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화를 피해 술과 벗 삼아 산 오괴정
주변이 다섯 그루의 괴목으로 둘러싸여 있다고 하여 이름을 ‘오괴(五槐)’라는 명칭을 사용한 것인지. 주변으로는 잎을 다 떨군 오래 묵은 괴목들이 서 있다. 그저 지금은 그리 절경도 아니고, 아름다운 정자도 아니다. 하지만 이 정자는 처음에 이곳에 정자를 이룩한 이후 벌써 500년 가까운 세월이 흘렀다.
전북 임신군 삼계면 삼은리에 있는 오괴정(五槐亭)은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67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오괴정은 조선조 명종즉위년인 1545년에 처음으로 오양손이 지었다. 그 후 후손들이 1922년에 고쳐지었다.
사화를 피해 낙향한 오양손
전국 이곳저곳을 답사하다가 보면 만나게 되는 수많은 정자들. 그 정자 하나같이 사연이 없는 정자는 없다. 모두 다 그럴만한 사연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정자 하나가 다 소중한 것이다. 물론 그 정자를 짓는 사람들이나, 어느 누구를 생각해 후에 정자를 짓기도 한다.
오괴정 또한 그럴만 한 사연을 간직하고 있다. 해주 오씨로 처음 삼계리에 들어온 오양손은 김굉필의 문인으로 참봉을 지냈다. 오양손은 중종 14년인 1519년 기묘사화 때 조광조 등 많은 문인들이 화를 입는 모습을 보고, 경기도 수원과 남원 목기촌으로 은거하였다가, 중종 16년인 1521년에 삼은리로 들어왔다.
후학을 가르치고 술과 시로 벗을 삼아
삼은리로 낙향한 오양손은 이곳에 오괴정을 짓고, 시와 술을 벗 삼으며, 후학들을 가르쳤다. 오괴란 다섯 그루의 괴목을 심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오괴정은 보기에도 고풍스럽다, 정자 주변에는 커다란 괴목들이 있어, 이 정자의 예스러움을 더욱 느끼게 해준다. 또한 정자 벽에 걸려있는 게판들은 칠이 벗겨져 있어, 오랜 시간이 지난 정자임을 잘 보여주고 있다.
전라북도 지역의 정자들이 다 그러하 듯, 오괴정 역시 정자 가운데는 방을 두어 운치를 더했다. 이 지역의 정자들은 대개가 이렇게 한 칸의 작은 방을 들였다. 아마도 정자와 집을 따로 생각하지 않은 듯하다.
정자에 오르면 앞으로 흐르는 작은 내와 펼쳐진 밭들이 한눈에 들어온다. 절경은 아니라고 해도, 주변 괴목이 우거지면 한 폭의 그림과 같을 것이다. 오양손은 이곳에서 술과 시를 벗 삼고, 후학들을 가르쳤다고 한다. 아마 권력의 회오리 틈에서 모든 것을 다 놓아버리고, 마음 편하게 일생을 자연과 더불어 살았나보다.
세월은 흘러도 주인의 이야기는 남는 법
세월의 무상함은 마음을 비워버린 정자 주인을 읽고, 봄날 스쳐가는 바람만 괴목가지를 흔들고 있다. 우리 선조들이 유난히 정자를 좋아한 것도, 알고 보면 먼 훗날 자신의 이야기를 남기고 싶은 것은 아니었을까? 수많은 정자들이 간직하고 있는 사연을 보면, 그 정자를 지은 이들의 마음을 읽을 수가 있으니 말이다.
그저 절경도 아니고, 그렇다고 특별하게 지어진 정자도 아니다. 오양손이라는 인물도 누구나 알 수 있는 인물은 아니었다. 하지만 오양손은 중종이 경연을 별설하여 그와 더불어 강론을 할 정도로 문장덕행이 뛰어난 인물이었다.
오양손의 자는 계선, 호는 둔암이다. 한양에서 출생하여 한훤당 김굉필의 문인으로 사재 김정국과 동문수학하였다. 일생동안 경의를 논하고 성리학에 참잡했다. 사림파간에도 그의 문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졌으며, 조정에도 그의 실력이 알려져 순릉참봉에 제수되었다.
정자 하나가 아름답다는 것만으로도 찾아가는 것은 아니다. 그 정자에 얽힌 수많은 사연들이 있기에 찾아가는 것이다. 정자의 아름다움만 이야기를 한다고 하면, 그 무슨 의미가 있으리오. 오늘도 길가에 오롯이 서 있는 작은 정자 하나에 마음을 빼앗기는 것은, 그 정자에 얽힌 사연 때문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