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탄을 맞은 마애공양보살상. 역사의 아픔을 간직하다
답사를 하는 길은 늘 바쁜 걸음이다. 하나라도 더 문화재를 만나야겠다는 욕심 때문이다. 경기도 가평에서 여주, 양평을 거쳤다. 원주에서 횡성으로 올라오는 길에 갑자기 치악산 좁을 길로 가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서, 잠시 길을 벗어났다. 원주 공군비행장 맞은편 소로로 길을 접어들어 치악산 쪽으로 가다가 보면, 소초면 소재지가 나온다.
주말에는 항상 밀리는 영동고속도로이다. 올라가는 차들이 심상치가 않다. 아무래도 길이 막힐 것 같아 길을 서둘러 돌아 나오는데, 마애공양보살상의 안내판이 있다. 길옆으로 들어가 여기저기 둘러보아도 암벽이 없다. 마애보살상이란 암벽에 새긴 것이라 바위만 찾아본다. 낮은 등성이 있는 산 어디에도, 마애불을 조각할 만한 바위가 보이지를 않는다.
개울가에 자리한 바위, 그곳에 마애불이
원주시 소초면 평장리. 산 밑을 바라다보니 돌계단이 있고 그 밑 기슭에 암벽하나가 솟아 있다. 세상에 저 밑에 저렇게 숨어있었다니. 암벽에 보살좌상 1구가 선각 되어 있다. 높이 3.7m, 넓이 6.2m 크기의 암벽에 가득히 조각하였는데 보살의 높이는 3.5m이다. 이 보살은 측면상으로서 머리에 보관을 썼는데, 하단에 좌우로 관대가 보인다.
보발의 표현이 부드러우며 상호는 원만한 상으로 양미안과 비량 등은 잘 남아 있으나, 입은 파손되었다. 삼도가 돌려지고 천의는 편단하였으며, 오른발을 구부려서 앉고, 왼발은 직각되게 펴서 왼손을 받치고 있다. 각부의 조각수법으로 보아 조성연대는 고려 전반기로 추정 된다. 이 보살입상에서 특이한 것은 왼손을 넓게 펴고, 그 위에 연꽃등의 공양물을 올려놓아 오른손으로 이것을 잡고 있는데 이러한 형상은 흔한 것이 아니다.
이 작은 동산 한편 물이 흐르는 작은 골짜기 한편에 다소곳이 앉아 천년을 보내다니. 암벽을 자세히 들여다보지 않으면, 음각을 한 선이 굵지가 않아서 언뜻 눈에도 띠지 않는다. 그렇게 천년 세월을 이곳이 앉아 역사의 변화를 보면서, 묵묵히 한손에 받친 공양물을 부처님께 올리는 저 보살상은 우리에게 무엇을 알리려고 했을까?
총탄을 맞은 마애공양보살, 역사의 아픈 흔적
작은 계곡 앞에 철버덕 주저앉아 시간이 가는 줄도 모르고 바라다만 보고 있다. 무엇인가 우리에게 암시를 하는 것은 아닐까? 저 손에 들고 있는 공양물이 혹 이 어지러운 세상을 바로 잡아줄 정신적인 먹을 것은 아니었을까? 아니면 세상에 헐벗고 굶주린 사람들을 향해, 나에게로 와서 배를 채우라는 고함소리는 아니었을까? 그렇게 눈을 들어 앞을 바라다보는 마애공양보살상은, 말없이 한손을 들어 사람들에게 무엇인가를 알려주는 것만 같다.
이 보살상의 입은 심하게 파손이 되었다. 누가 일부러 무엇인가 단단한 것으로 찍은 듯하다. 그도 마애보살상은 우리에게 암시를 하려고 한 것 같다. 시끄러운 세상, 그저 입단속 잘하고 아무 말도 하지 말라는 뜻으로 말이다. 그러고 보니 입만이 아니다. 얼굴에도 신체 부위에도 총탄을 맞은 흔적이 나 있다. 아마도 전쟁 중에 이곳에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었나보다.
이렇게 훼손이 된 문화재를 만날 때마다 가슴이 미어지는 듯하다. 사람들에 의해 훼손이 되고, 전쟁 통에 부서지고, 그것도 부족해 별별 이유로 훼손이 되어가고 있는 소중한 문화재들. 현재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19호로 지정이 된 이 평장리 마애공양보살상은 이렇게 아픈 역사를 보듬고, 천년 세월을 개울가에 무릎을 꿇고 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