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진 여주 남한강 제일절경 '청심루'
시기를 놓쳐 더 아쉬운 청심루 복원
“4대강 정비를 할 때 청심루를 복원했어야죠. 이제 시기를 놓쳐 힘들게 되었습니다. 4대강 개발을 하면서 건설회사 한 곳이 2억을 들여 정자를 하나 여강 가에 지었는데 도대체 그 이유를 모르겠어요. 복원을 해야 할 것은 관심도 없고 말입니다.”
여주문화원 조성문 사무국장은 기회를 놓친 청심루의 복원이 못내 아쉽다고 한다. 수많은 시인묵객들이 글을 써 청심루의 아름다운 절경을 읊었기 때문이다.
청심루가 언제 지어졌는지는 확실치 않다. 하지만 1200년대 초에 활동하던 이규보의 시에 강루가 나오고 있는 점이나, 1200년대 후반에 고려시대의 문인이자 지도첨의부사를 지낸 주열의 시에 청심루가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800여 년 전에 지어진 정자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여주관아 안에 세운 청심루
청심루는 여주 관아 안에 있는 정자로 일반 백성들이 출입할 수 없었다. 그래서인지 시문에 남아 있는 수많은 청심루에 대한 글도 모두 선비들의 작품들이다.
8세기 중엽에 제작된 <해동지도> 여주목 청심루 부분에 보면 동헌의 경내 남한강 가에 청심루가 있고, 누각의 양편에는 커다란 나무가 그려져 있다. 주열의 시에도 큰 나무가 서 있었음을 밝히고 있다.
청심루의 운을 써서 짓다(주열 : ? ~ 1287. 번역 조성문)
동그랗게 밝은 달이 구름 가에 나타나니
거울 속에서 예부터 친한 얼굴을 만나는 것 같네
쌍으로 선 나무는 보개의 그림자가 드리운 것이고
사화산은 수미의 무리가 드러누운 듯 하네
잉어는 아득한 저 너머로 처소를 전하고
검은 용은 어두움 속에서 명주를 숨기네
오경에 이르도록 시를 읊어도 시 더욱 기절하니
풍물로 인해 잠시라도 한가롭지 못하게 하네
여기서 풍물이라 함은 경치를 말하는 것이다. 청심루에서 바라다 보이는 경치가 얼마나 좋았기에 청심루의 운을 써서 시를 짓는 일이 새벽녘 오경(오전 3~5시)까지 이어졌을까? 결국 밤을 새워 청심루의 절경을 읊었다는 것이다. 청심루에서 보이는 절경에 매료되어 글을 지은 사람들 중에는 이름만 들어도 알 수 있는 역사의 인물들이 즐비하다.
수많은 명인들이 청심루를 시로 읊어
이규보, 이집, 이색, 정몽주, 이직, 서거정, 김종직, 성현, 김안국, 주세붕, 서산대사 등의 글에도 청심루의 경치를 노래했다. 가히 남한강 중 제일경이 아니라면, 200여 편이나 되는 청심루에 관한 시가 전해지지는 않았을 것이다.
이러한 청심루는 도대체 어떤 모습으로 어디에 있었을까? 역사속의 자료에 남아 있는 청심루를 찾아보면 18세기 중엽에 제작한 『해동지도』여주목 부분에 청심루가 있다. 청심루는 강가에 자리하고 있으며, 동헌의 경내에 자리한다. 그리고 청심루의 양편에는 커다란 나무 두 그루가 있다. 주열의 시에 '쌍으로 선 나무'를 뒷받침하고 있다. 1796년 제작한 정수영의 『한임강명승도』에도 청심루가 그려져 있다.
조성문 여주문화원 사무국장은 그의 논문 「팔대수와 청심루의 문화생태적 고찰」에서 청심루가 지어진 시기를 1235 ~ 1236년으로 유추하고 있다.
고려시대 누정은 기념할 만한 일이 있을 때 해당지역 관아나 사찰부근에 세워지기도 했었다. 그런 관점에서 보면 여주사람 김약선의 딸이 태자비(뒤에 순경태후)로 뽑히던 1235년이나, 그 다음해인 1236년 충렬왕을 낳았을 때 축하의 의미로 청심루가 세워졌을 가능성이 높다. 그만큼 청심루는 여주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누각이었던 것이다.
청심루와 관련이 있는 시는 200여 수가 넘게 전해지고 있다. 그 수많은 시 중에는 팔대장림, 신륵사, 마암, 동대, 양섬, 제비여울, 이릉 등 주변의 절경을 함께 그리고 있다. 이러한 청심루는 8.15 광복을 맞이하여 성난 민중들이 일본인 군수의 관사에 불을 놓았을 때, 곁에 있던 청심루까지 소실이 되고 말았다. 남한강 제일경이 사라져버린 것이다.
여주 남한강 가에 자리한 청심루 터를 알리는 비. 그리고 주변에 보이는 과거 속의 아름다움. 그런 것들이 다 사라지고 말았다. 고려 때부터 조선조에 이르기까지 많은 문인들은 맑은 물 위를 한가롭게 노니는 돛배, 아름다운 여강의 낙조, 새벽 물안개 속의 모래톱, 동대의 휘영청 밝은 달, 배안에 떨어지는 신륵사의 종소리. 이런 아름다운 모습들을 읊으면서 저절로 시름이 가라앉는다고 했다. 이곳에 다시 청심루를 지을 수만 있다면. 또 얼마나 많은 시인들이 찾아들 것인가? 청심루 터를 떠나는 귓전에 서산대사의 시문이 울린다.
해질 무렵 여강에 배를 대다(서산대사 : 1520 ~ 1604)
落雁下長沙 낙안이 장사에 내리고
樓中人起舞 누 가운데 사람이 춤을 추네
淸秋一葉飛 청추에 한 잎 낙엽이 날리는데
客宿西江雨 객숙 서강엔 비가 내리네
남한강의 긴 모래밭에 겨울 철새들이 내려앉고, 청심루에는 어느 사람이 춤을 추고 있다고 했다. 맑게 갠 가을에 낙엽이 날리는데, 나그네가 묵을 여강 서쪽에는 비가 내린다는 이야기다. 청심루와 남한강의 어우러짐을 그리고 있다. 사라져버린 남한강의 절경 청심루, 그 모습을 다시 볼 수는 없는 것일까?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