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유성에서 1번 국도로 따라 조치원을 향하다가 보면, 금강을 내려다보고 있는 작은 정자가 보인다. 연기군 남면 나성리 101번지에 해당하는 이곳에는 충남 문화재자료 제264호인 ‘독락정(獨樂亭)’이 자리한다. 독락정이란 말 그대로 혼자 낙낙하는 정자란 뜻이다. 왜 이런 이름을 지었을까?

이 정자는 고려 말의 무신인 전서 벼슬을 지낸 임난수 장군을 위한 정자이다. 임난수 장군은 최영 장군과 함께 탐라정벌을 했던 무장이다. 장군은 고려가 망하자 '충신은 두 임금을 섬기지 않는다‘고 하여 벼슬을 버리고, 금강 월봉 아래서 16년간을 지내다가 세상을 떠났다. 끝까지 섬기던 임금에 대한 충심을 버리지 못한 것이다.

금강가에 외롭게 서 있는 독락정

장군의 아들 임목이 지은 독락정

독락정은 조선조 세종 19년인 1437년 임난수 장군의 아들인 임목이 부친의 고귀한 뜻을 기리기 위해 지은 정자이다. 그 후 여러 번 고쳐지었으며, 주변에는 낙락장송이 우거져 있다. 앞으로 유유히 흐르는 금강을 굽어보고 서 있는 독락정. 지금은 길 위에 홀로 외롭게 서 있는 이 정자는, 임난수 장군의 마음을 그대로 닮았다는 생각이다.

정자는 크지가 않다. 처음부터 이런 형태로 지어졌는가는 모르겠지만, 주변에 서 있는 소나무에서 그 역사를 짐작할 수가 있다. 낮은 담으로 둘러친 정자는 금강 쪽은 담을 낮게 해 마루 위에서 강을 바라다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정자의 특징은 주춧돌이다. 팔각의 장주추를 써서 기둥을 그 위에 올려놓았다. 이런 형태의 건축물이라 그런지 작아도 무게가 있어 보인다.



정자는 낮은 담으로 둘러쌓다(위) 주추는 팔각의 장주추를 놓고 그 위에 기둥을 세웠다(가운데) 정자에서 내려다보이는 금강(아래)

정면 3칸, 측면 2칸인 독락정은 마루 중앙 뒤편으로 방을 놓았다. 일반적으로 이렇게 방을 드릴 때는 온돌을 놓지만, 독락정은 그대로 마루로 연결하고 사방을 문으로 마감을 하였다. 아마도 이곳에서 흐르는 금강을 내려다보면서 취흥에 젖고는 했을 것이다. 정자로 오르니 벽에는 편액이 걸려있다. 독락정기와 독락정시의 두 편의 편액이 벼슬을 떠난 임난수 장군의 쓸쓸함을 이야기하는 것만 같다.

담장 밖에서 사진을 찍다가 성이 차지 않아 월담이라도 해야 하나를 고민한다. 정자 뒤에 난 일각문을 보니 잠을 통이 그냥 걸려있다. 문을 밀치고 안으로 들어가 정자에 올라 금강을 내려다본다. 저만큼 무슨 공사라도 하는 것인지, 물이 탁하게 흐른다. 예전 정자를 짓기 전에 이곳에 올랐을 장군은 무슨 생각을 했을까?


정자에는 독락정기와 독락정시의 두 편의 편액이 걸려있다

아마 망해버린 고려에 대한 아쉬움이 남달랐을 것이다. 충신은 불사이군이라면서 스스로 벼슬을 마다하고 이곳에 와서 여생을 끝낸 임난수 장군. 그 자손들에게도 나라를 위한 충심을 알려주지 않았을까? 선친의 뜻을 기리기 위해 지었다는 독락정은 가을의 햇볕만이 따갑게 내리쬐고 있다.

사람들은 무슨 생각을 하면서 정자에 오를까? 난 늘 그 정자의 주인이 되고 싶어 한다. 정자를 세운 뜻을 조금이라도 알아보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백사람이 모두 생각이 다르다고 하니, 어찌 그 뜻을 감당할 것인가? 오늘 독락정에 올라 장군의 마음을 헤아려보지만, 무심히 흐르는 저 금강처럼 나도 무심히 떠나는가보다.


가운데 뒤편으로 마루방을 들이고(위) 주변에는 고목이 된 소나무들이 서 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