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증평군 도안면 광덕리 산21에 소재한 광덕사. 이 절에 대한 자세한 내력은 전하지 않는다. 다만 전하는 이야기에 따르면, 1949년 한 보살은 석불의 꿈을 꾸고, 석불 옆에 세 칸의 작은 암자를 지은 뒤 광덕사라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이곳에는 고려 초기인 10세기를 전후해 조성이 된 것으로 추정되는 석불입상이 한 기 서 있다. 석불입상의 내력으로 보아, 고려 때 이곳에 절이 있지는 않았을까 생각이 든다.

광덕사는 도안면 소재지에서 충주 방면으로 36번 국도를 따라가다가, 도안농공단지입구에서 작은 고개를 넘어 1km 쯤 접어들면 도안면 광덕2리 마을회관이 나온다. 마을회관에서 700여m쯤 더 들어가면 농경지를 지나 산기슭에 외따로 떨어진 작은 절이 있는데 이곳이 바로 광덕사다.


어쩌다가 쇠 머리띠까지

광덕사는 작은 절이다. 절 경내에는 모두 3동의 전각이 있다. 절로 들어서면 우측에 석불입상이 보인다. 석불입상은 전체 높이가 4.8m에 석불의 높이는 4m 정도다. 화강암으로 조성된 이 석불입상은 마모가 심한 편이다. 특이하게 이마에는 쇠 띠를 두르고 있는데, 이는 목과 머리에 균열이 생겨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석불은 그 크기에 비해 간단하게 조성했다. 미간에 있어야 할 백호는 보이지가 않는다. 양 귀는 길게 늘어졌으나 어깨에는 닿지 않았다. 눈은 가늘게 반쯤 뜨고 앞을 바라보고 있는데, 목에는 삼도가 뚜렷하다. 석불의 인상은 위엄이 있어 보인다.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오래 동안 노천에서 비바람에 마모가 되어서인지 선명하지 않은 부분이 보인다.




두 개의 돌로 조성된 석불입상

광덕사 석불입상은 두 개의 돌로 조성이 되어 있다. 연화대좌와 석불이 같은 화강암으로 조성된 것으로 보아, 같은 시기에 함께 조성했음을 알 수 있다. 석불을 받치고 있는 연화대좌는 80cm의 높이로 꾸몄으며, 꽃잎 등을 표현한 수법이 투박하다. 고려 초기 지방에서 나타나는 석불의 특징을 잘 보이고 있다. 이 석불의 연호대좌와 석불의 조각 등으로 보아, 이 지역의 장인에 의해서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연화대좌 위에 세운 석불입상은 일석으로 꾸며졌다. 머리는 큰 편이며 이목구비가 큼지막하게 표현을 했다. 오랜 세월 풍우에 씻겨 마모가 심한 편이지만,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오른손은 가슴 위로 들었는데, 손에 무엇인가를 들고 있는 듯하다. 왼손을 배에 붙여 손바닥을 안으로 향했다. 법의는 양편 어깨서부터 주름이 잡혀있으며, 아래로 내려가면서 U 자형으로 표현을 하였다.



문화의 소중함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이상한 나라

많은 문화재들이 수난을 겪었다. 그러나 광덕사 석불입상은 1949년에 암자가 지어지면서 나름대로 보존이 잘되고 있다. 이렇게 절 경내에 있지 않고, 야외에 있는 석불이나 탑 등은 훼손이 심하다. 아무래도 관리하는 이들이 없다보니, 사람들에 의해 훼손이 될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광덕사 석불입상의 이마에 머리띠를 두른 것도 경내에 있어 가능한 것이다. 야외에 있었다고 하면 관리가 안 돼 파손이 되었을지도 모른다.

요즈음은 갑자기 지역마다 문화 콘텐츠를 개발한다고 난리도 아니다. 하지만 정작 지역의 문화를 잘 이용하는 지자체는 그리 많지가 않은듯하다. 그 이유는 문화를 관리하는 부서들이 대개는 전문적인 집단이 아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 땅에 수많은 문화재들. 이렇게 쇠 머리띠를 두르고 있는 석불입상의 앞에서 괜스레 낯이 붉어진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