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문화유산이자 사적 제3호인 수원화성은 그 축성을 규장각 문신 정약용이, 동서양의 기술서를 참고하여 만든 성화주략(1793)을 지침서로 하였다. 재상을 지낸 영중추부사 채제공의 총괄아래 조심태의 지휘로, 조선조 정조 18년인 17941월에 착공에 들어가 17969월에 완공하였다.

 

화성은 정조 이산이 당쟁에 의한 당파정치 근절과, 강력한 왕도정치의 실현을 위한 원대한 정치적 포부가 담긴 정치구상의 중심지로 축성되었다. 또한 아버지인 장헌세자를 향한 효심과, 수도 남쪽의 국방요새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기도 했다.

 

 

축성 이전부터 몰려든 상권

 

성을 쌓기 위해서는 많은 물자와 인력이 필요하다. 화성은 축성을 할 이전부터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그리고 축성이 시작되자 그 수많은 사람들이 살아갈 수 있는 생필품은 물론, 물자조달을 위한 장거리가 형성이 되었다. 팔달문 앞에 있는 상권은 이미 정조 이산이 화성을 축성하기 이전부터, 이곳을 기점으로 난전을 형성했을 것으로 보인다.

 

정조대왕이 직접 내탕금 6만 냥이라는 밑천을 대주어 이룩한 시장. 남문인 팔달문 앞에 전국 각처에서 수많은 인재들이 몰려들어 시장을 일으킨 것은, 바로 이러한 정조의 전폭적인 지지 때문이었다. 정조는 이 시장으로 인해 경제를 살리고 더욱 강한 왕권을 형성할 수 있도록 노력을 한 것이다.

 

 

<동국문헌비고>에 나타난 장시

 

영조 46년인 1770년에 편찬된 동국문헌비고에는 전국의 장시는 평안도 134, 함경도 28, 황해도 82, 강원도 88, 경기도 101, 충청도 157, 전라도 216, 경상도 278개소로 모두 1,064개소에 달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순조 8년인 1808년에 편찬된 만기요람 재용편 5 향시조에 보면 향리 밖에서 장을 여는 것은 한 달에 여섯 장인데, 1일과 6, 2일과 7, 3일과 8, 4일과 9, 5일과 10일을 이용한다. 송도는 방식이 서울과 같고, 경기도 102, 충청도 157, 강원도 68, 황해도 82, 전라도 214, 경상도 276, 평안도 134, 함경도 28곳이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당시 전국의 장시는 8327개 군, 현에 1,061개의 장시가 있다고 하였다.

 

그 후 순조 30년인 1830년에 편찬한 임원경제지에는 전국의 장시가 1,052개가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당시의 장시는 꼭 5일장으로 서는 것은 아니었다. 만기요람에는 길주 북쪽 삼갑의 각 고을에는 본래 장시가 없고, 민간인들 사이에는 평상일에 매매한다.’ 기록하고 있어 당시의 장시는 지역의 환경에 맞게 장이 개설된 것을 알 수 있다.

 

 

전국의 선비상들이 몰려든 수원

 

수원의 유상, 일반적인 장사치들이 아니다. 유상이란 수원 팔달문 앞에 자리를 잡고 장사를 하는 사람들이지만 그들은 선비들이었다. 물론 이 유상이란 말은 버드나무를 심은 수원을 유경이라 부른데서 비롯한 용어이다. 이들을 새롭게 조명해서 부르는 용어가 바로 유상이며, 전국 각처에서 모인 선비들로 이루어진 장사치들을 뜻한다. 그래서 이 유상들은 정조의 효심과 정조의 강한 왕권을 기반으로 한 국가를 건설하려는 뜻에 동참을 한 사람들이었다.

 

그 유상들 중에는 윤선도 가문의 후손들을 비롯하여, 전국의 내로라하는 선비들이 참여를 하였다. 정조는 이들에게 갓과 인삼의 유통권을 주었다. 갓과 인삼의 유통권을 갖는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수원 팔달문 시장의 우리나라 시장경제의 중심에 섰다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유상의 근거지인 수원의 팔달문 시장. 지금도 이곳은 팔달문시장을 중심으로 주변에 7~8개의 시장이 모여 있는 상권의 중심지이다. 수원시는 이곳을 지난 20118월부터 지난해 2월까지 사업비 12억원(도비 포함)을 투자해, 유상박물관과 팔달문시장 문화센터, 조형물 설치, IT 콘텐츠 제작 등 1차 사업을 완료했다.

 

 

유상박물관 안에는 무엇이 있을까?

 

지동교를 건너 팔달문 방향으로 우측에 보면 1층에 <유상박물관>이라고 쓰여 있다. 2층으로 올라가면 만나게 되는 유상박물관. 이곳에는 왕(정조)이 만든 시장이라는 팔달문 앞의 시장들이 그려져 있다. 그리고 과거 사용하던 동전과 지폐 등이 전시되어 있다. 또한 이곳 장에서 장사를 하면서 아들을 복서로 키운 어머니와 아들의 복싱글러브, 대장장이와 공구, 50년간 한복을 지은 수원주단 김갑선씨 등의 사진과 재료들이 전시되어 있다. 중앙에는 원으로 된 진열대에 상인들의 미니어처와 설명이 전시되어 있다.

 

정조대왕이 내탕금을 내주어 마련한 장시. 수원 팔달시장과 영동시장 건너편에 자리하고 있는 유상박물관. 정조대왕이 막강한 경제력을 가진 나라를 지향해 직접내탕금을 내주어 마련한 왕이만든 시장. 그 시장에는 지금 어떤 사람들이 살며, 어떤 일들이 일어나고 있을까? 그것이 궁금하면 유상박물관을 찾아가 보자. 그것에서 정조대왕이 꿈꾸던 세계시장의 중심을 느낄 수가 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