음악회도 열 수 있는 공간요. 물론 그런 것을 갖기 위해서는 많은 준비와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그런 공간이 있었으면 해요

 

자신이 그림을 그리고 있고 또 많은 작가들의 작품을 갖고 공간 배치를 하는 큐레이터이기 때문에, 그런 공간이 필요한 듯하다. 처음 만났는데도 마치 오래된 지기처럼 느껴지는 큐레이터 홍재주씨. 아마도 많은 사람들을 상대로 하는 직업을 가졌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더 친근감을 주는 것은 아닐까? 올 한 해 그녀의 활동이 기다려진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