앳된 얼굴에 작은 체구, 얼핏 보아서는 그림을 그려도 순정만화를 그릴 것만 같은 그런 생김새다. 그런데 정작 전시실에서 만난 그림은 영 딴판이다. 무엇인가 사회를 향해 두 손을 불끈 쥐고 고함이라도 칠 것만 같다.

 

그런 작은 체구의 모습을 보면서 나이가 믿기지 않는다. 31살이라고 한다. 수원시 권선구 구운동에 거주하고 있는 박정신 작가.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판화과를 졸업했단다. 고등학교 때부터 본격적으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는 박정신 작가는, 수원 동우여고를 다니면서 무엇인가 꾸준히 할 수 있는 직업을 택하기 위해 그림을 선택했다고 한다.

 

고등학교를 다닐 때 무엇인가 계속할 수 있는 직업을 생각했어요. 그런데 제가 생각하기에는 그림을 그리면 평생 함께할 수 있는 작업이라고 생각을 한 것이죠. 다른 것은 다 이런저런 주변의 환경에 걸리겠지만 그림은 그럴 필요가 없잖아요,”

 

 

판화 속에 담겨진 작가의 분노 느껴져

 

생각지도 않은 대답에 조금은 당황스럽다. 많은 작가들을 만나 대화를 해보지만 이렇게 의외의 대답은 처음이다. 28일 팔달구 행궁마을 커뮤니티 아트센터 1층 전시실에서 열리고 있는 민예총 미술위원회의 전시인 세월호의 아픔을 그대로 전해주고 있는 세월아 세월아전에서 볼 수 있는 작가의 판화.

 

40×40cm의 크지 않은 목판화는 파도처럼 일어나라는 제목을 달고 있다. 파도와 촛불이 세상을 향한 분노의 주먹을 움켜쥔 듯하다. 그 작은 판화 속에서 작가의 가슴에 응어리진 한을 느끼기에는 그리 많은 시간이 필요치 않다. 그런 왜소하고 앳된 표정 속에 어떻게 이런 울분이 숨어 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저는 그림을 그리면서 한 번도 힘들어 본 적이 없었어요. 학교에 다닐 때도 그랬고요. 물질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힘들다고 생각하질 않았죠. 그런 생각을 할 이유가 없잖아요. 오히려 제가 힘들다고 느낀 것은 그런 생활 속이 아니고 제가 하는 작업 때문이죠.”

 

 

작가의 긍정적인 사고가 앞으로의 기대를 걸게 해

 

참 달라도 너무 다르다. 박정신 작가는 그림 작업을 하면서 언제나 자신이 작업을 하는 작품에 대해서만 고민을 했다고 한다. 책 작업에 디자인을 하고 삽화 등을 그리면서 본인이 생활을 할 만큼은 늘 마음에 여유로움을 가졌단다.

 

사람들은 물질로 인한 어려움을 가장 큰 것으로 보는 것 같아요. 그 여유라는 것이 저는 이해가 가질 않아요. 여유의 한계가 분명치 않잖아요. 저는 그저 알음알음으로 인해 작업을 하면서도 제가 필요한 만큼은 수중에 들어왔어요. 그것으로 생활을 하는데 충분했고요. 결국 어려움이란 본인 스스로가 만드는 것 같아요.”

 

 

수원 팔달산 아랫동네 이야기를 다루는 계간지인 골목잡지 사이다에서 디자인과 그림을 담당하기도 했던 박정신 작가는 훌쩍 제주도 성산으로 떠나버렸단다. 사이다와의 계약기간이 끝나 처음에는 그저 며칠 친구한테 가서 놀고 오리라고 생각했으나, 그곳에 가니 그림 소재가 너무 많아 당분간 그림을 그려야 하겠다는 것.

 

저는 그저 제가 생활을 하면서 정신적인 여유를 항상 갖고 있었던 것 같아요. 주변에 글쓰는 작가, 연극하는 사람, 음악하는 사람들과 함께 어우러져 서로의 마음을 이야기하고 그 세계를 이해하는 것이죠. 세상에 가장 힘든 것은 바로 벽을 두고 사물을 보는 것 같아요. 저 사람은 그림을 그리니까, 저 사람은 글을 쓰니까 우리와 다르다는 생각을 하는 것이죠. 하지만 그 벽을 허물면 하나도 다를 바가 없는 사람이잖아요.”

 

그런 긍정적인 사고를 갖고 있기 때문에 항상 주변사람들과 어울리는 것이 소홀치 않다는 것이다. 전시회에 참석을 하기 위해 수원 집으로 올라왔다는 박정신 작가. 내일이면 다시 재주도 성산으로 가서 작업을 해야 한다고. 잠시 나눈 대화 속에서 앞으로 많은 기대를 걸게 만드는 것은, 작가의 세상을 보는 편견 없는 시각 때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