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사랑 및 안행랑

도대체 얼마나 많은 식솔들을 거느리고 살았던 것일까? 용인 한국민속촌 안에 자리 잡고 있는 중부지방 양반가인 99칸 수원 남창동 집을 돌아보면, 그야말로 점점 더 이 집의 크기에 대해 의문을 갖게 된다. 대문채인 행랑채를 들어서 바깥마당을 가로질러 중문에 들어서려면, 그도 가까운 거리가 아니기 때문이다.

중문을 들어서면 일반적으로 중문채라고 한다. 원래 이 중문채에는 집의 살림을 맡아하는 마름이나 부엌살림 등을 하는 여인들이 묵는다. 이 99칸 집의 중문채를 들어서면 좌우로 길게 안행랑이 늘어서 있다.



대단한 세도가임을 알 수 있는 안사랑과 안행랑

이 집의 주인이 당시 얼마나 세도를 부렸는가는, 이 안행랑과 안사랑에서 알 수 있다. 중문을 들어서면 좌우로 펼쳐진 방과 광들이 즐비하다. 그리고 좌측 초당을 들어가는 문 입구에는 장독대가 자리를 잡고 있다. 우측으로는 ㄱ 자로 꺾어 안사랑을 달아냈다. 안행랑과 이어진 안사랑은 살림을 물려준 노모나 자녀들이 묵는 곳이다.

워낙 큰살림인지라 일을 하는 사람들도 만만치 않았을 듯하다. 이 99칸 양반집에서는 남자들은 안행랑의 출입을 허용하지 않은 듯하다. 물론 주인과 가족들이야 드나들었겠지만. 이곳 안행랑에는 유모나 찬모, 침모 등이 묵었다고 한다. 집의 넓이로 보아 한 두 사람이 아니었을 것이다. 광과 늘어선 방들을 보아도 알 수가 있다.




이 안행랑은 안채와 연결이 되어 - 자로 늘어서 있다. 방과 광들을 드렸으며, 많은 곡식과 물건 등을 쌓아두었던 곳이다. 안사랑은 노모가 자리를 하고, 자녀들을 가르치던 곳이다. 안행랑의 앞에는 툇마루를 두지 않았다. 안사랑은 행랑과 붙어있으나, 툇마루가 놓인 것들이 구별이 지게 하였다.

회랑을 통해 내당으로 갈 수 있어

안사랑의 북쪽에 보면 회랑이 보인다. 이 회랑은 복도를 통해 내당으로 들어갈 수가 있다. 땅을 밟지 않고 안사랑에서 내당을 드나들 수가 있는 것이다. 이 회랑은 이 집에서 두 곳에나 설치가 되어있다. 그만큼 대단한 집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회랑은 중간까지 벽을 쌓아 막았으며, 위로는 개방이 되어있다.




안사랑은 회랑과 연결이 된 곳에 방을 두고, 두 칸의 대청을 두고 있다. 그리고 방과 부엌을 드렸는데, 이 부엌의 형태도 특이하다. 문을 내달아 놓고, 그 안에 또 다시 문을 달아냈다. 그리고 툇마루를 둔, 방을 다시 드렸다. 안행랑채와 연결이 되어있기는 하지만, 그 구조가 전혀 다르다.

안행랑은 광과 방을 적당히 연결을 하고, 중간에 부엌을 두었다. 전체적으로 이 안사랑과 안행랑이 안채를 감싸고 있어, 중문을 통하지 않고는 안채로 드나들 수가 없는 집이다. 99칸 대 저택의 위용을 볼 수 있는 안사랑과 안행랑. 여인들만의 공간인 이곳은, 그래서 더 은밀하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