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회 나라꽃 무궁화 사랑축제 무궁화동산에서 열려
수원청소년문화센터 뒤 문화공원 ‘한가족 화합의 날‘
무궁화는 겨레의 꽃이다. 무궁화는 영원히 피고 또 피어 지지않는 꽃이다. 영어명으로는 ‘신의 축복을 받은 땅에서 피어나는 아름다운 꽃’이란 의미를 갖고 있다. ‘무궁(無窮)’이란 순 우리말로 목근(木槿)이라는 한자음이 변한 것으로 문헌에 나타난 무궁화 명칭은 100여 가지나 된다. 한자명 ‘無窮花(무궁화)’는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에 최초로 나타난다.
무궁화란 중국 문헌에도 찾아볼 수 없는 고유명칭으로 ‘무궁화’란 한글표기는 한글 창제 이후 조선조 중종 12년 최세진이 지은 <사성통해>에 처음으로 나온다. 무궁화는 생명력이 강해 1년에 한 그루에서 2~3천 송이의 꽃을 피운다고 한다. 무궁화는 보통 한 여름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기 시작하는 7월부터 피기 시작하여 찬바람이 부는 10월까지 끊임없이 꽃을 피운다.
수원은 무궁화의 도시이다. 수원은 매년 꽃이 피기 시작하는 7월 날을 택해 전국적인 무궁화축제를 대규모 행사로 열고 있다. 그만큼 수원은 무궁화를 사랑하는 도시이다. 그런 수원답게 ‘나라꽃 무궁화 사랑축제 - 한 가족 화합의 날’ 행사가 26일 오후 수원청소년문화센터 후편 문화공원 무궁화동산에서 열렸다.
“원래 이 축제는 지난 8월 15일 열기로 했던 행사입니다. 그날 비가 많이 내려 연기가 되었던 것을 오늘 열게 된 것이죠. 무궁화는 우리 겨레의 꽃이기 때문에 8,15광복절 기념으로 열기로 했었지만 연기해 오늘 행사가 열럈습니다”
시민노래 자랑 등 다양한 행사 열려
무궁화 사랑축제 행사 담당자는 원래 이 축제가 8.15 광복절기념으로 열기로 한 행사였다고 설명한다. 무대에는 가수 정은의 사회로 시민노래자랑이 진행되고 있다. 주변에는 200여명의 시민들이 모여있고 양편으로 늘어선 가로수 그늘아래서 시원하게 행사를 즐기고 있는 모습이다. 한편에선 무궁화를 이용한 부채만들기 체험도 열리고 있다.
원래 무궁화 사랑축제는 다양한 행사를 펼치기로 준비되었지만 시기가 늦어지는 바람에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지 못했다고 한다. 축제에 참가한 시민들은 대개 노령층이며 봉사를 하는 학생들을 제외하면 젊은이들을 찾아볼 수 없다는 점이 아쉬웠다. 한편에선 8월 2일에 제막한 기념식수 비 앞에서 사진촬영을 하느라 북적인다.
“행사를 하기로 한 8,15일 광복절에 열렸으면 많은 사람들이 동참을 했을 텐데 그날 비가 너무 많이 내려 연기를 한 것이 축제의 의미를 조금 퇴색시켰을 것이란 생각입니다. 그래도 이렇게 뒤늦게라도 축제를 열게 되어 다행입니다”
행사장에서 만난 시민 강아무개(남, 78세)씨는 무궁화를 기리는 행사인데 제 날짜에 행사를 열지 못한 것이 못낸 섭섭하다고 한다. 그래도 이렇게 뒤늦게라도 행사를 열 수 있어 겨레꽃 무궁화를 기릴 수 있다는 것이 다행이라는 것이다.
수원시의회 김미경 의원 축제장 방문
무대 위에서 한창 시민가요제가 열리고 있을 때 수원시의회 김미경 의원이 축제장을 방문했다. 김미경 의원은 “오늘 여러 곳에서 행사가 열리는 바람에 제 시간에 찾아오지 못했다”면서 “오늘 이 무궁화축제가 나라꽃 무궁화를 기리는 뜻 깊은 행사가 되기 바란다”고 했다. 이어 “오늘 이 자리에 참석하신 모든 분들이 막바지 무더위를 잘 이겨내고 건강하시기 바란다”고 인사말을 했다.
이날 행사는 사단법인 K무궁화나라사랑연합회가 주최하고 수원시지속가능도시재단과 마을르네상스센터 등이 후원한 행사였다. 나라꽃 무궁화를 기리는 일은 중요하다. 우리민족은 무궁화를 신시시대부터 환국(桓國)의 나라꽃 환화로 부르며 제천의식을 거행할 때 신단 주변에 무궁화를 심어 신성시했다고 전한다.
우리나라의 겨레꽃 무궁화를 기리는 나라꽃 무궁화 사랑축제. 제 일정에 열지 못해 의미가 조금 퇴색되긴 했지만 무궁화는 우리가 가꾸고 보존해야 할 꽃이다. 무궁화 사랑축제가 비록 많은 시민이 참여하진 못했지만 소중한 축제란 생각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