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색이 천연기념물인데, 안내판 하나가 없어
2011. 6. 3. 06:10
|
◉ 천년세월 그 자리에/천연기념물
천연기념물로 지정이 된 거목(巨木)이나 오래된 고목(古木)들 중에서, 겨울에도 잎을 달고 있는 소나무 등이 아니면 잎이 날 철을 기다려야만 한다. 그러한 이유는 앙상한 가지만 남은 나무를 찍어도, 그 위용을 제대로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전라북도 남원시 보절면 진기리 산 23-1 에 소재한 천연기념물 제281호인 ‘남원 보절면 느티나무’를 찍으려고, 아마도 몇 달인가를 기다린 듯하다.
1982년 11월 4일에 천연기념물로 지정이 된 이 느티나무는, 수령이 600년 정도라고 전한다. 느티나무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대만, 중국 등의 따뜻한 지방에 분포하고 있다. 가지가 사방으로 퍼져 자라서 둥근 형태로 보이며, 줄기가 굵고 수명이 길어서 쉼터역할을 하는 정자나무로 이용되기도 한다. 마을에 따라서는 마을을 보호하고 지켜주는, 당산나무로 보호를 받아왔다.
진기마을의 느티나무, 위용에 감탄하다
신기 마을의 정자나무와 당산나무의 구실을 하고 있는 ‘남원 진기리의 느티나무’는 수령이 약 600살 정도로 추정된다. 크기는 높이 23m, 가슴높이의 둘레가 8.25m이다. 뿌리 근처의 둘레가 13.5m나 되는 거목으로, 가지의 길이는 동서 25.8m, 남북 28.6m이다. 이 느티나무는 단양 우씨가 처음 이 마을에 들어올 때 심은 것이라고 전해진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조선 세조 때 힘이 장사인 ‘우공(禹貢)’이라는 무관이, 뒷산에서 아름드리나무를 뽑아다가 마을 앞에 심어놓고, 마을을 떠나면서 나무를 잘 보호하라고 당부를 했다고 한다. 우공은 세조 때 함경도에서 일어난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는데 큰 공을 세워, 적개공신 3등의 녹훈을 받았으며 그 후 경상좌도수군절도사를 지냈다고 한다. 후손들은 사당을 짓고 한식날 제사를 지내고 있다는 것이다.
길가에 안내판 하나 없는 천연기념물
느티나무를 찾아 촬영을 마치기는 했지만, 영 마음이 씁쓸하다. 신기마을이라는 석비가 길가에 서 있어 마을을 찾기는 했지만, 도로변에도 마을이 갈라지는 곳에도 안내판 하나가 서 있지를 않다. 마침 동행을 한 일행이 남원에 거주하는 사람이라 어렵지 않게 찾을 수는 있었지만, 만일 외지에서 혼자 찾아들었다면 낭패를 당할 뻔했다.
나무의 연륜을 말해주는 듯한 흔적
문화재를 알리는 안내판은 큰길가에 세워놓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어떻게 된 일인지 이 느티나무가 천연기념물임을 알리는 안내판은, 느티나무가 서 있는 안쪽에 달랑 하나가 있을 뿐이다. 그것도 밖에서는 잘 보이지도 않는 장소에 서 있다. 천연기념물을 찾아 그 위용에 감탄을 하기는 했지만, 정말로 이런 경우 울화가 치밀기도 한다. 우리 문화재가 홀대를 받는 모습이기 때문이다.
나무의 갈라진 줄기와 땅위로 들어 난 뿌리에 고인 물(아래)
거목으로 자란 느티나무는 가지가 넓게 퍼졌다. 한편으로는 축대 밑까지 가지가 뻗어있다. 나무의 뿌리는 원 줄기에서 10여m 밖까지 뻗어 땅으로 돌출이 되어있다. 나무뿌리가 땅 위로 솟아 홈이 파진 곳에 물이 괴어있는 모습도 보인다. 그럴 정도로 나무는 오래 묵은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몇 개의 굵은 줄기가 하늘을 향해 오르다가 잔가지를 만든다. 밑동 근처에는 연륜을 말해주듯, 혹처럼 불거진 옹이도 보인다. 밑동 위에 처진 새끼줄에는 숯이 끼워져 있다. 아마도 제를 지내면서 금줄로 친 듯하다. 나무의 옆에는 많이 훼손이 된 솟을삼문이 보인다. 사당의 출입문이었을까? 나무는 그러게 당당하게 자라고 있는데, 이 솟을삼문은 퇴락한 모습이다.
금줄에 끼워놓은 숯과 솟을삼문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