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양양에 있는 <오색한과>를 찾았다. 한과의 전통적인 맛을 찾아보기 위함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과자를 과정류라고 하여 외래 과자와 구별했다. 유밀과와 다식, 정과, 과편, 숙실과, 엿강정 등을 통틀어 한과류라고 한다. 과정류란 곡물에 꿀을 섞어서 만드는 것으로 과란 말은 삼국유사 가락국기에 수로왕조 제수로서 과라는 것이 나온다.

 

제수로 쓰는 과는 본래 자연의 과일인데, 과일이 없는 계절에는 곡분으로 과일의 형태를 만들고, 여기에 과수의 가지를 꽂아서 제수로 삼았다고 한다. 과정류는 농경문화의 진정에 따른 곡물 산출의 증과와, 숭불사조에서 오는 육식의 기피사조를 배경으로 신라, 고려시대에 특히 고도로 개발된 제례, 혼례, 연회 등에 필수적으로 오르는 음식이다.

 

 

삼국시대부터 기름과 꿀을 사용

 

과정을 만들 때는 삼국시대부터 기름과 꿀을 사용했으나, 이 재료들을 응용하여 과정류가 만들어진 것은, 삼국 통일시대 이후로 보인다. 과정류가 차에 곁들이는 음식으로 만들어지고 음다풍속이 성행된 것은, 통일신라시대에 불교가 융성했기 때문이다.

 

숭불사조가 고조되었던 통일신라에서 음다풍속과 육식 절제풍습이 존중됨에 따라 채식 음식과 곡류를 재료로 한 과정류가 발달했으리라는 것은 쉽게 추측할 수 있는 일이다. , 신문왕 3(683) 왕비를 맞이할 때 납폐품목으로 쌀, , , , 기름, 메주 등이 있었는데 과정류에 필요한 재료가 있었으므로 과정류를 만들었다고 추정할 수 있으나 문헌의 기록은 고려시대부터이다.

 

 

유밀과 대신 나무열매를 사용하기도

 

고려사형법금려에 의하면 명종 22(1192)에는 유밀과의 사용을 금지하고 유밀과 대신에 나무열매를 쓰라고 하였다. 공민왕 2(1353)에는 유밀과의 사용금지령까지 내렸다고 한다.

 

고려시대 또한 불교를 호국신앙으로 삼아 살생을 금했던 만큼, 육식이 절제됨에 따라 차를 마시는 풍속과 함께 과정류가 한층 더 서행하게 되었다. 과정류 중에서 특히 유밀과가 발달되어, 불교행사인 연등회, 팔관회 등 크고 작은 행사에 반드시 고임상으로 쌓아 올려졌다.

 

 

조선시대에 이르면 과정류는 임금이 받는 어상을 비롯하여, 한 개인의 통과의례를 위한 상차림에 대표하는 음식으로 등장하게 된다. 한편 과정류 중 강정은 민가에서도 유행하여 주로 정월 초하룻날 많이 해 먹었는데, 민가에서는 강정을 튀길 때 떡이 부풀어 오르는 높이에 따라 설 승부를 가르는 놀이까지 있었다고 한다.

 

요즈음은 양과에 밀려 우리 한과산업이 많이 쇠퇴했다고 한다. 하지만 아직도 양양, 충주 등 일주지역에서는 꾸준히 우리 한과의 맥을 이어가고 있다. 세상이 아무리 바뀌고 입맛이 변한다고 하지만, 우리의 전통을 어찌 소홀히 대할 수가 있단 말인가? 이 기회에 우리 전통음식을 한번 쯤 더 맛보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