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대를 내려가도 100년이다. 그런 대물림도 대단하다고 하는데, 자그마치 4대를 대물림을 하면서 집안으로 전승이 된 음률을 지켜낸다는 것이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피리 시나위 남양제는 옛 수원군 남양면의 한 귀퉁이에서 그렇게 전승이 되었다. 어림잡아 100년이 훨씬 지나도록 가계로 전승이 된 것이다.

 

예전에 증조할아버지께서는 장자만자용자를 쓰시는 분이십니다. 피리 시나위 남양제의 창시자라고 보아야죠. 그 시나위 제를 할아버님인 장자점자학자를 쓰시는 분이 이어받으셨고, 다시 아버님이신 장자유자순자를 쓰시는 분이 전해 받으셨습니다. 그리고 그 시나위의 본가락이 바로 경기도당굿 전수조교였던 고 방돌근 선생에게 전해진 것이죠.”

 

 

7일 오후 인계동 한 연습실에서 만난 장영근 명인. 직접 부친에게서 배운 것은 아니라고 해도, 어릴 때부터 부친을 따라다니면서 남양제 피리 시나위를 익힌 고 방돌근 선생에게서 시나위 가락을 익혔으니 대물림을 했다고 해도 허언은 아니다. 그렇게 4대를 이어오면서 남양제 시나위를 지켜냈다.

 

재인청의 산이들 뛰어난 기량으로 민속음악 지켜

 

우리의 음악은 궁중악인 아악과 민초들의 민속음악으로 크게 구분을 짓는다. 하지만 대개의 사람들이 연주하고 즐겨듣는 것은 역시 민속음악이다. 민속음악의 종류도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도 악기를 다루는 시나위류의 음악은 대개가 수원을 비록한 화성, 오산, 평택, 광주 등지에서 창출이 되고 전승이 되었다.

 

조선조 말기에 130여 년간 존속이 되어왔던 재인청(才人廳)에는 수많은 기능인들이 속해 잇었다. 그 중에서도 악기를 다루는 산이들의 기능을 뛰어났다. 경기도의 무속음악은 한수이북과 한수이남 지역이 조금씩 다른 특성을 보이며 전승이 되어왔는데, 흔히 남양제(南陽制=현 화성군 남양면에서 발생한 음악)와 광주제(廣州制=광주 출신 피리의 명인 이충선의 가락을 전수 받은 律制), 그리고 평택을 기점으로 한 동령제(東嶺制=대금의 명인 방화준의 율제)로 구분이 되고 있다.

 

 

여기에 해금의 명인으로 한때 무형문화재의 기능보유자로 지정되었던 지영희의 안산제(安山制)가 더해진다. 이 중 광주제는 이충선에 의해서 국립국악원 부설 국악사양성소(현 국립국악고등학교)로 전승이 되고 있으며, 지영희의 안산제는 국악예술학교에서 후학들에게 전해져 한 류파를 이루며 전승이 되고 있다.

 

하지만 안산제나 광주제는 본래의 경기도 무속음악인 시나위의 형태는 사라지고, 정형화된 산조의 기능만을 갖고 있을 뿐이다. 다만 남양제만이 경기 무속음악에서 시나위로서의 기능을 지니며 남양출신 산이인 장유순의 가계로 전해지다가 전 경기도당굿의 전수교육조교이며 동령제의 기능인인 방화준의 손자 고 방돌근에게로 전해져 맥을 잇고 있는 실정이다. 동령제는 김광채에게로 전해졌다가 그 맥이 끊겨서 기실 전통 경기도의 무속음악에서 나타나던 경기시나위의 맥은 남양제만이 전승이 되고 있을 뿐이다.

 

4대째 시나위 맥을 이어가는 장영근 명인

 

저희 아버님은 일 년이면 한 5일이나 집에 계셨어요. 당시는 조금앵, 임춘앵, 김진진 등 국극단체들과 함께 전국을 유랑하실 때라 거의 뵐 수가 없었죠, 어머니께서는 우자정자옥자를 쓰셨는데 전 경기도당굿 보유자셨던 고 오수복 선생님께 같은 급의 대만신이셨어요. 그러니 자연 제가 할 수 있는 것은 이런 악기 등에 취미를 가질 수밖에 없었죠.”

 

어려서부터 이상하게 무속 음악을 하고 싶었다고 한다. 하지만 집안에서 워낙 반대가 심해 21세 때 서울로 올라갔다. 서울에 가서 5년 정도 택시운전을 수원으로 다시 내려와 버스 운전을 3년간 했다. 그러다가 다시 굿판으로 돌아왔다.

 

 

“2006년도에 국가지정 중요무형문화재 제98호 경기도당굿 전수조교로 지정을 받았어요. 하지만 아직도 화랭이라는 용어에 대해서는 많은 아픔을 갖고 있어요. 그래서인가 남들 앞에 나서는 것을 그렇게 즐겨하는 편은 아닙니다. 아무래도 과거의 아픔 대문이겠죠.”

 

우리 민속악계에서는 손 꼽을만한 대단한 부모님을 두었다. 그것은 어려서부터 늘 마음 한 구석을 누르고 있던 만신과 화랭이의 자식이라는 말 때문이었는지도 모른다. 이제는 그런 것을 훌훌 털어버리고 싶지만, 아직은 때가 이르다고 생각한다. 아마도 언젠가 자신이 부친의 뒤를 이어 당당히 보유자가 되었을 때, 스스로 그런 아픔에서 벗어날 수 있으리란 생각이다. 4100년 이상을 이어 온 남양제 시나위, 이제 장영근 명인 그 대에서 다시 한 번 빛을 발하기를 기대해 본다. (자료사진은 장영근님의 것을 인용했습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