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충주시 가금면 봉황리 산27번지 내동 안골마을에는 햇골산이라고 하는 산이 있다. 이 산 기슭에서 약30m되는 중턱의 깎아지른 듯한 벼랑에는, 동쪽을 향해 바라다보이는 곳에 보물 제1401호인 봉황리마애불상군이 자리하고 있다. 5년 전에 찾아깄을 때는 보수 공사중이라 제대로 보지 못하고 뒤돌아 섰던 곳이다.

 

지난 48일 다시 이곳을 찾았을 때는 말끔히 정비가 되어 있었다. 이곳에는 암벽의 높이 약 1.7m 정도 너비 5m 정도 되는 넓다란 바위암벽에 일렬로 불좌상 1구와 공양상, 반가상을 중심으로 5구의 보살상 등 모두 8구가 새겨져 있다. 그러나 이 마애불상군의 형태는 육안으로 쉽게 판별이 되지 않는다.

 

 

마애여래불과 화불을 알현하다

 

삼국시대 마애불의 특징을 잘 나타내 보이고 있는 이 불상군은 육안으로 정확히 식별하기가 쉽지가 않다. 그만큼 많이 훼손이 되어있다. 암벽의 석질이 약한 것인지 곳곳에 균열이 가고, 돋을새김을 한 마애불상군은 정확한 모습을 찾을 수가 없다. 옆에 자세한 설명을 한 그림이라도 한 장 붙여 놓았으면 좋았을 것을.

 

이곳 마애불상군으로부터 남쪽으로 벼랑을 따라 50m쯤 가면, 또 하나의 마애여래좌상이 동쪽을 향한 암벽에 조각되어 있다. 높이 3.5m, 8m의 바위면에, 높이 2m정도 되게 돋을새김한 주존불인 마애여래좌상은 상호가 원만하고 어깨가 당당하다. 무릎도 큼직하게 표현을 해 안정감이 있고, 전체적으로 고식을 보이고 있다.

 

 

이 불상의 두광에는 높이 34cm 정도의 화불 5구가 둘러서 조각이 되어있어 돋보인다. 앞으로는 한강의 지류인 큰 내가 흐르고 있어, 이곳에서 내려다보는 경치가 일품이다. 이곳에서는 목조 가구의 흔적과 와편과 자기편 등이 발견이 되어, 어느 시기엔가 이곳에 전각을 세운 절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강을 따라 조형문화가 전파되다

 

이 봉황리 마애불상군이 자리한 위치의 선택은, 강을 따라 조형문화의 전파를 알리는 귀중한 자료로 가치가 높다. 봉황리 마애불상군은 1978121일에 발견된 것으로, 지방유형문화재 제131호로 지정되었다가 200433일 보물 제1401호로 조정이 되었다.

 

 

현재는 마애불상군이 있는 암벽으로 오르는 철계단을 조성하여 놓았다. 계단을 올라 먼저 만날 수 있는 마애불상군은 비바람에 의한 마멸로 윤곽이 뚜렷하지 않다. 각각의 크기는 1m 안팎의 이 불상군은, 공양상에서 보이는 고리장식과 띠 등은 삼국시대 마애불에서 보이는 특징이다.

 

이 마애불상들은 많은 마애불상 중 비교적 초기의 예로, 한강유역과 낙동강유역을 연결하는 중간지역이라는 특수한 역사적, 지정학적 배경을 바탕으로 조성이 되었다. 이 마애불상군은 신라시대 불상조각의 흐름은 물론 고구려 불상의 경향까지도 함께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강을 따라 조형문화가 발전이 되었음을 알려주는 귀한 자료이다.

 

 

이곳에서 멀지 않은 한강변에도 창동 마애불이 흐르는 강을 내려다보며 절벽에 조각이 되어 있어, 그러한 사실을 입증하고 있다. 낙동강 정비사업 때 훼손이 된 마애불의 경우도, 불교의 조형미술이 강을 따라 발전이 되었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어, 강변에 위치한 문화재들을 좀 더 심도있게 조사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