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궁동 정월 행궁나라 갤러리서 28일까지

 

정월 행궁나라갤러리는 팔달구 행궁동(동장 이장호) 주민센터 민원실 벽면과 이층으로 올라가는 계단 입구 등을 말한다. 이곳은 정월 나혜석 생가터가 있는 행궁동 주민센터에 주민들의 정서함양과 지역에 대한 애정, 문화적 자긍심을 심어주고 행궁동을 사랑하는 작가들의 창작활동의 활성화를 위하고 정월 나혜석을 기리는 전시공간이다.

 

21일 오후 행궁동을 찾았다. 지나던 길에 잠시 들려 이장호 동장, 이강여 총괄팀장 등과 인사를 나눈 후, 주민자치위원회 사무실로 들어가 차 한 잔을 마시고 정월 행궁나라 갤러리를 돌아보았다. 벽에 걸린 그림이 눈에 들어 온 것은 일반적인 그림이 아니리 마치 불화(佛畵)와 같은 그림들이었기 때문이다.

 

정월 나혜석(1896~1948)은 우리나라 여성으로서는 최초의 서양화가이자 작가이며, 근대적 여권론을 펼친 운동가였다. 현재 행궁동에는 나혜석 생가터가 보존되어 있으며, 나혜석을 기리는 지역주민의 축제인 나혜석생가터 문화예술제를 매년 개최하고 있다. 더욱 행궁나라 갤러리에서는 나혜석의 정신을 기리고자 다양한 지역작가들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기 때문에 자주 들리고는 한다.

 

 

불화를 닮은 그림들

 

그동안 수많은 미술전을 관람했다. 때로는 사찰의 회랑에서 열리는 스님들의 작품 감상도 곧잘 했던 나로서는 불화 등을 보아도 새삼스럽지 않다고 생각했다. 그런 나에게도 박은신 작가의 작품은 눈을 크게 뜨게 만들었다. 아주 편안한 색을 사용했는데도 불구하고 그 안에서 힘이 솟는 무엇인가를 발견했기 때문이다.

 

박은신 작가는 1993년 홍익대학교 대학원 서양화(석사)를 전공했다. 개인전은 2016년 제1시공간을 소요하다라는 제목으로 전시를 열었다. 그동안 수차례의 기획전 등에 참여한 작가는 이번 행궁나라 갤러리 초대전으로 인시(寅時), 꽃이 지다전을 마련한 것이다. 지난 4일부터 시작한 초대전은 28일 막을 내린다.

 

<세상에서 가장 적막한 시간, 꽃이 떨어진다. 아무도 모르는 사이 사라져간다. 한 순간 꽃처럼 반짝였지만, 정지되고 잊혀져 가는 초라한 꿈들(이하 하략)>

 

작가는 인시라는 제목으로 작품을 표현했다. 인시(寅時)란 십이시(十二時)의 셋째 시로, 오전 3시에서 5시까지의 시간을 말한다. 모든 삼라만상이 모두 깊은 잠에 들어있을 때이다. 이런 시간에 작가는 떨어지는 꽃잎을 생각했다. 그 시간은 절간의 스님들이라야 새벽예불을 드리기 위해 일어나는 시간이다.

 

단순한 색감의 그림 속에서 만난 편안함

 

박은신 작가는 그림의 색을 편안하게 사용하고 있다. 아마도 그런 인시에 맞는 색을 선택했는가도 모른다. 어슴푸레 동녘의 여명이 밝아오기 전의 색감과도 같은 채색을 이용했다. 그 또한 인시답다는 생각이 든다. 그 안에 고목 한 그루가 서있고, 새 한 마리가 그 앞에 졸듯 몸을 잔뜩 웅크리고 있다.

 

분채를 시용한 이 작품은 꿈을 꾸고 있지 않다는 꿈꾸는 꿈이라는 제목을 달고 있다. 작품 속 새 한 마리는 마치 꿈이라도 꾸는 양, 그렇게 조그맣게 몸을 사리고 있다. 또 한 그림을 본다. 마치 불상의 수인을 그려낸 듯하다. 그렇게 작품 속 사물들은 소리가 없다. 그저 묵언을 하고 있는 듯하다.

 

작가의 작품을 찬찬히 돌아보면서 문득 저 작품은 한 점에 얼마나 할까?’라는 생각이 든다. 그림에 대해서는 문외한이지만 그 그림이 풍겨내는 묘한 기운 때문에 갑자기 소장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서이다. 하지만 나와 같은 사람이 그런 작품을 소장한들 무슨 소용이 있으랴. 그런 욕심을 잠시나나 가졌다는 것만으로도 송구하다. 박은신 작가의 작품을 보면서 깨달음을 얻었는가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