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항로(1792∼1868년) 선생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 성리학자이다. 이항로 선생은 순종 8년인 1808년에 과거에 합격을 했으나 포기하고, 학문과 제자 양성에만 전념하였다. 고종 3년인 1866년에 병인양요가 일어나자, 흥선대원군에게 전쟁으로 맞설 것을 건의하면서 주전론(主戰論)을 주장했으며, 경복궁 중건 등 흥선대원군의 정책에는 반대를 하기도 하는 등, 조선 말기 위정척사론의 사상적 기초를 형성하였다.

 


 

양평군 서종면 노문리에 자리한 이항로 선생의 생가는, 부친인 이회장 때에 지은 집으로 250여 년 정도가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까지 복원을 마친 생가는 노문리 벽계마을의 조금 높은 곳에 자리하면서, 앞으로는 벽계천을 내다보고 있는 전형적인 사대부가의 집이다. 이 집은 성리학의 요람으로 최익현, 홍재학, 김평묵, 유중교, 박문일 등 많은 선비들을 배출해 내기도 했다.

 

벽계천을 바라보며 학문을 연마한 사랑채

 

사랑채는 대문 우측에 세 칸으로 마련하였다. 마루에 앉으면 벽계천이 바라다 보인다.

 

이항로 선생의 생가는 사랑채와 대문채, 그리고 사랑채의 뒤로 이어진 행랑채가 있고, 안담장에 난 일각문을 들어서면 안채와 안채의 뒤편에 낸 광채로 마련되어 있다. 사랑채는 대문을 바라보고 우측에 자리한다. 사랑채는 세 칸으로 되어있으며, 두 칸의 방과 한 칸의 마루방으로 꾸며졌다. 사대부가의 사랑채치고는 단아한 느낌을 갖게 한다. 사랑채의 앞으로는 모두 툇마루를 내어, 이곳에서 앞으로 흐르는 벽계천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하였다.

 

지금은 안채의 마루방에 걸려있는 '청화정사(靑華精舍)'라는 현판은, 이 사랑채에 걸려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곳에서 선생은 앞으로 흐르는 벽계천을 바라다보면서 많은 후학들을 양성했다. 올 들어 가장 춥다는 날에 찾아간 이항로 선생의 생가. 큰 길에서 5.5km 정도를 계곡을 따라 들어갔다. 길도 비좁은데 눈까지 쌓여, 차라도 만나면 몇 번이고 후진을 하면서 찾아간 곳이다. 사랑채 마루에 올라앉으니, 마을 전체가 보인다. 아마 제자들과 함께 이 마루에 앉아 강학을 하고, 벽계천 주변에 있는 노산팔경을 이야기했을 것이다.

 

사랑채와 붙어 역 ㄷ 자로 꾸며진 행랑채. 안 담장을 구분으로 안채와 같은 선상에 있다.

기와로 만든 굴뚝. 낮은 굴뚝에게서 스스로 겸손함을 배웠을 것이다.

 

사랑채의 뒤편에는 행랑채가 자리하고 있다. 사랑채와 행랑채는 붙어있으며, 역 ㄷ 자형의 구성으로 꾸며졌다. 안담과 경계로 구분을 한 행랑채는 ㄱ 자형으로 사랑채와 붙어있다. 행랑채는 두 칸의 방과 꺾인 부분에 헛간을 두고, 다시 방으로 이어진다. 이 꺾인 부분에 들인 두 칸의 헛간은 밖으로도 빗장문을 낸 것으로 보아, 각종 농기구들을 넣어두고 손쉽게 드나들었을 것으로 보인다.

 

아랫사람들의 동선까지 생각해서 지은 집이다. 아마 그것이 이항로 선생의 부친 때부터 전해진, 선비의 올곧은 마음이었을 것이다. 행랑채 뒤편에 선 기와로 만든 굴뚝은, 이 집의 딱딱함을 희석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렇게 낮게 낸 굴뚝은 항상 모든 일에 겸손하라는 선생의 가르침을 일깨워 주는 듯 하다.

 

찬광을 낸 안채의 아름다움

 

중문인 일각문을 통해서 들어갈 수 있는 안채는  역 ㄱ 자형이다. 들어서면서 한 칸의 건넌방이 있다. 건넌방은 앞에 툇마루를 냈는데, 양편 툇마루를 벽으로 막았다. 흡사 이 한 칸의 건넌방이 특별한 용도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건넌방 옆으로는 개방한 아궁이를 두었다. 그리고 한 칸의 방을 지나 두 칸의 마루방이 있는데, 툇마루가 안방까지 연결이 된다. 지금은 이 마루방 위에 청화정사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이 집의 특징은 안채에 대청이 없다는 것이다. 그 대신 두 칸의 마루방을 꾸몄다.

 

중문을 들어서면 마주하는 건넌방. 툇마루 양편이 벽으로 막혀있다. 조금은 특별한 용도로 사용을 한 듯 하다.

역 ㄱ 자로 꾸민 안채. 모두 열 칸으로 꾸며진 안채. 중간에 두 칸의 마루방을 내었다. 대청이 없는 특이한 모습이다.


안방은 꺾인 부분에 드렸는데, 두 칸의 안방에 비해 부엌이 세 칸으로 넓다. 부엌 안으로 들어가면 한 칸이 벽과 판자문으로 구분이 되어있다. 문을 열어보니 현대식으로 싱크대 등을 마련해 놓았다. 아마 이곳을 한옥체험의 공간으로 만든 것은 아닌지. 원래 이 끝에 달린 막힌 한 칸은 찬광이라고 한다. 많은 사람들이 찾아들었을 이항로 선생의 생가에는, 그만큼 기물 등이 많았을 것이다. 그런 것을 보관하기 위해 따로 한 칸의 찬광을 드려놓았다.

   

세 칸의 부엌 안에는 담과 판바문으로 구분을 한 찬광이 한 칸 있다.

                   

뒷문을 낸 광채와 대문채

 

안채 뒤편에 마련한 광채는 이항로 선생의 생가지에서 유일하게 초가로 된 건물이다. 모두 네 칸으로 구성이 된 광채는 우측 맨 끝에 문을 내었다. 문을 열면 바로 밖으로 나갈 수가 있다. 아마 이 문을 통해 집 뒤편에 있는 마을 동산으로 포행을 다녔을 것이다. 네 칸의 광채는 안채 부엌의 뒤편에 있는데, 작은 문과 두 칸의 광, 그리고 한 칸의 측간으로 지어졌다. 담장은 모두 판자벽으로 둘렀다.

 

넓지 않은 부지에 많은 건물을 들여서인가 조금은 답답해 보이기도 하는 이항로 선생의 생가. 그러나 그 하나하나가 이루어져 공간의 아름다움을 연출하고 있다. 안채와 마주한 대문채는 광채와 마찬가지로 판자벽으로 둘렀다. 대문채는 대문을 들어서 안 담장으로 막혀있다. 안으로 들어서면 - 자 형으로 되어 모두 광으로 사용을 했다고 한다.

 

안채 뒤편에 자리한 광채. 광채 끝에는 문이 있어 밖으로 출입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강채는 모두 판자벽으로 둘렀다.

대문채는 판자벽으로 담벼락을 내어 운치를 더했다. 모두 세 칸으로 꾸며졌다.

 

생가 벽계천 주변에 있는 제월대, 명옥정, 분설담, 석문, 쇄취암, 일주암 등, 선생이 직접 친필로 각자를 했다는 노산팔경과 어우러진 집. 날이 춥다는 것을 잊을 만큼 빠져드는 집이다. 현재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05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항로 선생의 생가. 구불구불 찾아들어가는 집은 한 겨울 찬바람에도 그렇게 의젓하니 객을 맞이하고 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