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기념물 제30호인 양평 용문사 은행나무. 용문사는 신라 신덕왕 2년인 913년에 대경대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한다. 또 다른 일설에는 경순왕(927~935재위)이 친히 행차하여 창사 하였다고도 한다. 이런 연대로 보면 은행나무는 용문사 창건 당시에 심었음을 알 수 있으며, 신덕왕 때 창건했다는 설이 정확하게 일치한다.

 

비가 뿌리는 8월에 찾아간 양평 용문사. 그저 바쁠 일이 없어 주차장에 차를 대고 천천히 넓지 않은 길을 걷는다. 그 어느 때보다 더 한가로움을 느끼는 것은, 비로 인해 그 많던 사람들의 발길이 조금은 뜸하기 때문이다. 8월 우중에 걷는 산길의 재미를 더하는 것이 바로 사찰기행이 아이겠는가? 거기다가 문화재도 만날 수 있다는 설렘이 함께이니.

 

 

대장경을 봉안했던 용문사

 

용문사는 고려 우왕 4년인 1378에 지천대사가 개풍 경천사의 대장경을 옮겨 봉안하였고, 조선 태조 4년인 1395년에 조안화상이 중창하였다. 조선조 세종 29년인 1447년에는 수양대군이 모후 소헌왕후 심씨를 위하여 보전을 다시 지었고, 세조 3년인 1457에는 왕명으로 중수하였다. 성종 11년인 1480년에 처안스님이 중수한 뒤 고종 30년인 1893년에 봉성 대사가 중창하였으나, 순종원년인 1907년에 의병의 근거지로 사용되자 일본군이 불태웠다.

 

1909년 취운스님이 큰방을 중건한 뒤, 1938년 태욱스님이 대웅전, 어실각, 노전, 칠성각, 기념각, 요사등을 중건하였다. 1982년부터 지금까지 대웅전, 삼성각, 범종각, 지장전, 관음전, 요사채, 일주문, 다원 등을 새로 중건하고 불사리탑, 미륵불을 조성하였다. 경내에는 권근이 지은 보물 제531호 정지국사부도 및 비와, 지방유형문화재 제172호 금동관음보살좌상, 천연기념물 제30호인 용문사 은행나무가 있다.

 

빗길에 만난 한 여름의 용문사

 

용문산용문사라고 현판을 단 일주문을 지난다. 차 한 대가 겨우 지나다닐만한 길을 사람들이 걷는다. 차 한 대가 뒤에서 빵빵거린다. 길이 좁으니 조심을 하라는 것인지, 아니면 갈 길이 바쁘니 얼른 비켜달라는 것인지 모르겠다. 이렇게 비가 오는 날 이 좁은 길을 굳이 차를 몰고 들어와야 하는 것일까? 괜히 좋은 기분을 망치고 싶지 않다.

 

 

절을 찾아갈 때는 가급적이면 주차장에 차를 대고 걷는 편이다. 굳이 차를 절 경내까지 차고 들어가기를 자랑삼아 하는 사람들도 있는 듯하다. 구도를 원칙으로 하는 도량이라면, 그리고 그곳을 찾아 들어가는 사람이라면 걸어야 마땅하지 않을까? 우리나라 사람들의 권위주의적 사고는 언제나 짜증만 유발시킨다.

 

비는 오락가락한다. 몇 번이고 우산을 접었다 폈다를 반복하며 전통다원 앞에 도착을 했다. 그 전서부터 높이 42m1100년이란 세월을 한 자리를 지키고 있는 은행나무가 보인다. 그 은행나무는 전화에도 불타지 않고 제자리를 지켜냈다고 하니, 나름 신령한 나무라는 생각이 든다. 은행나무 앞에서 잠시 경의를 표한 후 경내로 접어든다.

 

기품 있는 사찰 용문산용문사

 

용문산 용문사는 그리 크지는 않은 절이다. 하지만 천년고찰인 용문사는 기품이 있다. 주말과 휴일이 되면 수많은 사람들이 몰려드는 곳이지만, 이렇게 비가 오는 여름 날 만나는 용문사는 왠지 기품이 있어 보인다. 넓은 마당을 두고 여기저기 둘러 서있는 전각들 때문일까? 늘 용문사를 들릴 때마다 느끼게 되는 생각이다.

 

 

먼저 보물 제531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정지국사 부도 및 비를 돌아보고 다시 경내로 돌아왔다. 그리고 여기저기 전각들을 찾아다니면서 젖은 몸이긴 하지만 참례를 한다. 대웅전, 지장전, 관음전과 삼성각을 들린 후, 차라도 한 반 하고 싶어 경내를 벗어난다. 그렇게 다니고 있는 동안 비가 그쳤다. 다원에 들려야겠다는 생각은 잊었다. 8월의 산속 향기가 코를 간질인다.

 

산이 좋아 산에 오른다고 했던가? 절집이 좋아 절을 찾는다. 그리고 그 절 안에 많은 문화재들이 있어, 또 다시 절을 찾는다. 8월에 만난 양평 용문산 용문사. 그 안에서 천년세월을 훌쩍 뛰어넘는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