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서산시 부석면 간월도에 소재한 간월암. 물이 만조가 되면 배를 타고 들어가야 한다는 이 작은 암자는, 무학대사가 이곳에서 도를 닦던 중 달을 보고 깨달음을 얻었다고 하여서 간월암이라는 암자 명칭을 붙였다고 한다. 무학스님은 20세 때 이곳에 들어와 토굴을 짓고 열심히 수도를 하다가 달을 보고 깨우침을 얻었다고 한다. 무학이라는 법호도 나옹스님이 더 이상 배울 것이 없다.’고 하여 법호를 무학(無學)이라고 지어 주었다는 것이다.

 

무학스님은 왜 이 작은 암자에서 깨달음을 얻은 것일까? 간월암은 처음에는 피안도 피안사(被岸寺)’로 불리다가, 밀물 때가 되면 마치 섬이 연꽃과 비슷하다고 하여 연화대또는 낙가산 원통대라고 부르기도 했단다. 이렇게 부르던 것이 결국 고려 말에 이곳에서 수도를 하다가 깨우침을 얻은 무학대사로 인해 간월암이 되었다.

 

 

한 때 폐사가 되었던 간월암

 

이성계가 나라를 세울 꿈을 꾸고 있을 때 무학대사는 이성계의 꿈을 해몽하면서, 이성계가 나라를 세울 큰 인물임을 알려주었다. 그리고 이성계에게 500일 기도를 시키고, 한양의 도읍터를 잡아주기도 했다. 더구나 한양의 도읍터를 잡을 때 그 문을 창여문이라 부르고 28칸을 지었으니, 조선이 28대로 마친다는 것을 예견했다는 것이다.

 

이성계가 조선을 개국하고 난 뒤, 간월암과 황도(태안) 등을 사폐지(절에 소유된 토지로 실질적인 절의 땅이다)로 주었다. 하지만 조선은 억불정책을 펴면서 수많은 절이 곤욕을 치렀다. 비록 무학대사가 조선의 개국에 커다란 힘이 되었지만, 조선은 500년 동안 수없이 억불정책이 이어졌던 것이다.

 

 

그러한 억불정책으로 인해 간월암도 한때 폐사가 되었었다. 그 후 1941년에 이르러 만공선사가 중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간월암에 전하는 이야기에 따르면 만공선사는 이곳에서 조국의 광복을 위해 천일기도를 드리고 난 뒤, 다음 날 광복이 되었다고 하니 간월암은 기도를 하면 모든 것이 이루어지는 절인 듯하다.

 

추석 전에 찾아갔던 간월암

 

날이 덥다. 추석이 가까워진 가을로 접어든 절기인데도 불구하고, 한 낮 더위는 30도 가까이 오른다고 한다. 그 무더운 날씨에 서산 해미읍성을 오전에 돌아보고 난 후 간월암으로 향했다. 추석을 맞이하기 전에 무엇인가 간구할 일이 생긴 것은 아니다. 그저 세상이 하도 험난하다고 하니, 그래도 명절을 마음 아프게 보내는 사람들이 없었으면 하는 바람에서이다.

 

 

물이 빠진 간월암을 향했다. 828, 평일이라 그런지 많은 사람들이 찾아들지는 않았다. 대웅전을 들린 후에 모처럼 바다면에 붙여 지은 용왕각 앞에 섰다. 한 낮의 따가운 햇살에 덥혀진 바닥에 서니 발바닥이 뜨겁다 못해 댈 것만 같다. 그래도 이곳에 서서 한꺼번에 수많은 목숨을 앗아간 세월호의 아픔들을 위한 기도를 하고 싶다.

 

무학스님이 그랬고 만공선사가 그랬다. 한 사람은 나라의 개국을, 한 사람은 나라의 광복을 이끌어냈다. 그렇다면 이곳에서 이렇게 간절함을 보이면 아직도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한 시신들이 가족과 만날 수 있지는 않을까하는 마음에서이다. 뜨거움을 참고 겨우 삼배를 마친다. 참기 힘든 발바닥의 뜨거움이 머리 위에서 땀이 흐르게 만든다.

 

 

이 작은 암자도 찾아보지 않은 시간동안 변화를 가져왔다. 지난 해 728일 이 작은 암자를 찾았을 때 자리를 지키고 있던 전각 하나가 사라진 것이다. 빈자리는 시원하게 바다가 보여 암자 경내의 경관이 좋아지기는 했지만, 무엇인가 하나가 빠진 듯한 허전함이 드는 이유는 무엇인지.

 

매년 한 번씩은 거르지 않고 찾아간 간월암이지만, 이번 답사 길은 마음이 남다르다. 세월호라는 커다란 아픔이 이곳으로 향하는 발길을 편치 않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제 다녀온 지 10여일이 훌쩍 지났다. 앞으로 간월암을 다시 찾을 때는 가슴 아픈 사연은 털어버리고 기분 좋은 발길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