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아산시 외암 민속마을을 찾아가다-저잣거리에서 한바탕 신명나는 축제도 접해
충청남도 아산시 외암민속마을은 중요 민속자료 제236호로 지정되어 있는 마을이다. 외암마을은 약 500년 전부터 마을이 형성되어 왔으며, 충청도 고유격식인 반가의 고택과 초가 돌담(총 연장 5.3㎞), 정원 등이 보존되어 있다. 외암마을은 마을을 돌아보면 다량의 옛 선조들이 사용하던 민구와 민속품 등을 보유하고 있다.
외암마을을 찾아가면 가옥주인의 관직명이나 출신지명을 따서 고택마다 이름이 다르다. 이곳의 고택들은 참판댁, 병사댁, 감찰댁, 참봉댁, 종손댁, 송화댁, 영암댁, 신창댁 등의 택호가 정해져 있으며, 마을 뒷산 설화산 계곡에서 흘러내리는 시냇물을 끌어들여 연못의 정원수나 방화수로 이용하고 있다.
'외암'이라는 마을 명칭을 외암리의 서쪽에 자리하고 있던 역말과 관련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 역말에는 조선초기부터 이미 시흥역이 있었으며, 외암마을은 이 시흥역의 말을 거두어 먹이던 곳이라서 ‘오양골’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이 오야에서 외암이라는 마을명이 유래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동안 외암마을을 몇 번이고 찾아갔지만 갈 때마다 그 느낌은 다른 곳은, 아마도 시대가 변하고 있기 때문에 외암마을 주변의 환경이 변하기 때문인 듯하다.
이른 아침에 길을 나서 찾아간 외암마을
6월 30일. 벌써 2019년도 꼭 절반이 지났다. 아침 일찍 지인들과 함께 길을 나섰다. 장마철이라고 하지만 비가 내리지 않는다는 일기예보에 길을 나선 것이다. 수원에서 아산시 외암마을까지는 한 시간 정도 소요된다. 그동안 몇 번인가 외암마을을 찾아갔지만 그동안 보아오던 마을의 모습과는 달라졌다.
사람들이 이곳을 찾아오기 시작하면서 마을을 관리하는 관리소가 생기고 마을 입구 매표소에서 관람료를 받는다. 이날 외암마을을 찾아간 것은 외암마을을 보기 위한 것이 아니고, 도로 건너편에 자리하고 있는 외암마을 저잣거리를 들려보기 위함이다. 저잣거리는 말 그대로 물건을 판매하는 가게들이 즐비하게 늘어서 있는 거리라는 뜻으로, 가방(街坊)ㆍ시항(市巷)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외암민속마을에 자리하고 있는 저잣거리는 새로운 먹거리 문화와 놀이 문화 등, 오랫동안 지켜온 우리의 옛 것을 상기시키는 문화적 요소들을 제공하고 있다. 외암마을 저잣거리는 조선시대 민초들의 풍속 등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곳으로, 가족이나 연인·단체들이 찾아와 모든 사람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먹거리 문화와, 저잣거리 안 공연장에서 펼쳐지는 각종 공연 등으로 인해 사람들을 즐겁게 만드는 곳이다.
저잣거리 공연장에 모인 사람들
저잣거리로 들어서면 한편에 공연장이 마련되어 있다. 일요일이고 이른 시간인데도 공연장에는 사람들이 분주하게 무엇을 준비하고 있다. 이날 이곳에 모인사람들은 천안 매화당(당주 전형길)과 경기도안택굿보존회(명인 고성주)의 재인청 춤 공연팀과 남도민요팀, 화원장구난타 공연팀, 초대가수 등 30여명의 공연단과 관객 200여명이 모였다.
‘아산시민을 위한 저잣거리 대동굿’이라는 현수막을 달아놓은 무대에는 각종 음식들을 진설하고 한편에는 날이 선 작두를 늘어놓았다. 천안 매화당은 경기도무형문화재 58호 안산잿머리성황당 김진섭 이수자를 비롯하여, 많은 신제자들이 지역의 어려운 이웃을 위하며 각종 봉사를 하는 무격모임이다.
이날 이들이 외암마을 저잣거리를 찾은 것은 아산시에 거주하고 있는 소년소녀가장 돕기 기금을 마련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그런 어려운 이웃을 돕기 위해 스스로 많은 예산을 들여 무대를 마련하고 요즈음처럼 살기 힘든 세상에서 축제장에 모인 사람들에게 힘과 용기를 마련하기 위해 대동굿판을 벌였다는 것이다.
‘굿은 열린 축제’, 모두가 함께 즐기는 대동의 놀이
우리 굿은 아주 오래전부터 하늘에 감사하고 마을의 안녕과 가내의 안과태평, 그리고 풍농과 풍어 등을 기원하기 위해 하늘에 감사하는 의식이다. 부여의 영고(迎鼓), 예의 무천(舞天), 고구려의 동맹(東盟) 등은 모두 하늘에 감사하는 제천의식으로 전해졌다. 이렇게 제천의식이 열릴 때는 밤낮을 가리지 않고 먹고, 마시고, 춤추고, 노래했다고 하니 지금의 굿판과 다름없다.
<후한서 동이전-부여(後漢書 東夷列傳-夫餘國)>에는 ‘以臘月祭天, 大會連日, 飮食歌舞, 名曰迎鼓. 是時斷刑獄, 解囚徒. 有軍事亦祭天’:섣달에는 하늘에 제사를 지냄으로써 매일 연이어 큰 모임을 가졌다. 하늘에 제사를 드릴 때는 술 마시고 노래 부르고 춤추고 노는데 이것을 '영고'라고 한다. 이 기간에는 형벌과 옥사를 다스리지 않고 죄수를 석방한다. 군사에 관한 일이 있을 때에도 역시 하늘에 제사를 지낸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우리 굿은 대동의 축제이다. 누구나 와서 함께 즐길 수 있다. 남녀노소 빈부귀천을 가리지 않는다. 하기에 굿은 ‘열린 축제’이다. 그런 대동굿판에서 많은 사람들을 위해 재능기부를 하는 사람들. 지역의 어려운 소년소녀가장을 돕기 위한 대동굿이 열린 것이다. 6시간 동안 계속된 대동굿판에서 그곳에 모인 모든 사람들이 하나가 되는 모습을 보면서, 과거부터 전해지던 우리민족의 끈끈한 정체성을 엿볼 수 있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