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오후 2시부터 개관식 및 주민소통

 

20142월부터 경기도 시책 추진보전금 700백만원을 확보하여 시작한 지동 주민커뮤니티센터(당시 계획)23개월의 공사기간을 거쳐 29일 오후 2시 팔달구 창룡문로 34(구 서울목욕탕)지동 창작센터라는 이름으로 개관식을 갖게 되었다. 지동주민커뮤니티센터로 개관을 하겠다고 한 구 서울목욕탕이 이름을 바꾸어 창작센터로 개관식을 갖게 된 것이다.

 

그동안 총사업비는 주차장 소성비용을 합해 2,369백만원으로 국비 337백만원, 도비 700백만원, 시비 1,332백만원이 소요되었다. 지동 창작센터는 지하 1층 지상 3층으로 733.6면적 위에 지하에는 동아리방, 1층에는 북카페 및 공구도서관, 관광체험방이 자리를 잡고 있으며, 2층은 갤러리와 강의실로 자리를 잡았다. 3층은 작가 창작방과 주민소통방, 어린이 기자 및 공부방으로 이용한다.

 

20153월 구 서울목욕탕 건물을 그대로 이용하자는 의견에 따라 구조안전진단 용역을 시작으로 20154월에는 보수, 보강을 했으며, 6월부터 증축 및 리모델링 보강공사를 시작했다. 201512월에는 센터를 준공하고 일부 운영을 시작했다. 20161월에는 북카페 및 공구도서관이 문을 열었다.

 

 

 

개관식 및 주민소통 시간 마련

 

29일 개관식을 갖는 지동 창작센터는 내빈 및 주민 3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풍물놀이로 식전행사를 시작해 센터 테이프커팅과 공연, 인사, 센터 조형물 제막 순으로 이어진다. 2층 갤러리에서는 유순혜 작가의 초대전이 열리며 식후에는 센터 라운딩 및 주민소통의 시간도 갖는다.

 

그동안 탈도 참 많았는데 이렇게 개관식을 갖게 된다고 하니 다행입니다. 이제 지역의 문화공간으로 주민들이 서로 화합할 수 있는 공간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이 소통의 공간으로 인해 지동이 세상에 더 많이 알려지고 이곳을 이용하는 주민들의 삶이 더 좋아지기를 바랍니다

 

창작센터 주변에 거주하는 한 주민은 이렇게 새로 마련된 공간으로 인해 주민들의 삶이 더 한층 나아지기를 바라는 마음이 간절하다는 것이다. 아직도 세상에서 지동이라고 하면 안 좋은 인식을 하고 있다면서 이젠 지동 주민 모두가 노력하여 그런 인식을 불식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지동 안내 소책자도 발간

 

지동 창작센터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은 지동을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는 책자를 받을 수 있다. 이 책자는 지동주민센터가 발행한 것으로 누구나 이 소책자 한권만 가지면 지동을 쉽게 여행할 수 있다.

 

지동연못마을이라는 제목이 붙은 이 소책자는 지동소개 편에 지동의 유래와 역사 및 지동의 오늘이 소개되어 있다. 지동자랑거리에는 벽화골목과 노을빛 전망대 및 갤러리, 전통시장으로 지동시장과 미나리광시장, 못골시장을 소개하고 있다. 또한 지동사람들과 세계문화유산 화성도 간략하게 소개했다.

 

지동의 오늘과 내일에는 시장가는 정겨운 골목길, 지동 창룡마을 창작센터, 따복 안심마을 조성사업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소책자의 뒤쪽에는 한 장의 지도가 첨부되어 있는데 지동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다.

 

지동 골목길서부터 여기저기 돌아볼 곳을 소개한 책자입니다. 이 한 권만 가지면 지동 전체를 손바닥 보듯 들여다볼 수 있죠. 지동을 방문하시는 분들 누구라도 요구하시면 무료로 받으실 수 있습니다

창작센터 근무자의 말이다. 창작센터는 앞으로 지동 주민들의 소통공간으로 또 하나의 명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모든 지동 주민들이 이곳을 주민소통의 공간으로 삼을 수 있도록 행정부서의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