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나 무속에서는 윤달이 되면 여러 가지 행사를 한다. 절에서는 윤달이 들면 망자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생전예수재를 열고, 무속에서는 윤달에 삼사순례를 한다., 삼사순례란 말 그대로 하루에 절 세 곳을 돌아오는 일이다. 절 세 곳을 돌아보면서 자신이 염원하는 바를 서원하는 것이다.

 

9일 오전 7. 수원시 팔달구 지동 271-124에 소재한 고려암 신도들이 버스에 올랐다. 45명 정원인 버스는 빈자리가 하나도 없다. 지동을 오전 730분경에 출발해 서산 간월암과 예산 수덕사를 거쳐, 다시 서산 상왕산 개심사를 돌아오는 여정이다. 하루에 세 곳의 절을 돌아본다는 것은 사실 쉽지가 않은 여정이다.

 

 

웬 사람이 이렇게 많아?

 

서산 간월암에 도착한 시간이 9시가 조금 넘어서였다. 그런데 간월암부터 사람들이 많다. 무슨 일일까? 1113()이 수능일이다. 그래서 절마다 사람들이 휴일을 맞아 찾아들어 서원을 하고 있다고 한다, 넓지 않은 간월암 대웅전에 사람들로 만원이다. 연신 나가고 또 들어오고. 아마도 윤달과 수능일이 겹치다보니 이렇게 사람들을 끌어드리는 것은 아닌지.

 

충남 서산시 부석면 간월도에 소재한 간월암. 물이 만조가 되면 배를 타고 들어가야 한다는 이 작은 암자는, 무학대사가 이곳에서 도를 닦던 중 달을 보고 깨달음을 얻었다고 하여서 간월암이라는 암자 명칭을 붙였다고 한다. 무학스님은 20세 때 이곳에 들어와 토굴을 짓고 열심히 수도를 하다가 달을 보고 깨우침을 얻었다고 한다. 무학이라는 법호도 나옹스님이 더 이상 배울 것이 없다.’고 하여 법호를 무학(無學)이라고 지어 주었다는 것이다.

 

 

불타는 수덕사, 이렇게 아름다웠었나?

 

충남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에 소재하는 수덕사는 백제 위덕왕(554 ~ 397) 때에 지명법사가 사비성 북부에 수덕사를 창건한 것으로 전해진다. 한국불교의 5대 총림의 한 곳인 수덕사는 백제 위덕왕 때 지명법사가 창건을 하고, 고려 공민왕 때 중수를 하였다. 그리고 조선조 고종 2년인 1865년 만공스님이 중창을 하였다. 전설에는 세 번을 지은 것으로 전하고, 실제로 수덕사는 창건 이후 두 번을 중창을 해 세 번째 모습을 갖추었다.

 

수덕사 입구부터 사람들이 길을 빼곡하게 채웠다. 일주문을 지나 경내로 걷는 길이 온통 단풍으로 물들었다. 3 자녀를 둔 부모들부터 올 단풍의 절정을 맛보려는 관광객들까지 그야말로 북새통이다. 이 많은 사람들이 다 어디서 왔을까? 싶을 정도로 사람들이 북적인다. 사진을 어디서 찍어야 사람들을 피할 수가 없다.

 

 

문화재 사진촬영을 하고나서 경내를 한 바퀴 돌아본다. 그야말로 수덕사에 불이 붙었다. 그동안 수십 차례나 찾아 온 수덕사다. 그런데 이렇게 단풍이 아름다운 절인 것을 알지 못했다. 문화재 하나를 사계절 다 찾아보아야 한다고 늘 생각을 했지만, 이 계절에 수덕사를 찾은 것은 처음이다. 형형색색의 단풍에 그저 입을 다물지 못한다.

 

상왕산 개심사 여긴 또 왜 이래?

 

가을이면 상왕산 개심가로 가라고 했단다. 그동안 가을이면 빠트리지 않고 찾아왔던 서산 개심사. 그런데 예전의 그 화려했던 단풍이 아니다. 서산시 운산면 신창리 11-5에 소재한 개심사는, 아직도 백제 때의 기단이 남아있는 절이다. 개심사를 찾아가는 길을 굳이 가을을 고집했던 것은, 가을이 참 아름다운 절이기 때문이다.

 

 

개심사 명부전 앞 텃밭 가운데 있는 감나무 한 그루. 잎은 다 떨어지고 감만 주렁주렁 달려있다. 스님들이 이 감을 마다하고 까치밥으로 남겨놓은 것일까? 그 감을 바라다보다가 산신각으로 발길을 옮긴다. 그곳에서 진정한 가을을 만난다. 붉은 단풍이 아닌 색이 바란 나뭇잎들이 떨어져 만든 가을. 개심사는 그렇게 조용히 가을을 맞이하고 있었다.

 

저 사람도 손잡고 가는데 우리도 손잡고 가요.”

 

일행 중 부부가 하는 말이다. 그러고 보니 부부끼리 모두 손을 잡고 걷고 있다. 그럼 난 누구 손을 잡아? 괜히 퉁명스런 말 한마디 한다. “여자들 많이 있네요. 아무나 골라잡아요.”라는 대답에 갑자기 옆구리가 시리다. “그럴까라는 대답으로 말을 막는다. 하지만 이 가을에 불붙는 단풍을 보고도 쓸쓸하다는 느낌이 드는 것은 왜일까? , 옆구리는 왜 이리 시린 것이고.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