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을 지키는 벅수, 볼수록 재미있네.
머리에는 관을 쓰고, 이마에는 깊은 주름이 패여 있다. 눈은 왕방울 눈에 툭 튀어나오고, 양편의 송곳니가 밖으로 삐죽이 솟아있다. 길가에 서서 이런 해괴한 모습으로 서 있는 벅수는 마을을 지키는 비보(裨補)의 역할을 한다. 경남 통영시 문화동 세병관으로 오르는 길가에 서 있는 통영 문화동 벅수의 모습이다.
중요민속문화재 제7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벅수는, 고종 10년인 1906년에 벅수계를 만들어 세운 것이다. 벅수의 옆에 서 있는 비석에는 이 벅수가 마을의 전염병과 액운을 막기 위해 세웠으며, 동남방이 허하다는 풍수지리설에 의해 세웠다는 것이다.
장승의 기능
장승의 기능은 경계표시장승, 로표장승과 비보장승 등으로 구분이 된다. 하지만 이러한 장승의 기능은 대개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경계표시 장승은 사찰 등의 입구에 세워, 잡귀들의 출입을 막고 신성한 지역임을 표시하는 것이다. 로표장승은 길목에 세워, 길의 안내를 하는 기능을 갖는 장승을 말한다.
광주 엄미리의 장승은 마을의 비보장승이면서, 로표장승의 역할도 함께 한다. 목장승의 밑에는 광주 ○○리, 이천 ○○리 등을 적어 놓아 행로의 안내를 하고 있다. 비보장승의 마을의 안녕을 구가하는 장승으로, 모든 장승들은 이러한 비보적 성격을 함께 띠우고 있다. 전국적으로 나타나는 장승은, 지역적 특성을 지니고 있기도 하다.
마을의 허한 곳을 보충하는 토지대장군
흔히 마을입구나 사찰 입구 등에 세우는 장승은, 지역에 따라 명칭이 다르게 불린다. 흔히 장승, 장생, 장성, 벅수 등으로 불리며 전승되고 있는데, 이곳 통영에서는 ‘벅수’라고 한다. 장승은 민간신앙의 한 형태로 경계를 나타내기도 하고, 잡귀의 출입을 막는 수호신 역할도 한다.
문화동 벅수는 남녀 한 쌍이 짝을 이루어 서 있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 장승은 하나만 있는 독장승이다. 이 문화동 세병관 부근의 위치가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낮은 지대로 기(氣)를 보강해주고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는 뜻에서 세워졌다.
머리 위에는 벙거지를 쓰고 턱 밑에는 굵은 선으로 세 가닥의 수염이 표시되었다. 벅수의 앞면에는 ‘토지대장군(土地大將軍)’이라는 음각으로 글자를 새겼으며, 뒷면에는 '광무십년병오팔월일동낙동 입(光武十年丙午八月日同樂洞 立)'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다. 이 독벅수는 익살스러운 민간 특유의 조형미를 보여주고 있으며, 유례가 드문 독장승이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다.
벅수에 반해 걸음을 떼지 못하다.
통영 문화동 벅수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채색을 한 벅수이다. 화강암으로 조성한 이 벅수는 U자 형으로 벌린 입과 큼직한 이빨, 그리고 솟아난 송곳니가 비보장승으로서의 모습을 잘 표현하고 있다. 벅수의 높이 198cm, 둘레는 160cm인 문화동 벅수. 그 모습에 반해 쉽게 걸음을 떼지 못한다.
벅수 하나만으로도 중요민속문화재가 될 수 있다는 것은, 그만큼 이 벅수의 중요성을 인정한다는 것이다. 10월 13일, 통영답사 2일차에 찾아간 세병관, 관람을 마친 사람들이 우르르 벅수 앞으로 몰려온다. 그리고 벅수를 배경으로 사진들을 찍어대더니, 다시 동피랑 벽화마을로 향한다. 하지만 난 쉽게 동피랑으로 걸음을 옮길 수가 없다. 벅수의 기운을 좀 더 받아가기 위해, 한참이나 손을 떼지 못했기 때문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