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를 하는 길에 문화재 안내판을 만나면 괜히 즐겁다. 그것도 전혀 찾아갈 생각을 하지 않았던 문화재를 만나게 된다면 정말 그 기쁨은 이루 말할 수가 없다. 그도 그럴 것이 어찌 보면 횡재를 했다는 느낌이 들기 때문이다. 이런 기쁨은 하루 종일 죽어라하고 답사를 해본 사람들만이 느끼는 생각이다.

곡성을 지나 화순 일부를 거쳐 보성으로 들어갔다. 그런데 가는 길에 보니, 저수지를 건너 다리 옆에 안내판이 보인다. '봉갑사지‘ 처음 들어보는 명칭이다. 문화재 안내판은 흙색으로 표지판이 되어있다. 그 안내판과 동일한 안내판이 하나 서 있다. ’봉갑사지‘라는 것이다. 망설일 필요도 없다. 봉갑사지를 찾아 좁은 길로 들어섰다.


아름다운 길 끝에서 봉갑사지를 만나다.

정말로 아름다운 길이다. 그 길 끝에 봉갑사지란 표지판이 보인다. 산을 깎아 평평하게 만들고 전각들을 짓느라 한창 분주하다. 우선 차에서 내려 여기저기를 돌아보았다. 그런데 한 가지 이상한 점이 있다. 옛날 주추 하나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전남 보성군 문덕면 천봉산 봉갑사는, 지금으로부터 약 1,600년 전에 인도스님인 ‘아도화상’에 의해 지어졌다고 한다. 봉갑사는 호남의 삼갑이라 하요, 영광의 불갑사, 보성의 봉갑사, 그 하나는 영암의 도갑사라는 것이다. 이 세 절은 순서대로 지어져 ‘호남삼갑(湖南三甲)’으로 불렸다는 것이다.



1,600년 된 절터는 어디로 갔을꼬?

봉갑사에는 도선국사가 삼갑을 완성하고, 각진국사가 중창하였으며, 나옹선사와 무학대사 등도 이곳에서 주석을 하였다고 전한다. 현재 산비탈에 조성중인 불사로 인해, 여기저기 공사를 하고 있는 모습들이 보인다. 그러나 어떻게 석재 하나도 보이지를 않는 것인지, 그것이 궁금하다.

마침 절의 관계자인 분인 듯한 분에게 물어보았다. ‘봉갑사지가 어디냐?“고. 그랬더니 현재 절을 짓고 잇는 곳이 봉갑사가 있던 곳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옛 봉갑사의 자리는 어디인가?“ 라고 물었다. 기록에 이 골짜기에 봉갑사가 있었다고 했는데, 꼭 어디인지는 모르겠다는 것이다.



이럴 때는 정말로 한숨이 절로 나온다. 어렵게 찾아 온 봉갑사지이다. 하다못해 석재 하나라도 만났다고 한다면, 이렇게 힘이 빠지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런데 그 오랜 고찰 터에 석재 한 장이 없다고 하니, 이개 웬일일까?

아직은 불사가 초기단계인지 휑한 느낌이다. 삼갑의 한 곳이라고 하는 봉갑사지. 그런데 어떻게 석재 한 장도 없는 것일까? 혹 이 곳이 아닌 다른 곳에 봉갑사가 있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비탈진 등성이 위에 금강저를 높이 쳐들고 서 있는 금강역사에게 길을 묻는다. 이곳이 봉갑사지가 정녕 맞는 곳인가를.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