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자무사 최형국 박사 논문에서 오류 지적

 

수원문화재단 무예24기 시범단 수석단원이자 공부하는 학자무사 최형국 박사가 지난 7일 오후 430분부터 서울 고등교육재단 세미나실에서 열린 한국사학회 제3회 정기발표회에서 <TV 역사물의 考證 한계와 그 대안>이라는 제목으로 KBS 다큐멘터리 <의궤 8일간의 축제>의 무예사·군사사 고증을 중심으로 발표를 했다.

 

이날 최형국 박사의 발표는1. 머리말 2. KBS 다큐 <의궤 8일간의 축제>의 배경과 壯勇營의 창설, 3. KBS 다큐 <의궤 8일간의 축제>의 무예사·군사사 고증 오류 4. TV 역사물 고증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그 대안 5. 맺음말로 이어졌다. 이 발표에서 최형국 박사는

TV에서 방영하는 역사물은 한국이 향유하고 있는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에서 가장 중요한 창구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역사학계에서도 단순히 논문이나 저술로 한정되어 있었던 연구 발현의 영역을 TV를 비롯한 대중 영상매체의 발달에 따라 조금씩 확대하는 추세에 있다.

 

특히 사극이나 다큐멘터리를 비롯한 TV 역사물을 학생들의 수업시간에 활용하는 경우가 빈번해지면서 역사교육에서 그 영향력은 갈수록 증대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라고 머리말에서 TV 등의 사극이나 다큐멘터리가 역사교육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피력하고 있다.

 

대작 다큐멘터리인 <의궤 8일간의 축제>의 오류 꼼꼼하게 따져

 

제작 기간 2, 총 제작비 15억 원의 대작 다큐멘터리인 KBS 1TV<의궤 8일간의 축제>를 꼼꼼하게 따지고 있다. ‘원행을묘정리의궤’(園行乙卯整理儀軌)에 수록된 내용을 기반으로 한 이 8일간의 축제는 정조가 어머니 혜경궁 홍씨를 위해 1795년 열었던 회갑잔치를 조선 역사상 가장 화려하고 극적인 축제중 하나로 꼽고 있다.

 

1795년은 정조 재위 20년이자 아버지인 사도세자의 탄생 60(舊甲)이 되는 해였다. 정조는 현재 가치로 약 70억 원에 이르는 예산 10만 냥과 수행원 6000여명, 1400필을 동원해 성대한 축제를 벌였다. 서울에서 출발한 행렬은 사도세자의 묘가 있는 수원 화성까지 8일간 계속됐다. 총 제작비 15억 원, 거기다가 2년이라는 세월에 걸쳐 제작된 역사 다큐멘터리 <의궤 8일간이 축제>는 많은 사람들에게서 칭찬을 들은 대작이었다.

 

이 다큐멘터리에서 거론된 장용영의 군사들의 직제를 살펴보면 장용영이 내외영 이중 구조의 영으로 성장한 후, 군제의 상황을 보면 내영 안에 마보군은 기병인 선기대의 ··3초와 보군인 오사의 각 5, 아병의 6초를 합한 34초와 각표하군이 839명으로 구성되었다. 이중 3초의 선기대는 모두 345명으로 각 115명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경군은 615명이며 향군 2,540, 사후군 52, 공장아병 26, 치중복마군 40, 배봉아병 245, 고성아병 439, 노량아병 144명으로 장용영 전체 군사의 수는 5,245명으로 훈련도감에 버금가는 병력규모를 구축하였다. 특히 장용영 전체 기병 숫자는 853명으로, 당시 중앙군영인 오군영에 배속된 기병 숫자 중 가장 많은 인원이 편성되었다.

 

무예사와 군사사 고증 오류 부분 일일이 대안제시

 

 

위 사진(다큐멘터리 영상화면)에서 보이 듯 정조의 호위무관인 선전관은 전형적인 日本刀를 허리띠 혹은 전대에 꽂아 움직이고 있다. 이는 마치 일본 사무라이가 정조를 지키는 형국을 만든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심지어 몇몇 부분에서는 아예 환도를 손에 들고 다니며 척후를 나선 장용영 군사들의 모습도 확인된다. 이러한 환도패용의 오류장면은 거의 모든 역사물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고증상의 오류라고 지적했다.

 

 

 

園行乙卯整理儀軌의 반차도 중 환도 패용 방식을 보면 조선후기 군사들의 환도패용 방식은 평시에는 환도의 손잡이가 뒤를 향하게 패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무장형태는 정조의 주변을 호위했던 선전관들 역시 동일하다. 그래서 유사시 전투 상황이 발생하면 360도 회전형 고리인 띠돈이 있기에 손쉽게 손잡이를 앞으로 돌려 칼을 뽑아 사용하였다고 오류를 지적했다.

 

 

다음으로는 장용영 군사들이 사용하는 등패의 오류도 지젇하였다. 비교 사진에서도 확인 되듯이 본 다큐멘터리에서 사용된 등패의 크기는 마치 머리에 쓰는 삿갓을 연상시킬 정도로 작은 모습이다. 심지어 다른 장면에서는 등패가 아주 얇게 만들어져 앞이 보이는 정도의 장면까지도 연출되었다. 조선후기 군사무기로 활용된 등패의 경우는 기존 조선군들이 사용하는 무거운 장패가 아니라 화살이나 표창의 직접적인 공격을 막을 수 있도록 견고하게 가공한 가벼운 등나무로 만든 패였기 때문에 전장에서 빠르게 움직일 수 있었다고 적고 있다.

 

최형국 박사는 이 논문에서 <의궤 8일간의 축제>에서는 다음의 6가지가 오류라고 지적하고 있다.

KBS 다큐멘터리<의궤 8일간의 축제>에 드러난 고증 상의 문제점을 간단히 요약해 보자면, 첫째 정조의 호위무관인 선전관이 일본도를 일본도 패용방식으로 차고 근밀 경호에 나선다는 것이다. 심지어 다른 장면에서는 환도를 손에 덜렁덜렁 들고 다니며 척후근무를 한다는 치명적인 고증오류를 확인하였다.

둘째, 신궁이라 불렸던 정조가 전통 엄지걸이 깍지사법이 아닌 깍지 없이 검지와 중지에 화살을 걸어 쏘는 지중해 방식의 사법으로 활을 쏘는 장면이다.

셋째, 정조대 가장 조직적으로 움직였던 국왕 친위부대인 壯勇營의 군사들이 고증과는 동떨어진 무기와 전술운용을 한다는 점이다.

넷째, 정조대 군사신호체계를 무시한 手旗의 활용과 夜操시 명령전달체계 고증의 오류였다.

다섯째, 불이 활활 타며 날아가는 夜操火箭의 모습은 고려중기 이전에 사용한 무기로 정조대 당시에는 전혀 사용하지 않았던 무기가 신무기인 것처럼 묘사되었다.

여섯째, 위와는 반대로 佛狼機紅夷砲와 같은 화약무기의 경우 당시에는 발사체가 충격신관이 발명되지 않은 때라 폭발할 수 없음에도 장용영이 화력시범을 부각시키기 위하여 억지 연출되었다는 것이다. 심지어 화성 야조 시에는 아예 화포훈련 자체가 없었음에도 정조의 군사력을 드높이기 위하여 날조된 역사내용을 첨가하기도 하였다.고 지적했다.

 

교육용으로도 사용하고 있는 역사를 다루는 다큐멘터리나 사극 등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바로 잡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최형국 박사의 논문은 한국사학회에서 발행하는 학술지에 실릴 예정이라고 한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