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23일, 30도를 훌쩍 넘은 살인적인 더위란다. 가만히 있어도 땀이 흐른다. 이런 날 이천에 있는 설봉산 영월암에 올랐다. 영월암 대웅전 뒤편 암벽에 새겨진 보물 제822호 마애여래입상을 보기 위해서이다. 남들은 이런 질문을 한다. ‘문화재라는 것을 한 번만 보면 되지 않나?’라는 말이다.


하지만 내 생각은 그렇지 않다. 한번 답사를 한 문화재라도 갈 기회가 있으면 다시 들리고는 한다. 그것은 문화재란 늘 관심을 갖고 지켜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 바위를 누가 떠 매고 갈 것도 아닌데’라고도 한다. 그래도 지켜보아야만 할 것이 바로 소중한 우리 문화재이다.

 

 

이천 설봉산 영월암(위)과 자연암석에 새긴 보물 마애불(아래)

 

흐르는 땀을 주체할 수도 없는데


주차장에서 영월암까지의 거리는 1.5km이다. 그리 높지 않은 설봉산이지만, 차도 오르기 힘든 가파른 길이다. 거기다가 그 무더운 날에 한 어깨에는 무거운 카메라 가방까지 메고 있다. 돈을 준다고 오르라고 해도 마다할 산행이다. 하지만 절집을 찾아 참선을 하는 마음으로 주변 경치를 보면서 걸음을 옮긴다.


옷은 모두 젖어버렸다. 땀으로 흥건히 젖어버린 몰골은 꼭 물에 빠진 생쥐 꼴이다. 그렇게 오른 영월암. 대웅전을 비켜 뒤로 오르니, 커다란 자연 암벽에 마애불이 조각되어 있다. 고려 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하는 이 마애불은, 머리 부분과 손 부분은 얇게 돋을새김을 하였고 나머지는 선으로 음각하였다.

 

 

 

 

고려 초기에 조성한 거대마애불

 

높이 9.6m의 거대한 이 마애불은 ‘마애여래불’로 명칭을 붙였지만, 민머리 등으로 보아 ‘마애조사상’으로 보인다. 둥근 얼굴에 눈, 코와 입을 큼지막하게 새겼다. 두툼한 입술에 넙적한 코, 지그시 감은 눈과 커다랗게 양편에 걸린 귀. 그저 투박하기만 한 이 마애불에서 친근한 이웃집 어른을 만난 듯하다. 두 손은 가슴에 모아 모두 엄지와 약지를 맞대고 있다. 오른손은 손바닥을 바깥으로, 왼손을 안으로 향했다.


얼굴과 두 손만 부조로 조성을 했다는 것도 특이하지만, 우편견단의 형식으로 조성한 법의는 몸 전체를 감싸며 유연한 사선으로 흘러내린다. 이러한 옷의 주름이나 팔꿈치가 직각으로 굽혀진 것은 고려시대 마애불의 특징이기도 하다. 이 마애불은 그 형태로 보아 조사상이나 나한상으로 보기도 한다.


천 년 세월을 온갖 풍상에 저리도 의연하게 서 있는 마애불. 머리 부분은 암벽의 상단에 조각이 되어 올려다보면 몸에 비해 조금은 작은 듯도 하다. 전체적인 균형은 조금 비례가 맞지 않은 듯하지만, 저 단단한 암벽을 쪼개고 갈아 내어 저런 걸작을 만들었다는 것에 감탄을 금치 못한다.


여인이여 무슨 사연이 있길래


마애불 앞에 한 여인이 절을 하고 있다. 이 복중에 어찌 그리 애를 닳는 것인지. 수도 없이 절을 하는 모습으로 보아, 아마 천배를 하는 듯하다. 물을 마시면서 해도 자칫 탈진이 올 수도 있다. 그런데 저렇게 이 복중에 절을 하다가 보면, 자칫 탈진이 올 수도 있는데. 나도 더운 복중에 천배를 해보았기에, 그 진한 고통을 알고 있다. 그래서 마음이 아프다.


도대체 무슨 사연이 있기에 저렇게 간절할까? 아마도 이렇게 자신을 던져 기원을 하는 것이라면 이루어질 수밖에 없을 듯하다. 곁에서 사진을 찍고 있는 것조차 죄스럽다. 그저 마음속으로 함께 기원을 하는 수밖에.

 


“천년 세월 이곳을 지켜 오신 설봉산 마애불님. 저리 간절히 비는 것이라면, 꼭 들어주세요. 세상엔 나쁜 사람들도 잘 사는데, 저리 땀을 흘리는 사람의 사연은 이루어져야만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이 부처님의 세상을 지켜가는 것일 테니.”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