윷놀이 한마당으로 풍성한 2016년 기원한다.
화성의 동쪽마을 자동 대보름 윷놀이 열어
“낙(落)이야”
“이게 왜 낙이야 걸렸는데”
“반 이상 나갔으면 낙이지”
고함을 치면서 아옹다옹한다. 하지만 그 얼굴에는 웃음이 한 가득이다. 다투는 것이 아니라 그렇게 소리를 치면서도 재미있어 한다. 19일 오전 10시 30분부터 지동(동장 이상수)주민센터 주차장에서 열린 ‘화성의 동쪽마을 지동 척사대회’가 열린 윷놀이 현장이다.
19일에 팔달구만해도 지동과 우만1동, 우만2동, 인계동이 척사대화를 열었다. 22일이 병신년 대보름인데 미리 척사대회를 연 것이다. 한편에서는 숯불 위에 고기가 익어가고 주민센터 주차장에 모인 200여 명의 주민들은 상품을 걸고 윷놀이가 한창이다. 각 시합장마다 심판을 보지만 그런 것에 개의치 않는다. 그저 소리치고 웃고 즐기면서 대동의 놀이를 즐기는 것이다. 매년 열리는 척사대회에는 푸짐한 상품도 걸려있다.
윷놀이는 사희(柶戱)라고도 한다. 두 사람 혹은 네 사람이 한편이 되어 대국하며 각각 4말을 가지고 29밭이 있는 윷판을 쓴다. 윷놀이는 윷가락을 던져 도,개,걸,윷,모로 구분을 지으며 그 시원을 이익의 <성호사설> 사희조(柶戱條)에서 “윷놀이를 고려의 유속(遺俗)으로 본다.”고 하였다.
많은 경품에 신나는 주민들
윷놀이가 시작되기 전 한편에는 이날 윷놀이에서 우승한 사람에게 줄 상품이 가득 쌓였다. 이날 상품은 1등은 웰바하이쿡, 2등은 무선청소기, 3등은 전기렌지, 4~6등은 냄비세트, 7등에게는 샴푸세트가 주어졌다. 그 외에도 10등까지 시상을 했으며 놀이에 참가한 주민들에게도 경품추천을 통해 푸짐한 상품이 주어졌다.
지동 주민자치위원회(위원장 이용성)와 지동 단체협의회 주관으로 열린 이날 척사대회는 개회와 경기진행, 시상 및 행운권 추첨 등으로 이어졌으며, 개인전은 규정된 척사권으로 경기를 진행했다. 척사대회에 참가할 수 있는 척사권에는 날인이 되어있으며 윷판에서는 심판의 판정에 절대복종하고 윷놀이 중 윷가락 4개 가운데 2개가 가마니를 벗어나면 낙판으로 간주했다.
이날 개인전에 참가한 많은 사람들은 토너먼트를 거쳐 등수를 결정지었는데 1등은 김명율, 2등은 한봉섭, 3등은 황원식 씨가 차지해 각각 웰비하이쿡과 무선청소기, 전기렌지 등을 챙겼다. 그 외에도 4등은 김근안, 5등은 윤영순, 6등은 최정림, 7등은 홍영수씨 등이 차지했고, 8~10등은 양길수, 이정분, 유지현씨 등이 차지했다.
정이 넘치는 마을 지동의 척사대회
2016년은 수원화성 방문의 해이다. 지동은 벽화골목과 노을빛 전망대와 갤러리, 그리고 4월에 개관식을 가질 창룡마을 창작센터 등이 소재한 곳으로 어느 때보다도 많은 관광객들이 찾아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런 지동이 연초에 윷놀이 한판을 벌이면서 주민들의 대동단결을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척사대회는 남다른 의미를 갖는다. 주민들이 하나가 되어 마을을 찾아오는 관광객들에게 좋은 마을이라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 지동은 정이 넘치는 마을입니다. 외지 사람들은 지동을 잘 알지도 못하면서 예전 불의의 사고를 이야기하는데 지동에 사는 주민들은 순박하고 정이 넘칩니다. 늘 이웃과 소통을 하고 어려운 사람들을 도우며 살아가는 곳입니다. 오늘 이 척사대회를 하면서도 끈끈한 정을 느낄 수 있습니다. 지동은 수원시 마을 가운데서도 가장 정이 많은 곳이죠.”
윷놀이에 참가한 한 주민은 지동 주민들은 정이 넘치는데 외부에서는 지동은 색안경을 끼고 보고 있다면서 그런 점이 안타깝다고 한다. 정이 넘치는 마을 지동. 오후 5시가 넘어서 끝난 지동 척사대회는 그렇게 모든 주민들이 결속을 다지는 흥이 넘치는 자리였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