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통팔달(四通八達)의 중심 수원화성 팔달문
세계문화유산이자 사적 3호인 수원화성의 남문인 팔달문의 문루는 정면 5칸, 측면 2칸의 중층 건물이다. 지붕은 앞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을 한 우진각지붕으로 꾸몄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한 구조는 다포계 양식이며 문의 바깥쪽에는 문을 보호하고 튼튼히 지키기 위해 반원 모양으로 옹성을 쌓았다. 수원 화성의 옹성을 보면 동문인 창룡문이나 서문인 화서문과는 또 다른 형태이다.
이 옹성은 1975년 복원공사를 할 때 고증하여 화성성역의궤의 옛 모습으로 복원한 것이다. 문의 좌우로 성벽이 연결되어 있었지만 도로를 만들면서 헐어내 지금은 성문만 남아 있어 아쉬움이 크다. 염태영 수원시장은 올해 초 팔달구민과의 대화에서 팔달문의 화성 성벽이 끊어진 곳을 빠른 기간 내에 연결을 시키겠다고 피력한 바 있다. 팔달문의 끊어진 부분이 연결되면 남공심돈과 남암문 등이 복원되기 때문에 수원화성이 제 모습을 완벽하게 갖추게 된다.
‘팔달문’의 이름은 팔달산에서 따왔다. 정조는 화성을 축조하기 이전부터 수도 없이 이곳의 지형을 살핀 것으로 보인다. 이산 정조는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침을 정하기 위해 전국의 명당이라는 곳을 직접 다니면서 조사를 하기도 했다. 문의 양성산, 장단 백학산, 광릉 달마동, 용인 등 능터로 좋다는 곳을 직접 조사를 하기도 했다.
그러한 정조가 직접 거론한 곳이 바로 수원이다. 그리고 이곳에 화성을 축조한 것이다. 아마도 정조가 화성을 축조하기 전에 미리 한 일은 화성의 남문인 팔달문이 들어설 자리에 많은 사람들을 옮겨가게 했는지도 모른다.
조선후기인 1794년에 세운 화성의 남쪽 문인 팔달문은, 사방팔방으로 길이 열린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이름이다. 수원화성의 네 곳의 성문 중 동쪽문과 서쪽 문에 비해 북쪽문과 남쪽 문은 더 크고 화려하게 꾸몄다. 팔달문은 돌로 쌓은 무지개 모양의 문은 왕의 행차 시에도 가마가 드나들 수 있을 만큼 널찍하게 냈다. 문루 주위 사방에는 낮은 담을 돌리고 바깥쪽으로는 반달형 옹성, 좌우에는 적대 등 성문 방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시설을 두었다.
팔달문은 도성의 문루처럼 우진각 형태의 지붕과 잡상 장식을 갖춘 문루로서 규모와 형식에서 조선 후기 문루 건축을 대표한다. 옹성은 우리나라 성곽에서 일찍부터 채용되었던 방어 시설로서 서울성곽의 동대문, 전주성의 풍남문 등에서도 볼 수 있는데, 팔달문의 옹성은 규모와 형태면에서 한층 돋보인다.
1964년 9월 3일 보물 제402호로 지정이 된 팔달문은, 화성의 시설물 중에서 서문인 화서문(보물 제403호), 방화수류정, 서북공심돈 등과 함께 보물로 지정이 된 시설물이다. 팔달문은 그동안 여러 차례 보수공사를 한 기록이 보인다. 처음으로 팔달문을 보수한 것은 도광 26년인 1846년이었다. 이 해 6월 9일부터 내린 비로 수원천의 물이 크게 불어나, 북수문 아래 전돌이 떠내려갔고 문루도 무너졌으며, 남수문과 매향교까지 파괴가 되었다고 수원부 판관 겸 중군인 채학영이 보고를 한 것이다. 이때 폭우로 무너진 팔달문을 중수하고 옹성을 수보하였다.(수원부계록) 이 이후에도 팔달문은 28차례나 보수를 한 것으로 기록에 보인다.
팔달문은 옹성의 문이 성문과 일직선으로 놓여있다. 그것은 이 팔달문의 홍예를 지나 옹성을 거쳐 곧게 사통팔달하라는 뜻이다. 삼남에서 한양으로 올라가기 위해서는 모두가 팔달문을 들어서야 한다. 팔달문의 상량문에는 ‘돈과 곡식과 군사가 모이고, 선비와 농사꾼과 장사치가 반드시 여기 있네.’라고 적혀있다고 한다. 한 마디로 팔달문은 풍요와 번영을 상징하는 문이다.
220여년 전 정조대왕은 화성을 축성하고 팔달문 앞에 성밖시장을 내탕금을 내주어 조성할 때했 정조는 이곳에 선비들을 끌어들여 선비장을 조성하면서 말총과 인삼전매권을 주어 전국 상권의 중심지로 삼았다. 팔달문 앞은 커다란 시장이 형성되어 전국의 모든 상인들이 이곳으로 몰려들었으며 일제 때는 모든 금융회사들이 남문 일대에 몰려들 정도로 성시를 이루었다.
현재도 팔달문 앞에는 9개의 시장이 모여 ‘수원남문시장’이라는 명칭으로 통합운영하고 있다. 수원상권의 중심지인 이곳 팔달문 앞 수원남문시장은 가장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고 있으며, 수많은 외국인들과 관광객들이 수원화성을 관람한 후 이곳 시장통으로 몰려들고 있다. 정조가 강한 국권을 이룩하고 백성이 배불리 먹을 수 있도록 조성한 팔달문과 성밖시장. 그곳에 오늘도 양반상인들의 후손들이 정조의 애민정신을 지켜가고 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