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490-2에 소재한 봉암사. 봉암사 경내 안쪽에 자리하고 있는 이 삼층석탑은 보물 제169호로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이다. 일반인의 출입이 금지되어 있는 봉암사 경내에서도 또 안쪽, 선원의 뒤편에 자리하고 있기 때문에 거의 볼 수가 없다고 한다. 지난 7월 6일에 봉암사를 찾았을 때 삼층석탑을 찾아보았다.

문경 ‘봉암사 삼층석탑’으로 명명이 되어 있는 이 탑은, 건물의 댓돌에 해당하는 기단부와 탑의 중심이 되는 몸돌인 탑신부, 그리고 꼭대기의 머리장식인 상륜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인 통일신라의 석탑은 기단이 2단이나, 현재 땅 위로 드러나 있는 이 탑의 기단은 1단이다.


머리장식이 그대로 남아있는 봉암사 삼층석탑

봉암사 삼층석탑은 상륜부의 머리장식이 훼손이 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있다. 완전히 남아있는 상륜부는 한국 석탑의 기준이 된다. 더욱 통일신라 때 조성된 것으로 볼 때, 천 여 년이 지난 그 시대의 석탑을 모습을 알아 볼 수 있다는 점에서도 귀중한 유례로 본다. 이 탑의 머리장식은 인도 탑에서 유래하였으며, 인도 탑의 머리장식의 소형화가 우리나라 탑의 머리에 그대로 적용이 되었다고 한다.

탑의 머리 부분인 상륜부에는 여러 형태의 구조물들이 차례로 놓이게 되는데, 우선 삼층석탑의 맨 위 덮개돌인 옥개석 위에 노반이 놓인다. 그리고 복발과 연꽃모양의 앙화가 놓이게 되며, 그 위에 보륜과 보개, 수연을 차례로 올리게 된다. 수연의 위에는 용차, 보주, 찰주가 놓이는데, 봉암사 삼층석탑은 이 모든 것이 원래대로 보존되어 있다.



일단의 기단을 둔 봉암사 석탑

일반적으로 석탑의 경우 기단이 2단으로 되어 있으나, 봉암사 삼층석탑은 1단만 보인다. 일층 기단의 주변으로는 넓게 석재로 둘러놓았는데, 이것을 아랫기단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는 듯하다. 기단의 형태에 비해 그 면적이 넓게 조성이 되었기 때문이다. 기단에는 중앙에 탱주를 새기고, 양 끝에는 우주를 새겼다. 갑석은 두 장의 돌로 맞물려 조성을 했으며, 갑석 위에 몸돌의 고임인 옥신고임을 돌출시켜 새겼다.

몸돌은 양 우주를 새겨 넣었으며 지붕돌인 옥개석인 추녀가 살짝 위로 치켜 올라가 당당하다. 하지만 기품이 있어 보이는 것이 화려하지는 않다.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의 단아함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비례가 돋보이는 석탑

지붕돌인 옥개석의 층급받침은 5단이며, 이층과 삼층으로 올라가면서 몸돌이 적당한 비례로 줄어들었다. 어디 한 곳도 모자람이 없는 봉암사 삼층석탑. 9세기 통일신라 헌덕왕(재위 809∼826)때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는 이 탑은, 기단 구조가 특이하고 탑신의 각 층 비례와 균형이 적절하여 아름답다.

이 봉암사 삼층석탑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구중궁궐 깊은 곳에 자리한 품위 있는 여인을 닮았다는 생각이 든다. 군더더기 하나 없는 형태가 그런 느낌을 들게 하는가 보다. 아마도 아무 때나 접할 수 없는 탑이기에, 더 오래도록 그 앞을 서성이는 것인지. 아니면 단아한 여인의 자태를 닮은 그 모습에 빠져서인지도 모르겠다.




뒤편에 암반으로 덮인 산을 배경으로 서 있는 봉암사 삼층석탑. 아마도 이런 깊은 산중에서 많은 선방의 스님들에 방해라도 할까봐, 그 오랜 시간을 숨죽이며 서 있었을 것이다. 그저 있는 듯 없는 듯 서 있는 모습에서, 아름다운 한 여인의 자태를 떠올린다. 세월이라는 흐름 속에서도 영원히 변치 않는 아름다운 자태를 간직한.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