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군 외산면 만수리에 소재한 무량사. 신라 문무왕 때 범일국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고찰이다. 이 무량사 뒤편 고즈넉한 곳에 자리 잡고 있는 산신각. 이 산신각에는 명창가문에서 태어난 피를 토한 한 소리꾼의 이야기가 전한다. 3대 명창 가문은 바로 명창 김창룡의 가문이다. 정노식의 『조선창극사』에는 ‘조선의 소리는 김문에서 되다시피 했다’고 적고 있다.

김문은 바로 중고제의 명창이자 판소리 진양조를 창시한 김성옥으로부터, 무숙이 타령으로 유명한 그의 아들 김정근. 그리고 정근의 아들인 김창룡으로 이어지는 3대 명창집안을 말한다. 이 3대 명창 집안에서 이름을 떨치지 못하고 쓸쓸히 서천 판교(너더리)에서일생을 마친 비운의 명창이 있다. 김창진 명창이 바로 그이다.

한 명창이 10년간이나 득음을 위해 피를 토하는 독공을 한 산신각

명창의 수행고수 노릇을 하던 김창진

김창룡의 아버지인 김정근은 장항 빗금내로 두 아들을 데리고 들어왔다. 그곳에서 창룡에게는 소리를, 창진에게는 북을 가르쳤다고 한다. 예전에 명창들은 수행고수라 하여 자신의 소리를 전문으로 장단을 맞추는 고수와 동행을 했다. 그러나 그 대접은 판이했다. 명창은 대우를 받지만, 고수는 밥을 먹을 때조차 댓돌 아래서 먹었다는 것이다.

형의 뒤를 따라다니면서 수행고수 노릇을 하던 김창진. 그는 고수의 한을 풀기 위해 부여 무량사로 들어갔다. 그곳 산신각에서 10년간이라는 긴 세월을 소리공부에 전념하였다. 형 창진의 수행고수였던 김창진은 자연스럽게 당시 5명창의 소리반주를 하는 일이 잦다보니 5명창의 특징을 잘 알고 있었기에, 그들의 장점만 찾아내 자신만의 독특한 소리를 만들었을 것이다.

당시 형인 김창룡의 인기는 하늘을 찔렀다. 같은 서천 출신 명창 이동백과 쌍벽을 이루던 김창룡. 7세 때부터 아버지인 김정근에게서 소리공부를 시작해, 10살이 되던 해에는 이날치에게서 1년간 공부를 한다. 이날치는 진주 촉석루에 올라 새타령을 할 때, 새가 어깨에 날아와 앉을 만큼 뛰어난 명창이다. 근세 5명창 중 한사람인 김창룡은 수많은 일화를 남긴 명창이다. 당시 관서지방에서는 창룡의 이름이 없으면 극장 대관을 해주지 않을 정도였다고 하니, 그의 인기를 실감할 수 있다.

비운의 명창 김창진. 마지막 제자 박동진 명창에게 소리 전수를 하고 쓸쓸히 세상을 떠났다(인터넷 검색자료)

피를 토하는 독공 10년으로 일군 득음

부여 무량사 산신각에서 10년간 독공으로 득음을 이룬 김창진 명창. 10년을 사는 동안 입고 있는 옷이 다 떨어져, 거적을 뒤집어쓰고 소리를 했다고 한다. 밑이 다 드러날 것만 같은 그런 꼴이 안타까워 무량사의 주지스님이 옷을 한 벌 주었는데, 그 옷을 입으니 사문 밖으로 나가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는 것이다. 당연히 그랬을 것이다. 당시에는 소리만 잘해도 어딜 가나 대우를 받던 때였으니. 그런 마음이 들자 옷을 벗어버리고 다시 거적을 쓰고 소리에만 전념했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고 했던가. 스스로 독공으로 득음을 한 김창진 명창은 서울로 올라와 소리판에 뛰어들었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로부터 명창으로 인정을 받았다고 한다. 소리꾼의 세계는 비정한 것인지. 형에게서 조차 시기를 당한 김창진은 쓸쓸히 서천 너더리로 낙향을 하였다. 일설에는 이동백의 여인을 빼앗아가 피신을 했다고도 한다.

10년 피를 토하는 독공으로 얻어낸 득음. 그러나 너더리로 내려 온 김창진 명창은 그 아픔을 아편으로 이겨보려 하였고, 당시 소리를 하고 싶어 찾아 온 박동진 명창을 소리제자로 만나게 된다. 심청가를 박동진 명창에게 전수를 한 김창진 명창은 그렇게 쓸쓸히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한편의 드라마와도 같은 김창진 명창의 일생은 제자 박동진 명창으로부터 세상에 전해졌다. 무량사 한편에 자리 잡은 산신각. 그런 깊은 사연이 있다는 것을 알리 없는 무심한 사람들의 발길만이 거쳐 간다.(이 이야기는 스승이신 고 박동진 명창으로부터 전해진 이야기입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