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처인구 중심에 위치한 석성산(471.5m)은 기암괴석이 빚어낸 아름다운 산세와 고즈넉한 사찰이 어우러져 있어 많은 사람들이 즐겨찾는 명산이다 석성(石城)’산은 한문 그대로 돌로 쌓은 산성이란 뜻이다 원래 보개산으로 불렸으나 1910년 이후 부터는 석성산이라고 부르고 있다.

 

석성산의 동쪽에 통화사가 있고 북동쪽에 용인시 처인구 포곡면 마성리 77-23에 소재한 백령사가 있다. 7일 오후 큰 길에서 소로로 접어들어 고불고불한 길을 1.9km를 들어가 백령사를 찾았다. 오르는 길도 차가 마주치면 한 대가 비켜주어야 한다. 우거진 숲과 자연의 바람을 맞으며 찾아간 백령사. 스피커를 통해 흘러나오는 염불소리가 마음을 정결하게 해준다,

 

 

주변이 모두 바위덩어리

 

 

주차장에 차를 대로 내리니 종무실에 계신 분이 묻는다.


등산 오셨어요?”

아닙니다. 절에 왔습니다.”

아마도 좁은 주차장에 등산객들이 차를 대고 산행을 하면 장소가 좁아 애를 먹는 모양이다. 주차장 한 편 텃밭에는 보살님 한 분이 상추를 솎아내고 있다. 저녁 찬거리라도 장만하는 모양이다.

 

경내로 들어서니 주변이 모두 바위덩어리들이다. 그 틈새에도 화단에 아름다운 꽃들이 피어있다. 마침 갈증이 나는 목을 물 한잔으로 가시고, 적멸보궁을 향한다. 백령사는 적멸보궁 안에 목탑을 모시고 있다. 부처님의 사리를 그 곳에 모신 것일까? 오전에 산행을 한 관계로 땀을 흘려 몰골은 초라하지만 삼배를 한다.

 

자연이 그대로 살아있는 백령사

 

밖으로 나와 주변을 돌아본다. 바위를 기단으로 삼은 석탑이 서 있다. 합장을 하고 머리를 숙인다. 그리고 곁을 보니 커다란 바위에 새긴 부조가 보인다. 받침을 거북이로 하고 위에는 네모란 돌에 조각을 했다. 주변은 온통 용이 둘러있는데 손에는 여의주를 들고 있다. 산신을 조각한 것일까? 그러고 보니 산신각이 보이지 않는다.

 

 

경대를 한 바퀴 돌아본 후 밖으로 나오다가 보니 동기와가 보인다. 자신의 소원을 적어놓으면 불사를 할 때 지붕에 올라가는 기와다 보인다. 한 장을 적는데 만원이란다. ‘세월호 희생자들의 극락왕생 발원이라고 적은 후 불전함에 만원을 집어넣는다. 그리고 아직도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한 희생자들이 하루 빨리 돌아오기를 기원한다,

 

옛 백령사의 흔적에서 깨딜음을 얻다.

 

백령사는 오래 전에 들린 적이 있다. 그때는 바위 위에 작은 전각이 하나 서 있고, 주변의 바위에 온통 동전을 붙여놓아 한 참을 웃은 적이 있다. 오늘의 백령사는 그 곳에서 한참을 더 올라가야 한다. 내려오는 길에 옛 백령사를 찾아보았다. 계단을 올라 작은 계곡에 걸린 다리를 건넌다.

 

 

기와로 쌓은 낮은 담장 안에 전각이 보인다. 예전에 찾아보았던 백령사다. 전각 앞에는 현판도 걸지 않았다. 문을 열고 안에 걸린 탱화를 보니 삼성각으로 이용을 하고 있는 듯하다. 주변 바위에는 예전에 동전을 붙였던 흔적들이 그대로 남아있다. 세월이 지나면서 아마도 바위에 붙였던 동전들을 다 떼어낸 것일까?

 

그런 자리들을 보면서 사람이 세상을 살면서 남겨 놓은 자리도 이렇게 흔적이 오래 남아있겠거니 생각을 한다. 그래서 어르신들이 세상을 바로 살라고 한 것일까? 새삼 세월호의 아픔이 얼마나 오래 남아있을 것인지를 생각하게 만든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