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예산 수덕사 앞에 소재한 수덕여관은 정월 나혜석 선생이 말년에 스님이 되고 싶어 수덕사를 찾아갔다가 그곳 수덕여관에서 작품활동을 하던 곳입니다. 수덕여관은 원래 수덕사 비구니 스님들의 숙소였다고 하는데, 나중에 이응로 화백께서 편히 쉴 곳을 찾다가 그곳을 매입해 수덕여관이로 개명을 했다고 합니다

 

28일 행궁동 레지던시 103호를 찾아갔을 때 사람들이 제법 북적거린다. 작품관람을 하러 찾아 온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이번 전시의 진행을 맡은 이호정씨는 수덕여관과 나혜석의 관계를 설명해준다. 충남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산41에 소재한 충청남도 기념물 제103호인 이응로선생사적지’. 이 집은 한 때 여관으로 사용이 되었던 곳이기도 하다.

 

이 수덕여관은 동양 미술의 우수성을 세계 속에 드높인 화가 고암 이응로(19041989) 화백이 작품 활동을 하던 곳이기도 하다. 수덕여관은 이응로 화백이 1944년 구입하여 한국전쟁 때 피난처로도 사용하였으며, 수덕사 일대의 아름다운 풍경을 화폭으로 옮긴 곳이다. 또한 이응로 화백이 1959년 프랑스로 건너가기 전까지 머물면서, 작품 활동을 했던 고택이다.

 

 

이응로 화백과 정월 나혜석

 

이응로 화백은 1923년 당시 경성부에서 유명한 서예가이자 서화가였던, 김규진의 문하생이 되어 서예, 사군자, 묵화 등을 배웠다. 이듬해인 1924년에는 조선미술전람회에 묵죽(墨竹)’을 출품하여 입선하였으며, 그 후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가와바타 미술학교를 졸업하였다. 1938년 제17회 선전에서는 이왕직상을 수상하였고, 1946년 단구미술원을 조직하여 일본 잔재의 청산과 민족적인 한국화를 주창하기도 했다.

 

이 수덕여관은 수원출신인 최초의 여류화가 나혜석이 묵었던 곳이기도 하다. 일설에는 나혜석이 수덕사에서 3년간 머물렀다고 하지만, 수덕사 경내가 아닌 이 수덕여관에서 묵었을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그런 점으로 볼 때 이 수덕여관이야말로 우리 미술사에 남녀 거장이 묵었던 곳으로 새롭게 조명되어야 할 곳이다.

 

 

그런 수덕여관에서 거주했던 나혜석의 정신을 이어받기 위해 행궁동 레지던시 103호에 입주해 있던 작가 4(김은영, 문민경, 초이, 최경락)이 나혜석의 예술정신을 이어가기 위해 수덕여관 103라는 전시제목으로 54일까지 작가들의 공방이 있는 레지던시 103호에서 전시를 연 것이다.

 

이 수덕여관은 이응로 화백이 정월 나혜석을 만나 함께 예술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며 기거했던 곳이기도 하다. 수덕여관이 우리 미술사에 의미가 깊은 곳이라는 점은 현재 이 수닥여관은 우리 수원출신 최초의 여류화가요 시인이기도 했던 나혜석이 말년을 묵었던 곳이기 때문이다.

 

 

4명의 작가들 수덕여관 전시 가능할까?

 

이번에 수덕여관 103전은 수원시와 수원문화재단의 후원으로 이루어졌다. 참여작가 4명은 한 분야에서 많은 활동을 하고 있는 작가들이다. 김은영 작가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에서 회화전공으로 졸업했다. 문민정 작가는 영남대학교 서양학과를 졸업했으며, 초이(본명 최경자)작가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회화과를 졸업했다. 최경락 작가는 중앙대학교 대학원 한국회화과를 졸업했다.

 

레지던시 103호 작업실에서 만난 초이 작가는 예산 이응로 화백 관계자가 연락을 했어요. 이번 전시를 마치고 한 번 찾아가보려고요. 저희가 하는 작업이 이어질 수 있다면 나혜석의 정신을 이어갈 수 있으니까요라고 한다. 이호정씨 역시 같은 말을 했다. 나혜석을 기리는 이 전시는 이제 2년째지만 앞으로 계속하겠다는 것이다.

 

한 사람의 지역 인사가 어떤 평가를 받을 수 있는가는 지역주민들의 사고가 먼저 달라져야한다. 정월 나혜석이 시대를 초월한 예술가로써 이름을 떨치느냐, 아니면 한 시대를 풍미한 비운의 여인이냐는 온전히 수원의 몫이란 생각이다. 먼저 수원에서 나혜석을 기리는 일이 우선되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행궁동 레지던시 103호 작가들의 전시에 박수를 보내고 싶다. 모든 일은 아주 작은 곳에서 불씨가 타오르기 때문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