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간에 돌아 본 화성, 눈이 시리다. 그 두 번째 이야기
눈이 시린 화성의 야경이야기. 그 두 번째는 화성의 동문인 창룡문으로 부터이다. 성 안에서 밖으로 본 창룡문은 참으로 아름답다. 조명으로 인해 은은한 빛을 발하는 성돌이 마치 살아있는 따스함을 느끼게 만든다. 지난 가을 이곳에서 장용외영의 무사들이 펼치는 마상무예를 수원문화재단 소속의 무예24기 시범단이 보여주었다. 그 장면이 얼마나 감동적이었는지 모른다.
그저 말과 혼연일체가 되어 달리면서 보여준 활쏘기, 창검술, 그리고 쌍칼을 휘두르면서 지쳐나가면서 순식간에 베어버린 짚단들. 허공을 가르며 날리는 짚단들이 장용외영의 무사들이 얼마나 정예화 된 군 조직이었는가는 알게 해준다. 그런 무사들이 지키고 있던 창룡문을 바라보면서 늦은 밤에 홀로 사색에 잠긴다.
창룡문을 나서 남수문 방향으로 걸어간다. 제일 먼저 만나는 것이 바로 동일포루이다. 화성에는 포를 쏘는 포루와 적을 감시하고 지휘를 맡아하는 포루가 있다. 포를 쏘는 포루는 외장을 벽돌로 쎃아올렸기 때문에 금방 알아볼 수가 있다. 동일포루는 중간의 지휘소 역할을 하면서 병사들이 쉴 수도 있는 공간이다.
저만큼 동일치가 보인다. 치란 꿩을 뜻한다. 꿩은 숲으로 잘 숨어든다. 치는 성벽에서 밖으로 돌출이 되어있다. 이 치성은 성벽으로 기어로르려는 적들을 향해 뒤체서 공격을 할 수가 있는 시설이다. 치와 포루 등이 적당한 간격으로 설치가 되어있는 화성은 그야말로 난공불락의 요새이다.
동포루, 포루란 포를 쏘는 곳이다. 강력한 화기인 포는 개인이 소지할 수 있는 블랑기포부터 다양하였다. 포루는 안으로 들어가면 3층으로 되어있다. 맨 위에는 포장이 버티고 있는 1층과 1층은 병사들이 들어가 있다. 포루는 주변의 중요한 구조물을 보호하기도 하지만, 강력한 화력을 갖고 적을 공격하는데 효과적이었을 것이다.
동이치. 동포루와 봉돈 사이에는 동이치가 자리한다. 화성의 시설을 보면 참 과학적이란 생각이 든다. 화성의 동남쪽은 너른 평지와 깊은 현재의 창룡문로, 그리고 그 조금 위에는 흡사 외성과 같은 용마룻길이 나 있다. 이곳에 조형물이 많은 이유는 그만큼 성벽이 노출되어 있기도 하지만, 중요한 시설물이 많기 때문이기도 하다.
동이치를 지나면 성벽으로 돌출된 봉돈이 있다. 마치 어느 서양의 고성같은 웅장함을 자랑하고 있는 본돈. 봉돈은 본화를 피워 신허를 하는 곳이다. 평상이에는 봉화 하나를 올리지만, 적과 접전이 벌어지면 다섯개의 화구가 일제히 연기를 올린다. 봉화는 산 정상부근에 있지만, 화성의 봉돈은 평지에 있는 거소 남다르다.
동삼치. 중요 시설물과 치가 하나씩 건너있는 곳이 바로 이곳의 지형이 딴 곳에 비해 취약하기 때문은 어니었을까? 창룡문으로 부터 남수문까지를 걷다가 보면 유난히 구조물들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 있음을 알 수가 있다. 치와 포루, 봉돈 등을 보호하기 위해 중간마다 치를 놓았다는 점도 특이하다.
동삼치를 지나면 성벽 안으로 들어간 동남각루의 처마가 보인다. 대개의 구조물들이 치성위에 놓았는데, 동남각루는 치성을 벗어나 안으로 들어가 있다. 이 동남각루는 남수문을 보호하기 위한 시설로 보인다. 이층 루로 지어진 크지 않은 전각은 아름답다. 그리고 아래에는 반칸짜리 온돌방이 있다. 장용외영의 군사들을 사랑하는 정조의 따듯한 마음이 느껴지는 곳이다.
남수문은 두 번이나 유실이 되었던 곳이다. 다시 복원을 한 남수문은 구간수문으로 밤에 조명이 아름답다. 광교산에서 발원한 수원천이 북수문인 화홍문에서 화성으로 유입이 되어, 남수문에서 다시 밖으로 흐른다. 수문 위에는 벽돌로 여장을 쌓았다.
지금은 일부 유실이 된 남공심돈과 남암문도 이 남수문과 팔달문을 보호하기 위한 시설이었을 것이다. 성안에 물은 상당히 중요한 것이기에, 그만큼 남수문의 용도도 중요하다. 늦은 시간이지만 남수문을 들라거리며 수원천을 걷는 사람들이 보인다. 화성의 야경이야기 두 번째를 남수문에서 접는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