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동쪽마을 지동, 올 해 얼마나 달라질까?
‘지동’이라는 이름은 큰 연못이 있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우리말로는 '못골'이라는 명칭을 마을 주민들은 더 친근하게 사용을 하고 있다. 사실 지동이라는 명칭이 불의의 사고로 인해 방송을 타면서, 주민들은 지동이라는 이름보다 못골이라는 명칭으로 바꾸자고 할 정도로 민감한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
지동은 세계문화유산이자 사적 제3호인 수원 화상의 창룡문(동문)부터 남수문까지, 수원 화성의 4분지 1의 성곽과 함께 길게 늘어서 있는 마을이다. 지동시장부터 창룡문까지의 구간인 용마루길 북쪽구간은, 문화재보호구역 안에 들어가 있어 건물의 신축마저 제재를 받는 곳이기도 하다. 지동의 발전에 많은 제약이 있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문화재청, 2013년 문화재보호구역 정비발표
문화재청은 2013년 4월에 관보에 문화재법 제 27조 및 제34조 규정에 따라, 수원시 팔달구 지동 270-66번지 등 167필지 13,520㎡를 사적 제3호 「수원 화성」의 보호구역으로 추가 지정하는 사항을 같은 법 시행령 제11조 제4항의 규정에 따라 예고했다.
2013년 공고안대로 문화재청이 지동 일대를 사적 보호구역으로 정하고 정비를 하게 되는 곳은, 현재 동삼치 조금 지나 창룡대로(지동에서 창룡문 방향으로)의 좌측 도로 인접부분부터, 성곽까지 일대가 헐리게 된다. 이 지역이 제대로 정비가 끝나고 나면, 수원 화성의 성곽 바깥 길도 한결 넓어져 시원하게 보일 듯하다
공고가 나고부터 보상을 받은 집들이 이주를 하면서 이 일대는 그야말로 우범지대였다. 주인이 이사를 가고 난 집에 노숙자들이 들어와 묵기 시작하면서, 좁은 이 골목은 대낮에도 사람들이 들어가는 것을 꺼려했고 빈 집에는 쓰레기를 무단 투기해 골목 안으로 잡어 들면 심한 악취가 풍기기도 했다.
2월 1일부터 시작한 철거작업
“이 골목으로 노숙자 및 남녀가 들어와 밤이 되면 근처 주민들이 불안해했다. 사람들이 이 안에 들어와 무슨 짓을 하는지도 모르고, 더욱 남녀가 빈집으로 들어가 무슨 짓을 하는지 골목 안에서 이상한 소리가 들린다고도 한다. 이 곳을 빨리 철거를 해서 우선 주차를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이용을 했으면 좋겠다.”
지동 마을만들기협의회 표영섭 회장은 이곳 빈집들이 문제가 많다면서 하루 빨리 철거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골목 안에 빈집들은 그렇게 흉물처럼 문제가 되어왔다. 2월 1일부터 이곳을 정비한다고 현수막이 덜리더니, 중장비가 요란한 굉음을 내며 주변 정리를 하기 시작했다. 빈 집들을 하나하나 철거를 하기 시작한 것이다.
지동 302-9 번지 등 13채의 빈집을 3월 26일까지 모두 철거를 하고나면, 지동이 얼마나 달라질 것인지 주민들이 거는 기대가 크다. 우선을 문제를 야기했던 빈집들을 철거하는 것도 환영하지만, 그로 인해 지동이 달라질 것으로 기대를 하기 때문이다.
“사실 이 빈집들이 그동안 애물단지로 전락했어요. 대낮에도 사람들이 이 골목 안으로 들어가면 무슨 일이라도 생기지 않을까 걱정이 되기도 했고요. 이렇게 빈집들을 모두 철거하는 공사가 시작했으니 이젠 그런 불안은 조금 가실 것 같아요.”
근처에 사는 한 주민은 시끄럽기는 하겠지만, 하루 빨리 이곳이 정비가 되었으면 좋겠다고 한다. 그만큼 이 빈집들을 바라보는 주민들도 불안해했다는 것이다. 3월 26일까지 모든 지장물이 철거를 마치고나면 지동이 얼마나 달라질까? 전국 최장의 벽화골목을 갖고 있는 지동의 달라진 모습을 주민들은 가대를 하고 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