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곡사 동부도, 그 하나만으로도 우리 조상님들의 예술혼을 감당하기가 어렵다. 동부도를 보고 그 위로 난 산길을 따라 올라가면 북부도가 있다. 국보 제54호인 북부도는 또 다른 감탄을 자아내게 만든다. 이런 부도를 만든 조상님들께 정말로 무릎을 꿇고 감사를 드릴 수밖에 없다.

북부도, 산길에 호젓하게 서 있는 북부도의 주인은 누구인지 알 수가 없다. 고려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이 북부도는, 동부도와 비슷한 모양으로 조성이 되었다. 아마 동부도를 따라 북부도를 조성한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동부도 보다는 조금 뒤떨어지기는 하지만, 나름 특징을 갖고 있는 북부도. 국보와 보물의 차이를 여실히 보여주는 걸작품이다.


팔각형의 탑신, 그 아름다움

네모꼴의 지대석 위에 구름무늬가 조각된 탑신을 놓은 연곡사 북부도. 중대석은 연꽃의 결이 그대로 표현을 하였다. 거기다가 아름다운 귀꽃은 절로 탄성을 자아내게 만든다. 팔각면에는 천상의 새라는 가릉빈가를 조각하였다. 그런데 이 가릉빈가는 동부도와는 또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동부도의 가릉빈가가 몸체에 비해 날개가 작은 것에 비해, 북부도의 가릉빈가는 큰 날개를 갖고 있어 체형의 균형이 잡혀 있다.

몸은 작고 날개가 크게 표현이 되어 있어 안정적이다. 그 위에 올린 팔각의 몸돌 문비에는 문짝, 향로, 사천왕상이 조각되어 있다. 불집(화사석)은 창이 없으며 그 위에 옥개석인 지붕돌은 나무로 만든 지붕의 모습을 그대로 표현하였다. 한편이 약간 파손된 것을 빼고는 원형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는 지붕돌은, 기왓골 등을 하나하나 세심하게 표현하였다.



그 뿐만이 아니다. 부연과 처마 등이 우리가 흔히 보는 한옥의 모습을, 작은 소형의 모양으로 축소를 해 놓은 듯하다. 어떻게 이렇게 세세하게 하나하나 표현을 하였는지, 그 모양에 넋을 잃을 정도이다.

화려하고 웅장한 북부도, 국보는 남다른 점이 있다.

동부도가 섬세하고 여성적이라면 북부도는 조금은 거친 듯한 남성적이다. 그래서 연곡사의 동부도와 북부도는 같은 형태로 조성이 되었으면서도, 전혀 다른 느낌을 준다. 동부도보다 조금 더 거친 듯한 북부도. 머리 위에 올린 노반과 복발, 보개와 보주는 동부도에 비해 조금은 단순하게 표현이 된 듯하다. 동부도에서 보이는 사방에 새를 북부도에도 그대로 만들었지만, 동부도와 마찬가지로 파손이 되어있다.




동부도와 북부도의 보개에 조각을 한 새들이 왜 모두 파손이 되었을까? 그리고 이 새가 가지는 의미는 무엇이었을까? 이렇게 사방에 조각이 된 새를 모두 파손을 했을 때는 특별한 이유가 있었을 것만 같다. 일부의 사람들은 이 새의 머리가 잘려진 것이 기자신앙에서 비롯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지만, 나로서는 그 말이 이해가 되질 않는다.

기자신앙에서는 새의 머리를 이렇게 잘라가지는 않았을 것이다. 굳이 이 새의 머리를 잘라간 것이 기자신앙이라고 해석하는 것이 더욱 마음을 상하게 만든다. 아무리 기자신앙이라고 해도 우리의 정서에는 머리를 통째로 잘라가지는 않기 때문이다. 동부도에 비해 더 깊이 잘려나간 북부도. 그 앞에 서서 부도를 떠나지 못함은, 이 새의 잘려나간 머리에 대한 의문 때문이다.




전국을 다니면서 문화재 답사를 시작한지 어언 20여년이 지났다. 숱한 문화재를 보고 다녔지만, 연곡사 동부도와 북부도와 같은 아름다움을 본 적은 흔하지가 않은 것 같다. 그래서 파손된 이 부도의 상처가 더 마음이 아프다. 단풍이 들기 시작하는 연곡사에서, 마음속의 눈물을 흘리고 뒤돌아서는 것을 저 부도는 알고 있을까?

우리는 어릴 적에 ‘은진미륵’이라는 사진을, 교과서 등을 통해 한 번쯤은 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거대한 화강암 석재로 제작이 된 은진미륵은,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불로 보물 제218호로 지정이 되었다. 이 관촉사 은진미륵의 공식 명칭은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이다. 입상의 높이는 l8.12m나 되며, 고려 초기의 거대석불에 해당한다.

은진미륵은 커다란 불상이라는 점과, 불교적이기 보다는 토속적인 조각이라는 점에서 당 시대를 대표하는 불상이다. 얼굴은 이마가 좁고 턱이 넓은 삼각형이며, 옆으로 길게 째진 눈과 넓은 코, 일자로 꼭 다문 큰 입이 토속적인 느낌을 준다. 목은 굵고 삼도가 있으며, 귀는 어깨까지 내려와 고리형으로 매달린 느낌을 준다.


후천세계에 중생을 구제할 미륵불

미륵불은 56억 7천 만 년이 지난 다음에, 그 때까지도 구제가 안 된 중생들을 구제하기 위해서 나타날 부처님이다. 흔히 부처와 보살로 불리어지는 미륵불은 미래불이다. 미륵불은 일반적으로 산이나 들 같은 바깥에 세워진다. 관촉사 미륵입상은 몸은 거대한 돌을 원통형으로 깎아 만들었다.

자연암반 위에 허리부분을 경계로 하여, 각각 하나의 돌로 만들어진 이 보살입상은 정교하지는 않다. 몸통에 비해 얼굴이 강조되어 아름다운 균형미는 반감되고 있으며, 손의 모양이나 전체적인 꾸밈이 매우 투박하다. 오른손은 가슴께로 끌어올려 손을 안으로 향했으며, 왼손은 아래로 내려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있는 모습을 보아 관음보살로 생각이 든다.





어깨에 걸쳐 입은 가사는 어깨에서 양쪽으로 길게 내리고 있으며 가로무늬가 있고, 몸 중앙 부분으로 몇 개의 U자형 옷 주름을 돌렸다. 가슴께는 매듭을 묶고 있어 고려시대에 보이는 이 지역 특징인 거대불상의 초기 형태인 것으로 보인다.

저렇게 큰 돌을 어떻게 올렸을까?

관촉사 사적비에 의하면 이 미륵보살입상은 고려 광종 19년인 968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목종 9년인 1006년에 완성을 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미륵보살입상을 제작하는데 걸린 시간이 무려 38년이나 걸린 셈이다. 이렇게 거대석불을 만들었다는 것도 놀랍지만, 하반신의 몸체 위에 어떻게 저 큰 상반신을 올린 것일까? 지금처럼 대형 중장비로도 버거운 무게이다. 그런데 어떻게 상반신을 올릴 수가 있었을까?


거대석불을 조성하는 혜명대사가 석불의 상반신을 올릴 수 있는 방법이 없어 걱정을 하던 차에, 사제촌에 나타난 동자들이 강가에서 흙장난을 하고 있는 모습을 보게 되었다. 그런데 그 동자들이 커다란 돌을 놓더니, 그 돌의 주변에 모래를 쌓고 딴 돌을 경사진 모래비탈을 굴려 올라가 위에 놓는 것을 보았다고 한다. 혜명대사는 크게 기뻐하여 바삐 돌아와 동자들이 하던 그 방법대로 상반신을 올렸다는 것이다.

결국 그 동자들은 누구였을까? 아마 혜명대사가 석불의 상반신을 올리지 못해 속이 타는 것을 알고, 동자들을 보내 깨우침을 준 것은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거대한 석불의 상반신을 올리기 위해 얼마나 많은 노력을 해 보았을까? 아마 ‘지성이면 감천’이라는 말도, 이렇게 노력을 하는 사람들에게만 하늘이 깨달음을 주는 것만 같다. 이렇게 큰 거대석불은 충청도 지역에서 보이는 지역적 특색이기도 하다. 오늘도 많은 사람들이 은진미륵 앞에 고개를 조아리고 있다. 그 앞에서 두 손을 모은다. 그 미래불인 미륵이 도래하는 시기가 어서 빨리 왔으면 하는 바람으로.

우리나라의 부처님의 조형물을 잘 살펴보면 두 손의 형태가 다르게 표현이 되어있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이렇게 손을 어떻게 취하고 있느냐에 따라 각각 그 의미가 달라지는데, 이를 ‘수인’이라고 한다. 천안시 목천읍 동리 178에 소재한 용화사 경내에는, 거대 석불입상 1기가 서 있다. 이 석불은 4m에 이르는 거대석불로 통일신라시대의 조각기법을 잇고 있는 고려 초기의 석불로 보인다.

이 석불은 손을 가슴께로 끌어올려 오른손은 손바닥이 밖을 위로 향하고, 왼손은 아래를 향하고 있다. 이를 ‘시무외여원인’이라고 하며, 모든 중생의 두려움과 고난을 없애주고 중생의 모든 소원을 들어준다는 의미이다. 이 수인은 불교전래 초기에는 석가모니의 모습이었지만, 이후 아미타불, 미륵불 등 보편적인 수인이 되었다. 하기에 ‘통인’이라고도 한다.


나라의 염원을 담은 고려초기의 거대석불

고려 초기의 불상을 보면 대개가 거대석불로 조형이 되었다. 이는 고려의 숭불정책과 아울러, 거대왕국으로 지향적 염원이 깃들어 있는 것은 아닌가 생각한다. 용화사 석조여래입상은 조각 수법이 매우 수려한 대형의 거불이다. 일반적으로 거대석불의 경우 그 조각기법이 다소 떨어지는데 비해, 이 석조여래입상은 나름대로 특징적인 형태를 보이고 있다.

현재 충남 유형문화재 제58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용화사 석조여래입상은, 머리 위 육계는 둥글고 나발은 선명하고 높게 얹혀 있다. 이마에는 백호가 양각되어 있고 두 귀는 크고 길다. 목에는 삼도가 뚜렷하게 보이고, 전체적인 형태는 중후하지만 약간은 비만형이다. 불상의 얼굴은 갸름하고 복스러운 얼굴에, 눈은 지그시 감고 있다. 콧날은 오뚝한 편이며, 입은 작고 단정하다.





전각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

법의는 통견으로 표현을 하였으며, 가슴께가 깊이 파여져 있다. 일반적으로 가슴에 보이는 매듭 등은 보이지 않는다. 법의는 양 어깨에서 U자 형으로 흘러내리다가 무릎에서는 민무늬로 표현을 하였다. 거대석불이지만 전체적으로는 균형이 잘 잡혀있으며, 옷주름이나 U자형의 법의 등이 형식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발부분에는 앞으로 석조입상과 분리된 발이 있는데, 이는 후에 놓여진 것으로 보인다.

처음 이 석조여래입상이 발견되었을 때, 일대에서는 많은 기와 편과 팔각연화대석편, 석탑부재 등이 흩어져 있고, 불상 주위로 원형 주좌가 새겨진 방형초석이 7점이나 남아 있었다고 한다. 이는 석조여래입상이 전각 안에 모셔져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전면과 측면은 섬세하게 조각을 한데 비해, 후면은 쪼아낸 그대로의 형태가 남아있다.




전국을 다니면서 볼 수 있는 수많은 석조불상들. 그 나름대로 특징을 보이고 있는 것은 지역의 장인들에 의해서 조각이 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러한 석불들은 당시 조각을 한 장인들의 깊은 불심을 엿볼 수 있어 소중함을 느낀다. 이렇게 거대석불을 조형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시간과 공을 들였을까? 단순한 조형물이 아닌 그 안에 내재된 숨은 마음을 조금이나마 읽어 낼 수 있었으면 좋겠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