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는 늘 관심을 갖고 지켜보아야

  

문화재는 늘 관심을 갖고 지켜보아야 한다. 그 자리에 서 있다고 해도 언재나 같은 모습으로 있을 것이라는 생각은 위험하다. 문화재 중에서도 천연기념물은 항상 그대로 있을 수가 없다. 일기에 따라 변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천연기념물 중에는 재난을 당해 지정 해제가 된 것들이 많다. 그것은 나무가 수명이 있기 때문이다.

 

백송은 흔치 않은 나무다. 중국 북부가 원산지이고 동남아에 퍼져있는 소나무의 한 종류이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몇 그루만이 생육하는 희귀종이다. 하기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백송은 지나칠 때마다 돌아보곤 한다. 백송은 그 껍질이 약재가 된다는 속설 때문에 사람들에게 수난을 당하기도 해 그만큼 보존하기가 힘들다고 한다.

 

천연기념물 제253호 이천 신대리에 자리를 잡고 있는 ‘이천 신대리 백송’ 16일, 경기도 이천시 백사면 신대리에 생육하고 있는 백송을 찾아 나섰다. 몇 번인가 신대리 이천 백송을 만났지만 늘 궁금하다. 잘 자라고 있는지? 생육에 문제는 없는지? 혹 주변에 이상한 건물이라도 들어서 나무에 피해를 주지는 않고 있는지 온갖 생각이 다 든다.

 

 

 

 

 

봄날 만난 백송, 당당함이 깃들다

 

이천에서 여주 금사면 방향으로 도로를 따라 가다보면 좌측으로 신대리 이정표가 나온다. 마을 안길로 조금 들어가면 이천 백송이라는 이정표가 있다. 좁은 길을 따라 들어가면 백송을 만날 수가 있다. 하지만 초행길인 사람은 쉽게 찾을 수가 없다. 벌써 몇 번이나 찾아본 백송이지만 갈 때마다 마을을 이리저리 돌아다니고는 했다.

 

백송은 나무껍질이 넓은 조각으로 벗겨지면서 흰빛으로 변하기 때문에 백송 또는 백골송이라고 부른다. 이천 신대리 백송은 마을 한편 야산에 자리하고 있다. 멀리서보면 마치 우산처럼 생겼다. 위는 좁고 아래로 내려오면서 우산처럼 퍼져있다. 이 나무는 조선시대 전라감사를 지낸 민정식의 할아버지인 민달용의 묘소에 심은 것이라고 전한다.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수령은 약 230년 정도로 추정하고 있다. 신대리 백송은 다니면서 본 백송 중 생육상태가 가장 좋은 나무로 보인다.

 

이천시 백사면 신대리 산 32에 소재하고 있는 신대리 백송은 나무의 높이는 16.5m 정도이고 가슴높이의 둘레는 2m 정도이다. 이천 백송은 언제 보아도 참 아름답다는 느낌을 받는다. 백송의 중간 가지들은 구불거리면서 자라고 있어 마치 용이 승천하기 위해 용틀임을 하는 것 같다. 멀지 않은 곳에 자라는 이천 반룡송의 나뭇가지도 마치 용처럼 휘감아 뻗었는데 이 백송 역시 가지가 많이 구불거리고 있어 이천이라는 곳이 나무가 생육하기에 적합한 토양인 듯하다.

 

 

 

 

 

용틀임이 일품인 이천 백송

 

이천 신대리 백송을 찬찬히 살펴본다. 밑동은 조금 위로 올라가 두 갈래로 갈라졌다. 나무의 줄기는 번성하여 어느 백송보다도 힘찬 모습이다. 위로 오르면 나무의 줄기가 점점 더 하얗다. 눈이라도 온 듯 맑은 흰색에 검은 무늬가 옅게 드리워져 있다. 봄날 만난 나무의 솔잎도 싱싱하다. 밑동 쪽에는 외과수술을 한 흔적이 보이지만 위로 올라가면서 더욱 무성한 잎을 달고 있다.

 

이렇게 아름다운 나무이면서 우리나라에서는 희귀종이기 때문에 천연기념물로 지정했다. 아래쪽으로 난 가지도 무성하게 잘 자라고 있다. 마을에서는 이 나무를 꽤나 신령스럽게 여기고 있는 듯하다. 한 때는 백송의 껍질이 약재로 사용된다고 해서 나무껍질을 사람들이 벗겨가는 바람에 곤욕을 치렀다고도 한다.

 

모처럼 찾아간 백송의 주변은 철재 울타리를 쳐놓았다. 보호를 하기 위한 방편이다. 천연기념물로 지정이 되었던 몇 그루의 백송들이 지정 해제를 당하기도 했다. 그래서인가 이천 백송이 더 소중하게 느껴진다. 몇 년 만에 만난 이천 신대리 백송. 천연기념물치고는 수령이 오래되지 않았지만 그만큼 소중한 자원이기 때문에 지정을 했을 것이다. 앞으로 이곳을 지나칠 때마다 들려보아야겠다. 문화재란 늘 관심을 갖고 살펴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