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천안시 풍세면 삼태리 산 27번지, 태학산의 해선암 뒷산 기슭 큰 바위에 높이 7.1m나 되는 거대한 마애불이 조각되어 있다. 이 마애불을 해질녘 찾아가면 백제의 미소라는 서산 마애삼존불과는 또 다른, 고려의 은은한 미소를 만나볼 수 있다.

바위를 깎아 돋을새김으로 처리한 삼태리마애불은 고려시대 거대마애불의 완벽한 예술품이라고 평가를 할 만하다. 불상의 전체적인 형태나 얼굴 모습, 옷주름의 표현 등에서 고려시대의 불상 양식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대표적인 마애불로 중요하게 평가되고 있다.


보물 제407호로 지정된 삼태리마애불의 얼굴 부분은 바위의 주변을 깎아내 돋을새김으로 조각하고, 몸의 부분은 선각처리를 하였다. 이는 고려 후기 마애불의 일반적인 양식으로, 이 마애불이 만들어진 시기를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 즉 거대한 마애불이라는 점, 그리고 일부를 돋을새김 하여 부분 강조를 한 점 등, 고려 마애불의 특징이 잘 나타나고 있다. 그런 학술적인 면이 아니라고 해도, 삼태리마애불은 지역적 연고와 무관하지 않다는 점에서 통일신라 후기 이후 이 지역의 특징이 있는 작품으로 볼 수 있다.

백제의 미소 못지않은 고려의 미소.

민머리 위에는 둥근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큼직하게 솟아 있다. 삼태리마애불의 특징은 바로 이 머리상투 부분이다. 큰 바위에 솟아나게 만든 이 상투부분이 거대한 바위 위로 솟아나 있어, 흡사 큰 바위에 조각을 한 마애불을 갖다 붙인 듯한 느낌이 들게 조성하였다. 살이 오른 넓적한 얼굴과 길게 치켜 올라간 눈, 커다란 코와 작은 입으로 인해 이 마애불은 전체적으로 근엄한 표정을 짓고 있다. 그러나 그 근엄한 표정 중에서 알듯 모를 듯한 미소가 보인다. 해질녘에 찾아가면 그 신비의 미소가 더욱 느껴진다.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차이가 있는 삼태리마애불. 아마도 이 마애불을 조성한 장인의 마음이 그렇게 여러 차례 변화를 한 것은 아니었을까? 긴 시간 이 마애불을 조성하면서 점차 마음의 문을 열어간 듯하다. 삼태리마애불은 참으로 특이하게 생겼다. 목이 짧아서 목에 있어야 할 3줄의 삼도가 가슴까지 내려와 있는 것도 특이하다. 법의는 양 어깨를 감싸고 있으며 묵직하게 처리하였다. 상체와 양쪽 옷자락은 세로선의 옷주름을 표현하였고, 하체에는 U자형의 옷주름을 새겼는데 옷주름은 좌우가 대칭을 이루고 있다.

지역적 특성이 강한 마애불

두 손은 가슴까지 들어
,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향했으며 오른손은 왼손 위에 손등이 보이도록 하였다. 이런 수인은 고려시대의 미륵불에서 나타나는 수인과 같은 것이어서 이 마애불이 미륵불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이 마애불이 자리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안성과 충청도 충주, 천안 등에서 흔히 나타나는 미륵신앙이 강하게 나타나는 곳이다. 삼태리마애불 역시 지역 특성을 강하게 표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마애불의 윗부분 바위에는 건물이 있었던 흔적이 남아 있는데, 이 미륵불을 보호하기 위한 전각이 있었는지도 모르겠다.



고려시대에 조성된 거대한 마애불을 바라다보고 있노라면, 세상에서 찌든 시름을 다 잊게 된다. 그 오랜 세월 비바람에 씻겼으면서도, 아직도 옛 모습 그대로를 지켜내고 있는 삼태리마애불. 해질녘 바라다본 마애불의 미소에 마음속에 가득한 세상을 향한 미음이 봄눈 사라지 듯 한다. 마음이 답답하고 미음이 가득하다면, 이 삼태리마애불을 찾아가 고려의 은은한 미소를 바라보기를 권한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