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 감자밭의 이삭줍기, 그래도 두 가마일쎄
2011. 7. 24. 08:49
|
사람이 사는 세상사
새벽 5시, 짜장스님인 운천스님이 문을 두드린다. 어제에 이어 오늘도 감자를 캔 밭으로 '이삭줍기'를 하러 가자는 것이다. 요즈음은 농촌분들도 이삭줍기를 별로 안하신단다. 그만큼 노동력이 딸리 거기에 시간을 보내는 것보다, 딴 일을 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생각일 것이다.
5시 10분 정도에 길을 떠났다. 요천가에는 벌써 건강을 위해 아침운동을 하시는 분들이 부지런히 걷고 있다. 30분 정도를 달려 찾아간 감자밭. 물론 감자를 다 캐고 난 후이다. '이삭줍기'란 농작물을 거두고 난 뒤, 땅에 떨어진 곡식의 낱알이나 열매 등을 줍는 것을 말한다.
조금이라도 아껴보아야죠
5시 10분 정도에 길을 떠났다. 요천가에는 벌써 건강을 위해 아침운동을 하시는 분들이 부지런히 걷고 있다. 30분 정도를 달려 찾아간 감자밭. 물론 감자를 다 캐고 난 후이다. '이삭줍기'란 농작물을 거두고 난 뒤, 땅에 떨어진 곡식의 낱알이나 열매 등을 줍는 것을 말한다.
조금이라도 아껴보아야죠
감자를 캐고 난 밭에 가서 이삭줍기를 하고 있다.
이삭줍기를 한다고 해서 많은 도움이 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하지만 이른 새벽에 길을 나서 두 시간 정도 땀을 흘리고 나면, 꽤 많은 양의 감자를 걷울 수가 있다. 이밭 저밭을 다녀보지만 벌써 누군가 한 번 훑고 지나갔다는 것이다.
마을 주민이 저 넘어로 가면 어제 감자를 캤기때문에 더 많이 이삭을 주울 것이라고 이야기를 한다. 하나라도 더 걷어올 욕심에 길도 제대로 없는 산길을 올랐다. 그런데 이건 쪼 무슨 일인가? 모두 딴 농작물을 심기 위해 로터리를 쳐 버렸다. 감자는 다 조갸지고 으깨져 있다. 다시 돌아나와 처음에 들렸던 곳으로 간다. 사람들은 왠 스님일행이 이 이른 아침에 이삭줍기를 하느냐고 궁금해 한다.
'스님짜장'에 들어갈 것 정성이 깃들어야
오늘(7월 24일, 일요일) 아침 5시에 길을 나서 이삭줍기를 한 감자다. 큰 것들도 있어 즐거운 마음이다.이삭줍기를 한다고 해서 많은 도움이 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하지만 이른 새벽에 길을 나서 두 시간 정도 땀을 흘리고 나면, 꽤 많은 양의 감자를 걷울 수가 있다. 이밭 저밭을 다녀보지만 벌써 누군가 한 번 훑고 지나갔다는 것이다.
마을 주민이 저 넘어로 가면 어제 감자를 캤기때문에 더 많이 이삭을 주울 것이라고 이야기를 한다. 하나라도 더 걷어올 욕심에 길도 제대로 없는 산길을 올랐다. 그런데 이건 쪼 무슨 일인가? 모두 딴 농작물을 심기 위해 로터리를 쳐 버렸다. 감자는 다 조갸지고 으깨져 있다. 다시 돌아나와 처음에 들렸던 곳으로 간다. 사람들은 왠 스님일행이 이 이른 아침에 이삭줍기를 하느냐고 궁금해 한다.
'스님짜장'에 들어갈 것 정성이 깃들어야
소외되고 힘든 이웃들을 위해 만들어 주는 '스님자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감자이다. 그 감자를 일일이 돈을 주고 사야만 한다. 이렇게 이삭줍기를 하면 다만 얼마라도 보탬이 되기 때문이다. 잠시 동안의 노동으로 얼만큼이라도 쓸 수가 있으면 그보다 좋은 일이 있을까?
그저 몸으로만 사람들을 위하는 것이 아니다. 먼저 마음으로 위해야 정말 아름다운 봉사라는 생각이다. 피곤한 몸과 졸린 눈으로 아침부터 땀을 흘렸지만, 그래도 꽤 많은 양의 이삭을 주울 수가 있었다. 그것을 손질하면서도 더 많이 캐오지 못했음을 아쉬워 한다. 아마도 이 이삭줍기를 한 감자를 이용한 스님자장은 그 맛이 남다르지 않을까 생각한다.
어제 새벽에 길을 나서 캐온 감자이다. 꽤 많은 양이다. 이틀동안 새벽 잠을 포기하고 다녀온 결과물이다. 두어가마는 됨직하다.
그래도 이렇게 이틀동안 이삭줍기를 하면서 나름 생각을 해본다. 첫 번째는 직접 밭에가서 이삭줍기를 한 감자를 이용해 음식을 만들었으니, 정성이 깃들어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피땀 흘려 지은 농작물을 그나마 이만큼이라도 버리지 않았다는 것이다.
두 가지가 다 고마움이다. 시쳇말로 하면 '누이 좋고 매부 좋은' 격이지만. 그 안에 녹아있는 따듯한 마음이 더 크지 않을까?
(주) 이 사진은 아이폰으로 촬영하였습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