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이 넘치는 마을 ‘못골’을 아세요?
지동, 이곳은 늘 정겨운 사람들이 산다
‘화성의 동쪽마을 지동’. 이곳에 와서 정착한지 벌써 5년째이다. 그동안 많은 사람들을 만났지만 이곳 지동에 사는 주민들보다 정이 많은 사람들이 사는 곳을 찾기란 그리 쉽지가 않을 것 같다. 주변에 함께 살고 있는 사람들을 보아도 그렇다. 때가 되면 주변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잊지 않고 보내준다.
꼭 나에게 무엇인가를 주어서가 아니다. 늘 이웃과 함께 나누려고 하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에, 난 이 지동마을이 정말 ‘정이 많은 마을’이라고 늘 자랑을 한다. 내가 지동에 산다고 이야기를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무서운 동네에서 어떻게 사느냐?”고 묻는다, 그럴 때마다 마음이 답답하다.
사람들은 흔히 숲은 보지 않고 나무만 본다고 한다. 세상의 모든 척도를 재는데 꼭 필요한 것은 바로 숲을 보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사람이 나에게 서운하게 했으니까, 그래서 난 그 사람이 싫다.’라는 잘못된 편견을 갖고 살아간다. 세상을 가장 불편하게 사는 사람들의 표본이다.
‘김치 세 상자 갖다 놓았어요,’
10일 오후, 문자가 한 통 들어왔다.
“집에 김치 세 상자 갖다 놓았습니다.”
“예, 팀장님 고맙습니다. 잘 먹을께요.”
“예...”
지동주민센터 신성용 팀장이 보낸 문자이다. 일을 보고 집에 들어갔더니 김치 세 상자를 2층 할머니께서 받아 놓으셨다고 한다. 한 상자를 할머니 드시라고 드리고 두 상자를 집안으로 옮겨 열어보니, 벌써 김치가 익어가는 냄새가 난다. 날이 따듯하니 김장을 한자 이틀 밖에 안 되었는데 벌써 김장김치가 익어가고 있다.
한 상자는 엊그제 지동주민센터(동장 이상수)에서 담은 것이고, 두 상자는 위에 붙인 것을 보니 11월 10일 미나리광 시장에서 담근 김장이다. 이웃사랑이라는 글씨가 눈에 띤다. 지동에는 세 곳이 전통시장이 있다. 그 중 미나리광 시장(상인회장 이정호)은 매년 김장체험 행사를 한다. 수원시민들에게 김장체험 행사로 김장담그기를 열어, 그 김장을 불우이웃과 주변 경로당, 그리고 지동 주민센터로 보내 이웃과 나누는 행사를 하고 있다.
매년 미나리광시장을 찾아가 김장을 하는 모습을 촬영해 기사를 쓰고는 했지만, 올해는 그도 하지 못했는데도 두 상자나 받은 것이다. 이럴 때만이 아니다. 지동에 살고 있는 많은 사람들이 무엇을 만들면 집으로 보내고는 한다. 그것이 비싼 것이 아니라고 해도, 그런 따듯한 마음을 알기 때문에 난 지동이 좋다.
사랑이 익어가는 마을 지동
앞으로도 몇 집에서 김장을 하면 한통씩 집으로 보낸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나도 받은 것이지만 그분들의 사랑을 더 많은 사람들과 함께 나누고 싶은 마음이다.
“〇〇씨 김장 했어요?”
“아뇨, 올해는 그냥 사 먹으려고요”
“집에 와서 김장김치 한 통 가져가세요.”
“정말요, 고마워요 선생님”
혹 “저도 이웃에서 받은 주제에 나누기는...”이라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웃사랑이란 자꾸 나누면서 더 커지는 것이다. 그래서 난 늘 이웃에서 준 것을 다시 나누고는 한다. 그분들의 아름다운 마음을 더 많이 알리고 나누기 위해서이다. 올해도 화성의 동쪽마을 지동은 훈훈한 사랑이 퍼져나간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