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승은 많은 이름이 전한다. 장승, 장생, 장성, 수살, 수살목, 돌하루방, 벅시, 벅수 등 지역마다 그 부르는 명칭이 다르다. 일반적으로 장승은 마을의 수호신으로 여긴다, 마을 입구에 선 장승은 나무나 돌을 깎아 마을 입구에 솟대나 돌탑과 함께 세우지만, 장승만을 별도로 세우는 경우가 많다.

원래 장승은 절 입구에 세워 신성한 지역임을 알리는, 경게표시를 하는 표시장승이 시초였다. 그러던 것이 점차 마을을 지키는 수호장승의 역할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 장승의 역할은 표시장승, 수호장승, 그리고 길을 안내하는 로표장승 등으로 구분을 할 수가 있다. 장승의 복판에는 천하대장군, 지하여장군 등 기본적인 대장군이 가장 많지만, 동방청제축귀대장군, 상원주장군 등 마을마다 각기 특징적으로 적기도 한다.



내를 건너 좌측에 서 있는 석장승. 왕방을 눈에 주먹코가 해학적이다.

모두 남자뿐인 실상사 장승

전북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에 소재한 실상사. 실상사 경내를 들어가려면 작은 내 하나를 건너게 된다. 그런데 이 내를 건너기 전에 좌측을 보면 석장승 한 기가 서있다. 이 장승은 다리를 건너면 좌우에 또 한 기씩의 석장승이 서 있다. 원래는 다리를 건너기 전과 건넌 후에 두 기씩 모두 네 기의 장승이 서 있었으나, 1936년 홍수에 한 기가 사라져 버렸다고 한다.

장승은 일반적으로 남녀 한 쌍을 세우거나, 남녀를 구분해 양편에 집단으로 세운다. 그러나 실상사 석장승은 모두 남자이다. 머리에는 모자를 쓰고 눈은 왕방울 눈이 튀어나왔다. 입에는 양편에 송곳니가 솟아나오고, 코는 주먹코가 얼굴에 비해 커다랗게 표현하였다. 아무리 보아도 절을 지키는 장승이라기 보기에는 해학적이다.



내를 건너 우측에 선 장승. 건너편에 있는 장승과 길을 사이에 마주한다.

300년 전에 절의 수호를 위해 세운 장승군

절 입구에 세우는 장승은 신성한 지역을 알리기 위한 표시장승이다. 즉 이곳서부터는 절의 경내이니 조심하라는 뜻이다. 그러나 실상사 입구에 서 있는 장승은 표시장승이라고 보기보다는 수호장승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상사가 평지에 자리하고 있고, 앞으로는 내가 있어 물과 불 등에서 실상사를 지키는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이 실상사 석장승은 장승에 새겨진 기록으로 보아, 조선조 영조 1년인 1725년에 세운 것으로 보인다. 300년이 다 되어가는 장승들이다. 사방에 세운 장승의 형태는 거의가 같은 모습이다. 한 기가 없어져 버린 실상사 장승은 절을 수호하는 험상궂은 장승이기 보다는, 해학적인 모습이 오히려 웃음을 자아내게 만든다. 그 생긴 모습이 재미있다. 세 기가 남은 석장승들은 모두 비슷한 모습으로 조성이 되었다.


짝을 홍수에 잃은 다리를 건너기 전 좌측에 있는 장승
 
볼수록 웃음이 나와

땅위로 솟은 장승의 높이는 2.5m ~ 2.9m 정도이다. 너비는 40~50cm 정도이며 모두 남장승으로 비슷한 형태로 조각이 되었다. 모자 밑으로는 불거진 이마가 있고, 눈은 왕방울 눈이다. 양편의 눈이 금방이라도 튀어나올 것만 같다. 코는 커다란 주먹코인데 코가 차지하는 면적이 넓다. 그 밑으로는 금방이라도 이를 보이며 웃을 것만 같은 입이, 일자로 표현되었다. 두 기의 장승은 송곳니가 보인다.

중요민속자료 제15호인 실상사 석장승. 비가 오는 지난 11월 27일에 찾은 석장승은 한기가 홍수에 떠내려가서인가, 조금은 한편이 빈 것처럼 허전히다. 실상사를 찾을 때마다 보는 장승이지만, 보면 볼수록 정감이 간다. 아마 그 해학적인 모습 때문일 것이다. 이 석장승이 절을 지키는 수호장승이라고 한다면, 그 모습 속에는 어느 맘씨 좋은 절집의 불목하니와 같은 느낌이 든다. 그래서 따스함과 웃음이 배어있는 것이지만.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