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 각화사는 봉화군 춘양면 석현리에 소재하고 있다. 각화사는 신라 신문왕 6년인 686년에 원효대사가 창건하고, 고려 예종 때 계응이 중건하였으며, 1926년에 달현이 중수하였다. 각화사가 자리하고 춘양은 강원도 태백과 서로 이웃하고 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봉화를 가려면 구절불구불한 산길에 조성한 국도를 위태롭게 가야 했지만 요즈음은 넓고 곧은길이 나있어서 편하다.

 

봉화군에는 우리가 대찰이라고 부를 만한 절은 없다. 하지만 조선시대에 왕조실록을 보관하던 태백산 사고가 생기면서, 태백산 사고의 수호사찰로 정한 절이 바로 각화사이다. 각화사는 우리나라의 소나무 중 최고로 치는 춘양목이라는 가장 좋은 소나무로 유명한, 봉화군 춘양면 석현리에 자리하고 있는 의성 고운사의 말사이다.

 

각화사는 오래 전 춘양면 서동리 춘양상업고등학교 교정 자리에 남화사라는 절이 있었으나, 서기 665년인 신라 문무왕 5년에 원효대사가 이곳으로 이건하여 남화사를 생각한다는 뜻으로 각화사라 명명했다고 한다.

 

 

고려 전기의 귀부가 남아있어

 

각화사에는 고려 전기에 세운 비 받침돌인 귀부가 남아있다. 경상북도 유형문화제 제189호인 각화사 귀부가 소재한다. 이 귀부는 각화사에 놓여 있는 비의 받침돌로, 고려 전기 문신인 좌간의대부 김심언이 세웠던 통진대사비(通眞大師碑)’의 일부로 전하고 있다. 이 귀부는 통일신라 시대에 세워진 귀부들과는 사뭇 다른 형태로 조성되었다.

 

귀부는 바닥돌과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등 중앙에 마련된 비를 꽂아두는 비좌는 약간 파손이 되긴 하였으나 거의 본 모습을 갖추고 있다. 등 무늬는 6각형이 전면에 덮여 있고, 그 안마다 ()’자와 ()’, ()‘자를 를 도드라지게 새겼다. 대체적으로 고려 전기의 정교하고도 웅대한 조각솜씨를 이어받고 있으나, 몸통에 비해 머리가 작은 감이 든다.

 

 

비와 이수는 사라졌지만, 소중한 고려 전기의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귀부의 길이는 220cm, 폭은 190cm에 높이는 92cm이다. 후에 비몸과 머릿돌을 새로이 만들어 그 위에 세워놓았다.

 

용머리에 거북, 거 참 괴이하네

 

귀부의 형태는 신라시대에는 대개 거북이의 머리와 몸으로 제작을 하였으나, 통일신라시대부터 고려로 넘어오면서 용머리에 거북이의 몸을 가진 형태로 조성하였다. 통일신라시대에서 고려초기의 귀부는 상당히 힘이 있어 보이는 용머리를 귀부에 붙였다. 왜 이렇게 용머리를 조각하였는지는 정확치 않으나. 아마도 강한 국권을 상징하기 위해서는 아니었을까?

 

 

각화사 귀부를 찬찬히 돌아본다. 귀두의 뒤편에는 굵게 금이 가 있으며, 귀부의 앞과 뒷발은 금방이라도 무엇인가를 낚아 챌 곳 같이 날카롭다. 귀두의 귓가에는 금방이라도 펄럭일 듯한 아가미를 새겼다. 몸체에 비해 머리가 작게 조성이 되었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매우 힘이 있는 형태이다.

 

벌써 각화사를 다녀온지가 꽤 시간이 흘렀다. 그동안 밀린 자료정리를 하느라 하루 종일 부산하다. 날이 좋아 가까운 곳으로 답사라도 나가려고 했지만, 그보다는 그동안 밀린 자료정리가 더 시급할 것 같다. 올해도 300장이 넘는 자료CD가 장식장에 나란히 꽂힌다. 각 종류별로 구분을 하여 하나하나 정리를 하다 보니 하루해가 다 지났다.

 

 

올해는 답사에 좀 더 신경을 써야겠다고 마음을 먹는다. 지난해는 생태교통으로 인해 한 달간이나 행궁동 일대를 돌아다니느라, 제대로 마음먹고 답사한 번을 못한 듯하다. 지난해 하지 못한 답사를 올 한 해 정말 열심을 내어야 할 판이다.

문화재 답사를 나갈 때는 사전에 동선부터 정해놓는다. 그것은 같은 시간 안에 더 많은 문화재를 답사하기 위한 방법이기도 하다. 동선을 정해놓지 않으면 가까운 거리에 문화재를 놓고도, 멀리 돌아다녀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게 사전에 촬영을 할 문화재를 정해놓지만, 가끔은 지나는 길에 생각지고 않은 문화재를 만나는 수도 있다.

 

충남 보령시 웅천읍 수부리 16-6에 소재한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32보령수부리귀부 및 이수(保寧水芙里龜趺螭首)’가 바로 문화재 답사 자료에는 없었던 문화재이다. 보령시 웅천읍에 있는 독살을 촬영하러 가는 길에 만났으니, 이럴 때는 꼭 많은 돈을 얻어 횡재라도 한 듯 기분이 좋다.

 

독살을 만나러 가는 길

 

독살은 보령시 웅천읍 독산리 해안가에 소재한 충남 민속문화재 제16호이다. 보령지방은 조석간만인 밀물과 썰물의 차가 커서 예로부터 갯벌에 살을 매어 고기를 잡았는데, 돌로 성을 쌓아 만든 살을 독살이라고 한다. 예로부터 서해안에서는 갯벌에 울타리를 쳐서 고기를 잡았다. 대개의 독살은 대나무를 이용하지만, 이곳은 돌을 사용하였다.

 

 

돌을 촘촘히 쌓아 v자 형태로 만든 살을 독살이라는 하는데, 썰물 때마다 멸치, 새우, 숭어, 전어, 학꽁치 등 다양한 어종을 잡을 수 있어 좋은 수입원이었다. 독산리라는 지명에서 보이 듯 웅천읍 독산리에는 많은 독살이 있었다고 한다. 현재는 대부분 무너져 사라지고, 두 곳만이 남아있다는 것이다.

 

옛 절터에 있던 것을 수습한 귀부와 이수

 

수부리의 귀부와 이수는 영수암(예전의 단원사) 경내에 서 있는 비로, 근처의 절터에 있던 것을 수습하여 이곳으로 옮겨 놓은 것이라고 한다. 거북 모양의 받침돌 위에는 비몸을 잃어버린 채 머릿돌만이 놓여 있었다. 영수암 경내로 들어가 귀부와 이수만 남은 것을 찾았으나, 보이지 않는다. 지금은 비몸을 만들어 끼워놓았기 때문이다.

 

 

거북받침인 귀부는 머리가 용 모양이며, 귀와 뿔을 새기고 턱 밑의 수염은 목에까지 조각하였다. 이런 형태의 귀부는 통일신라시대부터 고려 초의 귀부에서 많이 나타나는 형태이다. 등에는 벌집모양의 육각형을 새겼고, 중앙에 마련된 비몸을 꽂아두던 홈 주변에는 연꽃을 둘러 장식하였다.

 

주인 없는 귀부와 이수

 

머릿돌은 용과 구름무늬로 가득 차 있으며, 앞면 중앙에는 액자모양의 공간을 두어 다시 자 모양으로 나누어 놓았는데 글씨는 적혀 있지 않다. 이렇게 화려하고 세련된 조각 양식으로 보아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 귀부와 이수가 누구의 것인지는 전혀 알 길이 없다. 대개 머릿돌인 이수의 중앙에 명문을 적어놓지만, 이 이수에는 명문조차 없기 때문이다.

 

 

지금은 비신을 원 규격을 측정하여 몸돌을 만들어 놓았다. 사라진 몸돌인 비와 명문이 적혀있지 않은 머릿돌인 이수. 누구의 것인지 알 수가 없는 문화재. 이런 문화재를 볼 때마다 마음이 아프다. 그 옆에는 팔각원당형 부도편이 있으나, 이 부도 역시 누구의 것인지 알 수가 없다.

 

웅천읍 독산리 독살을 만나러 가다가 만난 귀부와 이수. 결국 예정에 없던 이 문화재를 하나를 만나서인가, 정작 보고 싶던 독살은 물이 차는 바람에 볼 수가 없었다. 문화재라고 찾아가면 언제나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다음 답사 때는 물때를 미리 점검을 해야겠다.

 

 

경북 봉화군 춘양면 석현리 산126-1에 소재한 각화사는 신라 때 최초로 건립이 된 절이다. 현재 각화사에는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89호인 ‘화사 각화사 귀부’가 자리하고 있다. 이 부도는 각화사에 놓여 있는 비받침돌로, 고려 전기 문신인 좌간의대부 김심언이 세웠던 ‘통진대사비(通眞大師碑)’의 일부로 전하고 있다.

 

비 받침인 각화사 귀부는 바닥돌과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등 중앙에 마련된 비좌(碑座:비몸을 꽂아두는 네모난 홈)는 약간 파손되긴 하였으나 거의 본 모습을 갖추고 있다. 등 무늬는 6각형이 전면에 덥혀 있고, 그 안에 ‘王’자와 ‘佛’자를 돋을새김으로 새겨 넣었다. 대체로 조각의 수법은 그리 뛰어난 편은 아니다.

 

 

 

효대사가 창건 한 각화사

 

각화사는 신라 신문왕 6년인 686년에 원효대사가 창건한 절로 전해지고 있다. 그 뒤 고려 예종 때 계응이 중건하였으며, 1926년에 달현이 중수하였다. 영주-봉화-울진으로 이어지는 36번 국도의 봉화 동쪽 방향 21km 지점인 춘양삼거리에서, 998번 지방도를 따라 북쪽으로 약 9km 정도를 가면 각화사 입구가 나온다. 각화사는 이 입구에서 2km쯤 올라가면 된다.

 

각화사는 원래 춘양고교 교정에 자리 잡고 있었으며, 사찰의 명칭도 남화사였다고 한다. 이 절을 새로 옮겨 지으면서 각화사라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각화사에는 한때 800여명의 승려가 거주하였으며, 국내 3대 사찰의 하나로 손꼽혔다. 각화사는 조선시대에는 태백산 사고의 수호사찰이었다. 태백산 사고는 선조 39년인 1606년에 지어져, 1913년까지 약 300년간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해왔다.

 

 

균형미를 잃어 안타까워

 

현재 각화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고운사의 말사이다. 이 각화사 절 입구 오른족애 놓인 비 받침돌이다. 이 각화사 귀부는 대체적으로 고려 전기의 정교하고도 웅대한 조각솜씨를 이어받고 있으나, 몸통에 비해 머리가 작은 감이 든다. 한 마디로 균형미가 갖춰지지 않은 고려 때의 작품이다.

 

하지만 이 각화사 귀부는 소중한 고려 전기의 작품이라 할 수 있다. 현재는 이 귀부에 비의 몸돌과 머릿돌을 새로이 만들어 그 위에 세워놓았다. 오히려 그렇게 후에 제작해 올린 비문과 머릿돌로 인해 중요한 문화재의 가치를 인식하지 못할까 보아 걱정스럽다. 각화사 귀부는 폭은 190cm에 높이는 92cm이다.

 

30년 세월 만나본 문화재, 하지만 난 아직 초보자

 

문화재를 답사하기 시작한 지 벌써 30년 가까운 세월이다. 그간 숱하게 많은 문화재를 만났고, 그 문화재에 대한 기사를 썼다. 하지만 아직도 우리 문화재에 대해서 누군가 내게 묻는다면, 아마 이제 겨우 발걸음을 땐 초보에 불과하다고 대답할 것이다. 그만큼 문화재는 많은 지식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내가 문화재 전문가도 아니고, 그저 우리 문화재의 소중함을 깨달아 전국을 다니면서 만난 문화재들이다. 혼자만 그 아름다움을 느끼고 있다는 것이 조금은 아쉬워, 많은 사람들과 공유를 하겠다고 쓰기 시작한 기사가 꽤나 쌓였다. 그러나 아직 돌아볼 문화재가 너무 많다는 것을 느낀다. 한 마디로 시간이 너무 부족하다.

 

 

한 가지 원이 있다면, 이제는 그저 아무것도 하지 않고 온전히 문화재를 찾아보고 글을 쓰는 데만 전념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물론 그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기에 더욱 마음이 아플 뿐이다. 소중한 우리문화재에 대한 소개와 땀을 흘리며 찾아보기. 정말 누군가 이 일을 계속해 주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귀부란 비석받침을 말한다. 비를 세울 때는 밑에 비석받침은 거북이의 몸체를 이용한다. 신라시대의 귀부는 거의가 거북의 현상을 그대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통일신라에서 고려를 거치면서 귀부는 상당한 변화를 가져온다. 몸체는 거북이의 몸체에, 얼굴은 용의 얼굴을 하고 있는 형태로 바뀐 것이다.

 

비란 어떤 인물의 사적을 기록하거나, 벌어진 일을 적는 것이 보편적이다. 하기에 비석받침인 귀부는 딴 석조물에 비해 상당히 무겁게 조형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귀부는 비석의 받침으로 이용을 하고, 그 위에 비를 세우게 되며, 머릿돌인 이수에는 용을 조각하는 것이 보편적인 비의 형태이다. 그러나 예전 비의 모습을 보면 이런 통상적인 비 받침의 형태를 벗어나는 것들도 있다.

 

 

머리가 비뚤어진 귀부, 무슨 이유인가?

 

부여군 부여읍에 자리하고 있는 부여국립박물관 경내에는 많은 석조물들이 전시가 되어있다. 탑과 석조불상 등, 그리고 각종 석물로 된 옛 자료들을 진열해 놓았다. 그런데 그 중에 귀부가 보이는데, 우리가 흔히 보아오던 비석받침과는 동떨어진 모습들이 보인다. 한 마디로 해학적이기까지 하다.

 

서천군 군사리에서 발견이 된, 고려시대인 11~13세기 조성된 귀부가 있다. 거북의 등껍질인 육각형의 형태로 조성이 되었다. 그리고 등에는 육각형 문양 외에 나뭇잎과 같은 무늬가 둘러쌓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보물인 구례 연곡사 동부도에는 날개와 같은 조각이 보이기도 하지만, 이 서천 군사리의 귀부 등에는 나뭇잎과 같은 조각이 보인다.

 

 

얼굴의 형태는 고려시대의 귀부에서 흔히 보이는 험상궂은 용의 안면이 아니다. 그렇다고 거북이의 안면도 닮지 않았다. 얼핏 보면 장승의 해학적인 모습과도 같은 모습이다. 거기다가 얼굴이 똑바로 놓이지도 않았다. 약간은 삐뚤어진 형태가 해학적이다. 발은 거북이의 발이라기보다는 구부러진 것이 용의 발을 닮았다.

 

누워버린 귀부의 얼굴

 

박물관 한편에는 많은 석조물을 모아놓은 곳이 있다. 이곳에 잇는 귀부는 조악하기가 이를 데 없다. 몸체는 네모나게 조형이 되었으며, 등에 흔히 표현을 하는 육각형의 귀갑문도 보이지 않는다. 그저 몸체를 네모나게 조각을 했는데, 목은 한편이 땅에 닿도록 비틀어져 있다. 얼굴은 거북도 용도 아닌 해괴한 모습이다.

 

 

이런 비석받침과는 대조적인 비석받침도 있다. 조각이 난 채로 전시가 되어있는 사실적인 비 받침은, 보령시 성주면 성주사 터에서 발견이 된 비석받침으로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것이다. 이 비석받침은 머리와 몸의 일부가 없어졌으나, 다리와 등 보양이 사실적이면서도 힘이 있게 조성이 되었다.

 

이런 귀부의 형태에서 알 수 있는 것은 통일신라시대의 석조각의 형태와, 고려시대 지방 장인에 의해 조형된 형태의 차이를 알 수 있다는 점이다. 그저 재미로 보고 웃고 넘어갈 수 있는 귀부이긴 하지만, 그 안에 우리들의 마음이 있는지도 모르겠다. 그렇게 대단할 수 없는 사람들의 비석받침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다.

 

 

혹 대단하지 못한 세상을 산 것에 대한, 스스로의 자탄 때문에 이런 조각을 한 것은 아니었을까? 아니면 당시 지금의 세대가 모든 것이 제자리를 찾지 못해, 제대로 보려고 그렇게 누웠을까? 빗뚫어지고 고개를 돌려버린 비석받침. 그런 비석받침을 보면서 스스로를 반성하는 기회를 삼는다.

‘탑비(塔碑)’란 옛 고승들이 입적을 한 후 그들을 기념하는 탑을 세우고, 그 옆에 승적기를 새긴 비를 세우는 것을 말한다. 보물 제106호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 탑비’는 광종의 명에 의헤 보승탑을 세우고 난 뒤, 그 옆에 세워진 법인국사에 대한 기록을 적은 비이다.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보원사지 안에 소재한다.

 

보원사는 ‘고란사’라고도 하며, 이 절에 관한 역사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주변에 담아있는 유물들을 볼 때 옛 보원사는 규모가 큰 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다. 아직도 보원사 터에는 보물 5점과 함께 많은 석재들이 있으며, 주변에는 국보인 용현리마애삼존상 등이 남아있어, 당시의 규모를 짐작하게 한다.

 

귀신과 관계하는 꿈을 꾸고 난 탄문

 

법인국사 탄문의 탄생일화는 신비하다. 국사의 어머니가 꿈속에서 귀신과 관계를 맺는데, 한 중이 홀연히 나타나 금빛 가사를 주고 갔단다. 이 날 탄문의 어머니는 임신을 하였고, 경기도 광주에서 태어났다. 법인국사의 자는 대오이며, 성은 고씨이다.

 

 

 

 

 

탄문은 15세에 출가할 뜻을 비쳐, 북한산 장의사 신엄에게서 화엄경을 배우고, 15세에 구족계를 받았다. 925년 태조의 왕후 유씨가 임신을 하자 안산을 기원하니, 태어난 이가 바로 광종이다. 949년 광종이 즉위하자 대궐에서 법회를 베푼 후에 새로 낙성을 한 귀법사의 주지와 왕사가 되었다.

 

광종 25년인 974년에 법인이 은퇴를 청하자 광종은 국사로 임명을 하였다. 그가 서산 보원사로 길을 떠나자, 광종은 친히 왕후와 태자, 백관 등을 대동하고 개경 교외까지 그를 배웅하였다고 한다. 보원사로 온 법인국사(法印國師)는 국사가 된 이듬해에 기부좌한 자세로 입적하였으며, 세수는 75세, 법랍은 61세였다.

 

 

형식에 치우친 듯한 귀부와 이수

 

법인국사의 탑비는 경종 3년인 978년에 세웠다. 대개 거북이의 몸과 용머리를 가진 비의 귀부는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를 거치면서 상당히 화려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의 탑비받침인 귀부 역시 거북모양이나, 머리는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의 모습으로 표현하였다.

 

용의 목은 앞으로 빼고 콧수염은 뒤로 돌아 있으며, 눈은 크게 튀어 나와 있다. 등 위에는 3단 받침을 하고 비를 얹었으며, 비 머리인 이수는 네 귀퉁이에서 안쪽을 바라보는 용을 새기고, 앞·뒷면에는 구름무늬를 조각하였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귀부의 등에 새겨 넣는 문양이 없이 밋밋하게 구성을 하였다.

 

또한 비 머리인 이수의 용 조각도 형식에 치우친 감이 있다. 형태는 거대하고 웅장하나 조각기법이 단순하다. 거북의 앞발도 일반적으로 땅을 박차고 나가는 힘이 있는 표현이 아니라 형식적인 표현을 하였다. 하지만 이 법인국사 탑비는 원형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으며, 거의 훼손이 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서산 보원사 터에 소재하고 있는 보물 제105호인 법인국사 보승탑과 법인국사 탑비. 아마도 이 탑비는 법인국사의 보승탑을 세우고 난 뒤, 그 옆에 세운 것으로 보인다. 978년에 이 탑비를 세우고 ‘법인’이라는 시호와 ‘보승’이라는 사리탑의 이름을 내렸기 때문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