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강길 가운데서도 남한강의 주변 강 길은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하기에 가장 마음이 아픈 곳 역시 남한강의 주변 길이다. 2010년 3월 28일(일), 민족미술인협회 서울, 경기, 여주의 회원들이 수경스님이 계신 여주 남한강가 여강선원을 찾았다. 매주 토요일 스님이 강을 보존하기 위하여 열고 계시는 수륙제에 함께 동참을 하기 위해서다.

 

수경스님과 1시간여를 간담을 한 민미협 회원들은, 이항진 여주환경운동연합 집행위원장의 안내로, 멸종위기 2급보호식물인 단양쑥부쟁이 집단서식지가 있는 강천마을회관서부터 닷둔리까지 강길을 걸었다. 이른 봄에 걷는 남한강 길. 그 중에서도 닷둔리까지 걷는 '해돋이 산길'은 가장 아름다운 길 중 한 곳이다.    

 

아름다운 해돋이 산길

 

  
▲ 봄꽃 강 길 주변에는 벌써 여기저기 꽃들이 피어있다. 며칠 전에도 눈이 내렸는데...
ⓒ 하주성
강 길

 

해돋이 산길은 강천리부터 닷둔리까지다. 닷둔리는 교동에서 풀무골로 넘어오는 고개를 말한다. '둔(屯)'이란 평평한 산기슭을 이르는 말이다. 해돋이 산길은 많이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남향으로 남한강의 흐름과 햇빛을 볼 수 있는 아늑한 길이다. 하기에 이 길은 아직도 생태계가 그대로 살아있는 아름다운 길이다.

 

이항진 위원장이 설명하는 단양쑥부쟁이 서식지 주변은, 한창 덤프트럭들이 줄을 지어 드나들고 있었다. 그나마 쑥부쟁이 서식지는 보존이 되어있다고 하니 다행이다. 그곳에서 길을 걷기 시작해, 해돋이 산길로 접어들어 천천히 걷기 시작한다. 논둑과 밭둑을 지나 우측에 남한강을 두고, 좁은 소로를 따라 들어가니 양지바른 곳에는 벌써 작은 풀들 사이에 꽃들이 피어있다.

 

생태계가 살아있는 여강 길

 

강을 우측으로 두고 걷는 해돋이 산길, 좁은 도로를 따라 가다가 보면 발밑으로 경사가 급한 곳을 만난다. 나무 가지 사이로 보이는 남한강의 물이 참 '파랗다'라는 생각을 한다. 저만큼 사람들이 모여서 꽃을 보고 있다. 생강나무 꽃이다. 노란 생강나무 꽃이 길을 따라 여기저기 피어있다. 생강나무 꽃은 4월 초에 피기 시작하는데, 올해는 날이 따듯해 일찍 꽃을 피운 듯하다. 마른 풀숲에는 원추리가 여기저기 싹을 드러내고 있다.

 

  
▲ 생강나무 꽃 생강나무 꽃이 강길을 걷는 길 가 여기저기 피어있다.
ⓒ 하주성
생강나무 꽃

  
▲ 원추리 원추리도 싹이 돋아 자라고 있다.
ⓒ 하주성
원추리

  
▲ 돌단풍 바위 틈에 난 돌단픙도 꽃망울을 터트리고 있다
ⓒ 하주성
돌단풍

 

생강나무 꽃을 따다가 그늘에 건조를 시켜 차를 달여 마시면 몸에 좋다고 한다. 생강나무 차를 몇 년째 마시는 나는, 그 향을 알기 때문에 꽃만 보아도 반갑다. 강 길을 따라 여기저기 피어있는 생강나무 꽃들. 그리고 절벽에 여기저기 피어있는 돌단풍도 보인다. 며칠 전만해도 여주에는 눈이 쏟아졌는데, 그 눈속에서도 이미 꽃을 피울 준비를 했는가 보다. 눈 속에서도 꽃을 피우는 자연의 섭리가 놀랍기만 하다. 그 자연을 마음대로 파헤치고 있는 인간들의 오만은 도대체 어디까지 갈 것인지.

 

앞서가던 일행이 깎아지른 듯한 절벽 밑에 서서 위를 보고 무엇인가를 불러댄다. 쫓아 가보니 청설모 한 마리가 벼랑 중간에 매달려 있다. 이놈, 갑자기 나타난 인간들이 두려운 것인지 올라가지도, 내려가지도 못하고 죽은 듯 매달려 있다. 근처에 파인 돌 틈에 어린 새끼라도 있는 것일까?

 

  
▲ 청설모 벼랑에 매달린 청설모
ⓒ 하주성
청설모

  
▲ 청설모 움직이지 않고 벼랑에 매달려있는 청설모
ⓒ 하주성
청설모

 

아름다운 자연, 그대로 후손들에게 물려주어야

 

몇 번인가 길을 오르내리면서 걷기를 40여 분. 해돋이 산길이 끝날 무렵 동행을 한 환경연합 회원들이 놀랍다는 듯 쫓아온다. 이곳에서는 보기 힘든 가창오리를 보았다는 것이다. 아마 건너편 물가에 가득 앉아있던 많은 철새 떼 틈바구니에 있었나 보다. 바람에 뽑힌 것인지, 쓰러진 나무가 옆에 선 나무에 기대면서 아취를 만들고 있다. 그 밑으로 지나가면서 즐거운 것도 자연 스스로가 만들었기 때문이다.

 

아름다운 자연, 그리고 살아있는 생태계. 이런 곳을 마구 파헤치고 있는 사람들. 과연 이 다음에 우리 후손들은 우리들을 얼마나 못난 조상이라고 비웃을 것인가? '자연은 우리 것이 아니라, 후손들에게 빌려온 것이라'고 말로는 그럴 듯하게 떠들고 있는 인간들. 이 아름다운 자연을 지키지 못한 우리들도, 결국엔 똑같은 취급을 받을 것은 자명한 일. 이 아름다운 강 길에서, 헤집어진 강바닥과 같이 마음도 갈래갈래 찢어지고 있다.

 

  
▲ 남한강 해돋이 산길을 걷다가 내려다 본 남한강.
ⓒ 하주성
남한강

  
▲ 나무 아취 자연이 만든 나무 아취. 해돋이 산길은 아름다운 강길이었다
ⓒ 하주성
아취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