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에서 가장 중요한 공격 시설은 성 5곳에 조성한 '포루(砲樓)'이다. 화성의 포루는 성벽의 일부를 밖으로 돌출시켜, 치성과 유사하게 축조하면서 내부를 공심돈과 같이 비워 놓았다. 이는 그 안에 화포 등을 감춰 두었다가 위·아래와 삼면에서 한꺼번에 공격할 수 있도록 한 시설이다.

 

화성에는 벽돌을 사용해 모두 5개의 포루(남포루·서포루·북서포루·북동포루·동포루)를 조성했다. 이 중 서포루는 약간 작고, 남은 네 곳의 포루는 동일한 규격이다. 포루는 3층으로 축조되었는데, 지대 위에는 대포를 발사하기 위해 뚫어 놓은 구멍인 '혈석(穴石)'을 전면에 2, 좌우에 3개씩 놓았다.

 

지대 위에는 벽돌을 쌓고 안쪽으로는 판자를 잇대어 2층으로 구분했다. 또한 포루에는 총혈 15개를 만들었는데 지대 위에 뚫은 혈석은 포루에서만 볼 수 있는 시설이다. 맨 위에는 성안에서 들어갈 수 있는 높이로 세 칸의 문루를 만들어 총안과 전안을 뚫어 놓았다. 문루 바깥 면에는 짐승그림을 그려놓아 위엄을 표했으며 처마는 납도리 홀처마에 우진각 지붕이다.

 

 

포루는 벽돌을 사용해 조성했는데 아래 넓이나 위의 줄어든 넓이가 모두 옛날 제도의 재돌(再突)하는 형세를 따랐다. 안쪽은 성탁(城托)에 의지해 전부를 돌로 쌓고 그 위에 판문을 설치했다. 문지방 안의 청() 끝은, 사방 4척쯤 비워서 별도로 덮개판을 설치했다. 이는 문을 밀고 당겨 여닫게 한 것이다. 거기에다 나무 사닥다리를 대어서 아래쪽 공간으로 통하게 만들어 놓았다.

 

검은 벽돌로 성에서 돌출시켜 쌓아올린 포루. 포를 쏘는 구조물인 포루는 성의 몸체에 자 모양을 붙여 치성과 비슷하게 하고 그 위에 포사를 3층으로 지은 구조물이다. 포루는 그 가운데를 비운 점이 마치 공심돈의 구조와 비슷하며, 그 안에 화포를 많이 감추어 두어 위아래에서 한꺼번에 포를 쏘게 하였다.

 

이런 설명만 갖고는 포루가 어떻게 생긴 것인지 이해가 가질 않는다. 화성에는 모두 5개의 포를 쏘는 포루가 있는데 관리를 위해 모두 잠가놓았다. 하기에 포루의 겉모습만 볼 수 있을 뿐이다. 그렇다면 포루 안에서는 도대체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었을까? 포루의 형태는 같게 생겼지만 크기는 조금 다르다.

 

 

3층으로 된 포루, 위용이 대단해

 

화성의 포루는 3층으로 되어있다. 맨 위에 총안을 낸 문은 판문(板門)이다. 그리고 그 안에서는 포루의 책임자가 있어 적을 향해 공격을 지시하게 된다. 성 밖에서 보면 3층의 구조로 되어있지만, 성 안에서 보면 맨 위의 전각만 들어난다. 이 포루 안에는 몇 명의 군사들이 들어가 있었을까?

 

화성박물관 관계자는 포루의 병력에 관해 다음과 같이 이야기를 한다.

포루 안에 병사들이 몇 명이나 들어가서 있었는지에 대한 기록은 보이지 않습니다. 포루는 3층으로 되어있는데, 그 규모 등으로 볼 때, 한 층에 대략 5~6명 정도가 들어가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수원시 팔달구 매향동에 소재한 화성박물관 2층 상설 전시관에는, 화성문화실에 포루의 한 면을 절개한 조형물이 있다. 이곳에는 포루 안의 생김새와 그 안에 병사들의 모습이 모형이로 만들어져 있어, 포루의 대략적인 모습을 볼 수가 있다.

 

과거 성벽 위에 있는 여장의 한 타에 5~6명의 병사들이 배치되어 있던 것을 보면, 아마도 포루의 한 층에 그 정도 인원이 들어가 있지 않았을까 유추해 본다. 모형을 보면 맨 위층인 전각에는 포루 안에서의 전투를 지휘하는 무장과 총수들이 있고, 1층과 2층에는 불랑기를 가진 병사들의 모습이 보인다

 

 

임진왜란 전부터 사용한 불랑기자포

 

홍이포, 신기전, 녹로 로 등과 함께 화성의 장용영 군사들이 많이 사용했던 불랑기자포는 현재 보물 제861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그 중 861-1호는 육군박물관에 3점이 있으며, 861-2호는 서울역사박물관에 1점이 지정이 되어있다.

 

불랑기자포(佛狼機子砲)’는 불씨를 손으로 점화·발사시키는 화기로는 조선시대 유일한 후장식 화포이다. 불랑기는 15세기 포르트칼을 포함한 서구제국에서 만들어져 우리나라에는 조선 선조 25년인 1592년에 명나라 군대가 가지고 들어왔다고 알려졌었으나, 이미 그 이전인 명종 때 이미 사용되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서울역사박물관에 보관 중인 불랑기자포에는, 자포 포신 표면 우측에 <가정계해 지통중칠십오근팔냥 장김석년(嘉靖癸亥 地筒重七十五斤八兩 匠金石年)>이라는 명문이 음각으로 새겨져 있어, 자포가 1563년에 제작되었으며 중량이 758냥이고 장인 김석년에 의해서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불랑기로 무장한 장용영의 군사들이 지키고 있던 화성과 포루. 아마 당시 이들의 화력은 막강했을 것이다. 그러한 포루를 돌아보면서 과거 정조의 꿈이라는 화성이 더욱 달라져 보인다. 화성을 돌아보면서 만난 포루 하나로만도 가슴이 벅찬 이유이다. 역사 속의 산물이라는 존재는, 늘 그렇게 세월이 지나도 누군가에게는 마음을 다스리게 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5곳에 마련한 화성의 포루

 

[동포루] 동포루는 화성의 5개 포루 중, 동쪽 동일치와 동이치 사이에 있다. 치성의 발전된 모습인 포루는 강력한 공격을 할 수 있는 곳이다. 정조 20년인 1796716일에 완공된 동포루는 동문인 창룡문과 봉돈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시설물이다.

 

[남포루] 남포루는 팔달문에서 화양루(서남각루)에 이르는 방어 임무를 수행했으며 현재 팔달산 남쪽 중턱에 있다. 화성의 남문인 팔달문에서 팔달산으로 오르는 성벽을 따라 오르다 보면 그 중턱에 돌출된 남포루를 만나게 된다. 남포루는 용도로 올라가는 적과 팔달문을 공격하는 적을 막기 위한 시설물이다.

 

[서포루] 서포루는 화성의 5개 포루 중 서북각루와 서장대 사이에 있다. 정조 20년인 1796530일에 완공된 서포루는, 화성의 전투 지휘소인 서장대의 근거리에 위치하고 있기에 5개의 포루 중 가장 중무장한 포루다.

 

[북서포루] 북서쪽에 위치한 북서포루는 검정 벽돌을 쌓아 치성과 같이 성 밖으로 돌출시키고, 내부는 나무판을 이용하여 3층으로 구획했다. 포혈을 만들어 화포를 감춰 두고, 위와 아래에서 한꺼번에 공격할 수 있도록 했으며 서북공심돈과 화서문을 가까이 두고 있다.

 

[북동포루] 북동포루는 화홍문 서쪽 1243척쯤 되는 거리에 있다. 북동포루는 북수문인 화홍문과 북문인 장안문의 사이에 자리한다. 북동포루는 장안문과 수문인 화홍문으로 밀려드는 적을 섬멸할 수 있는 곳이다.

 

적이 성벽으로 접근하는 것을 막기 위한 강력한 공격소인 포루. 5곳에 설치한 포루는 삼면으로 포를 발사할 수가 있어, 주변의 중요한 시설물을 보호하고 밀려드는 적을 향해 강력한 공격을 할 수 있도록 마련한 곳이다. 어느 곳으로 적이 밀려들든지 화성은 적들을 향해 강력한 화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가 된 성이다.

최신 댓글